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남미 원전산업의 발전과 한국원전산업진출을 위한 정책방안연구: MBA(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국가를 중심으로 경제개발, 경제발전

저자 조희문, 하상섭, 손혜현 발간번호 10-5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70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 보고서는 원자력 르네상스 시대를 맞아 중남미 지역 MBA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원자력산업의 정책과 동향을 파악하고 이들 국가에 대한 우리나라 원전산업의 정책적 진출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MBA 국가들의 원자력 정책 발전사와 원자력산업 현황을 심도 있게 추적해 보고, 특히 이들 국가의 에너지정책과 관련해 원자력 산업의 정책적 변천 과정과 시기적 필요성에 대한 해답을 구해 보았다. 향후 우리나라의 이 지역 원전산업 진출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책 변수들, 예를 들어 기술자립성, 금융투자 재원, 원자력법과 원자력기관 및 기구들에 대한 제도적 관점, 연료주기, 이 산업과 관련된 해외 지역들과의 국제협력 정도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결론에서는 이들 대상 국가와 우리나라 간의 향후 원전산업 협력을 위한 정책적 고려를 위해 SWOT 분석을 통해 그 정책적 접근 가능성과 이해를 넓히고자 했다.
우선 제1장 서론에서는 현재 중남미 3개국의 원전산업 개황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고, 우리나라가 라틴아메리카 MBA 국가들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와 이들 국가와의 원전산업 협력 가능성을 점검해 보았다. 특히 원전산업 확대를 통해 에너지원 다각화와 전력산업의 효율적 관리를 기획하고 있는 이들 국가의 최근 에너지정책 발표에 우리나라가 정책적으로 어떻게 접근해 가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해보았다. 연구내용과 범주,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의 분석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원전산업에 대한 기초자료 조사는 물론 정책연구기관들과 원전산업 전문기관, 산업 관련 정부정책들이 대상 국가들을 연구한 기존 문헌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본 연구의 분석 정확성을 유도했다. 제2장에서는 실질적으로 대상 국가들의 원전산업 정책발전사와 원전산업 현황, 그리고 원전산업의 국제협력 정도를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탐색해 보았다. 특히 대상 국가들의 기술자립성, 금융투자 부문, 제도적, 정책입안, 정책결정, 국내외 정책갈등 및 실질적인 정책발전 과정들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멕시코 원전산업의 경우, 1955년 시작과 더불어 한 국가의 산업정책으로서는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정책결정 과정에서도 가장 풀기 힘든 에너지정책 중의 하나였다. 라구나 베르데원자력 발전소 가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정책화되는 데 근 20년의 세월이 흘렸다는 것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멕시코의 원전산업 정책 발전사 연구는 장기적인 정책 진화과정으로서, 다음과 같이 네 시기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원전산업 초기 정책 결정 및 의제 설정시기(1955~72) 에체베리아(Echeverría)와 포르티요(Portillo) 정부의 원전산업 이행기(1972~82) 데 라 마드리드(de La Madrid) 정부의 원전산업 정책의 위기와 상업용 원전가동 시기(1983~90) 그리고 오늘날까지의 원자력 관리와 새로운 원전산업 의제설정 시기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멕시코 원전산업이 실질적으로 현실화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이다. 이 시기 멕시코 원전산업의 필요성을 분석해 보면, 국내적으로 에너지 소비의 팽창과 석유수입의 증가, 국제시장에서 석유가격의 상승에 대한 대안으로 원전산업의 가능성이 부각되었다.
멕시코 원전산업의 정책 발전 과정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아르헨티나나 브라질에 비해 상당히 다른 차원의 발전과정을 경험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경우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원자력 관련 다수의 인적자원(과학자 및 기술자들)을 보유한 상태로 외부 세계의 도움을 통해 국내 원자력 기술을 발전시켜 다소 군사적 목적의 원전 개발에 무게를 둔 정책을 펴온 반면, 멕시코는 이들 국가의 자립적 발전보다는 외부기술(미국)에 의존해 이를 흡수하는 정책을 일관적으로 펴 왔다. 또한 이 당시 멕시코는 세계적으로 핵무기확산방지 운동의 리더 국가이자, 이의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제도적 노력인 1967년 ‘틀라텔롤코 조약(the Tlatelolco Treaty)’의 설계 국가로서 원자력의 상업적․평화적 이용에 중심을 두고 정책을 이행할 수밖에 없었다.
원전산업 의제 설정 초기인 1967년 멕시코 연방전력청(CFE)은 상업용 원자력 시설 개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미국의 ‘스탠포드 리서치 연구소(SRI)’와 공동연구에 착수했다. 하지만 초기부터 멕시코는 원전산업 발전 방향에 대한 정책결정 과정에서 많은 갈등이 있었다. 원자력 분야 과학자들(특히 CNEN)은 원자력 발전소를 설립하기보다는 먼저 기초과학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CFE의 전략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원자력 발전소를 해외로부터 들여와 원전기술 노하우를 빠른 시일 내에 획득하려는 전략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후 이런 CFE의 의식적인 원자력 기술 선호 전략은 멕시코 원전산업 발전에 많은 후퇴를 가져왔다. 발전소 건설의 ‘일괄지급방식(turnkey)’을 통한 기술자립성 획득은 그리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 산업에 대한 투자재원 마련에도 독립적이지 못했다. 1970년 멕시코에서 첫 번째 원자력 발전소 건립에 대한 금융지원이 세계은행, 미국수출입은행, 일본수출은행 등 외자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에너지 다변화, 비교우위, 기술이전, 그리고 국제적 위상강화를 목표로 시작된 멕시코의 원전산업은 정책과정에서도 많은 대내외적 갈등이 존재했다. 정부의 산업정책 이행과정에서 국가자율성은 많이 훼손되었다. 1980년 멕시코 원자력 관련 기관들의 내부 갈등과 국내 반대여론은 멕시코 원전산업의 지연을 가져온 한 원인이기도 했다. 비록 기술자립도를 향한 초기 목표가 지속적인 공식적 정책 방향이었지만, 라구나 베르데가 상업 가동을 시작하면서도 원자력 연료 사이클을 포함하여 모든 기술은 지나치게 해외에 의존해 운영되었다. 실질적으로 1990년대에 들어서도 멕시코 정부는 원자력 발전기술에 대한 독립과 자립은 손에 넣을 수 없었다. 게다가 원자력 발전을 통해 기술 강국 혹은 원전 산업국으로 도약하려는 국가의 미래 비전과 위신은 정책이행 과정에서의 갈등과 국가자율성의 추락으로 많은 성공을 얻지 못했다. 라구나 베르데라는 멕시코 원전 프로젝트는 멕시코와 같은 개발도상국들이 원전산업에서 기술자립을 달성하는 일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1990년을 기점으로 오늘날까지 20년 동안 원자력 부문에 대한 멕시코의 원자력 정책의 경험은 라구나 베르데의 완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멕시코 스스로 자립적인 원자력 에너지 프로그램을 만들어내지 못했고 이 분야에서 커다란 진보도 이루지 못했다. 물론 멕시코가 원전발전 부문에서 해외에 기술과 금융을 지나치게 의존하게 된 이유로, 그리고 기술자립에 실패한 원인으로는 외부적 장애들도 다수 존재했다. 예를 들어, 산업투자 유형에서도 해외자본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멕시코 금융시장의 대외 취약성, 자본 집약적인 원전산업 발전에서 세계 원유시장의 불안정성 지속, 체르노빌 방사선 원자력 발전소 사건,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반대여론, 멕시코 정부에 의해 추진되었던 기본적 정책과 산업발전 전략의 문제, 그리고 이를 정책적으로 이행해 온 약한 국가자율성 등 많은 구조적인 요인들이 근본적으로 멕시코 원자력 정책의 실패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멕시코의 정치 및 행정 시스템의 문제는 또한 원자력산업 발전 정책에 많은 장애 요인이 되었다. 6년마다 이뤄진 행정부 교체는 라구나 베르데의 지속성에 많은 장애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멕시코의 원전발전 정책에 대한 함의는 본 연구의 문제제기와 연계해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많은 에너지 전문가들이 논하는 정책적 취약성은 이 산업에 있어 약한 국가자율성, 기술력 부족, 인프라 부족, 원유개발과 원자력 에너지 프로그램 간의 연계 부족, 그리고 정치적이고 행정적인 비연속성 등이다. 그렇다면 멕시코와 같은 후발 산업국들이 원자력 분야에서 높은 기술을 습득하고 국가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원자력 에너지 발전 국가로 갈 수 있는 방법들은 무엇인가? 멕시코의 원자력 발전 정책에서 보여주는 함의는 지극히 단순하다. 원전산업과 같은 정치경제 및 사회적으로 민감한 산업이 갖고 있는 다양한 대내외적 구조적 한계를 정책적으로 어떻게 극복해 내고 해결할 것인가와 개발전략의 한 부분으로 기술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술독립성의 확보는 국제협력이라는 틀을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브라질의 경우 정부의 원자력 정책은 집권세력의 성격에 따라 달랐기 때문에 해당 정부의 원자력 정책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원자력 정책은 군사정부 시절(1964~85) 본격적으로 정책의 테두리 안으로 들어왔다. 군부는 원자력을 국가안보와 경제발전의 양면에서 보아, 원자력의 기술이전을 통한 원자력주기의 자주화에 노력했다. 그래서 과학기술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했다. 그러나 미국의 웨스팅하우스가 턴키 방식으로 설계한 최초의 원전인 Angra 1호기와 독일의 KWV사로부터 일부 기술이전을 받은 Angra 2호기 모두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때부터 가이젤 군사정권은 소위 핵병렬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한편으로는 우라늄 농축주기의 자립을 위한 기술개발과 다른 한편으로는 해군이 주도하는 핵추진잠수함 개발을 하기 시작했다. 이때 정부 주도의 석유개발, Itaipu 발전소 건설, 알콜연료개발정책, 원자력프로그램 등 주요한 에너지정책이 모두 입안되었고, 1984년 드디어 초고속원심분리기술을 통해 우라늄 농축에 성공했다.
군사정부로부터 정권을 이양 받은 최초의 문민정부였던 사르네이 정부(1985~90)는 그동안 3군에 의해 비밀리에 진행되어 왔던 핵개발프로그램을 국가에너지정책에 편입하여, 과학기술부가 주관하도록 하였고, 연방헌법에 원자력의 평화적 사용을 명시하여 국내외 사회로부터 신뢰성을 회복하는 데 노력했다. 브라질은 1987년 핵연료주기 기술의 초기완성을 선언했다.
그러나 콜로르 정부(1990~92)와 카르도조 정부(1993~2002)는 원자력개발에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10여년의 장기침체기를 맞는다. 반면, 룰라 정부(2003~10)는 과거 군사정부와 마찬가지로 원자력개발을 국가에너지자원 확보, 국제사회에서 독자적 지위확보라는 관점에서 보고 과학기술 개발에 대대적인 투자를 해오고 있다. 그 결과 2003년 10월 과기부는 우라늄의 성공적 농축을 발표했고, 10년 내 상용화도 예상했다. 2010년 국제원자력기구는 브라질을 20%까지 우라늄을 농축할 수 있는 기술보유국으로 분류했다. 2011년 출범하는 지우마 호세프 정부도 원자력을 주요 에너지공급원으로 인정하고 지속개발을 이미 선언한 상태이다.
룰라 정부가 원자력에 집착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원전건설비용이 수력발전비용과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경제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브라질이 보유하고 있는 우라늄(현재 국토의 1/3을 탐사하여 세계 6위이며 향후 세계 2위 예상)을 개발하여 국제 우라늄 농축시장에 공급자로 나서겠다는 것이며, 국제사회에서 브라질의 자립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핵심 핵기술을 보유해야 한다는 정책적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4기의 원전을 추가 건설할 계획을 갖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자체기술이 없는 상업용 원자로의 기술개발을 위해 아르헨티나와 원자로 공동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중남미에 공급할 수 있는 표준형 원자로의 설계와 제작에 관한 협력이다. 따라서 현 정부나 차기 정부의 원자력 정책을 고려할 때 인력교육과 기술이전은 브라질의 원전시장 진출 시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한편 연방헌법은 원자력에너지의 개발에 민간투자를 금하고 있다. 룰라 대통령이나 지우마 대통령 당선자는 기간산업은 정부가 주도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기존에 민영화한 기업을 다시 국영화하지는 않겠지만 연방석유공사(Petrobras)나 연방전력공사(Electrobras) 등 에너지 분야의 연방공사들을 민영화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대신, 국내외 민간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방식을 고려하게 될 것이기에 브라질 원전진출을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창의적 발상이 필요하다.
브라질은 우리나라의 산․관학 체계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기초연구 성과가 기업을 통해 상용화되고 정부정책과 연결되는 것을 경이롭게 생각한다. 이러한 관심은 과학기술 혁신을 경제성장의 원천으로 생각하는 룰라 정부에 들어와서 더욱 강해졌다. 지우마 차기 정부에서도 과학기술 협력과 상용화에 큰 관심을 가질 것이다. 우리나라의 원전설비와 원자로 제작기술, 교육노하우, 브라질의 우라늄 개발 및 핵주기 자립기술을 접목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정책적인 면에서는 과학기술 협력의 범위를 넓혀 브라질의 바이오기술, 석유탐사기술, 항공제작기술, 위성발사기술, 공공환경기술 등과 한국의 IT기술, 조선기술, 고속철기술 등에서 상호 협력이 가능한 부분을 선정하여 산․관학이 한꺼번에 공조하는 등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아르헨티나는 석유, 천연가스, 수자원 등 매우 풍부한 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에너지 부국이며, 에너지 자립이 거의 가능한 국가이지만, 주요 발전원인 천연가스 공급량의 감소와 9%에 달하는 전력수요 증가로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다. 따라서 경제성장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자력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아르헨티나에서의 원자력 발전은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지구온난화 방지, 원료확보의 용이성,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비교적 이른 1940년대부터 우라늄자원의 경제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라늄 탐사와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1950년부터 본격적인 원자력 발전을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 원자력 정책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민족주의와 자주성에 근간을 둔 1950~82년까지이다. 원전산업의 자립적 발전과 국산화를 목표로 하였기에 국가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국제사회의 포괄적인 핵안전조치를 수용하지 않았다. 그 결과 아르헨티나의 원자력 발전은 국제사회의 끊임없는 의혹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시기 아르헨티나는 원자력분야에서의 기반시설을 확립하고, 원자로 제작과 연료주기 분야, 그리고 방사능 의료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달성하면서 자립화와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두 번째 시기는 원전산업이 위축되고 자주적인 핵개발 포기시기인 1983년부터 2000년까지이다. 국내적인 경제 상황의 악화와 국제적인 대형 원자력사고로 아르헨티나는 탈원자력 정책으로 전환하였고, 그동안 자립적 발전을 명분으로 거부해 왔던 국제적⦁지역적 핵안전조치인 틀라텔롤코 조약과 NPT에 1994년과 1995년에 각각 가입하였다. 세 번째는 원자력 발전 재활성화 시기로 2000년대 이후부터 현 정부 시기이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국내적으로는 경제성장에 필요한 전력수요 증가와 국제적으로는 원자력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아 원자력 재활성화 계획을 발표하고, 그동안 중단되었던 원자력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향후 아르헨티나 원자력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원자력 발전소의 수명관리를 위한 관리 및 보수 작업이 추진되며, 경제 및 재무위기로 장기적인 계획수립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원의 다원화 및 온실가스 배출 관련 국제정책 및 협약에 부응해야 하는 점 등을 감안하여 장기적으로 원자력이 대안임이 재확인되고 있다. 최근 원자력 발전의 안정성과 경제성, 그리고 환경오염 문제를 우려하여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정부의 친원자력 발전에 반대하는 사회적 여론이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아르헨티나 국민들은 전통적으로 자국의 원자력 발전을 국가발전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해 왔기 때문에 비교적 국민수용성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원전산업은 수평적, 수직적 독립성을 가지고 있는 정부 산하의 원자력위원회(CNEA)에 의해 주도되었다. CNEA는 원자력 발전과 관련된 모든 정책결정에서 권력과 관료로부터 수평적, 수직적 독립성을 누리면서 자립적인 원자력 발전과 원전산업의 국유화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40년간 일관성 있는 원자력 정책을 추진해 왔던 CNEA는 1990년대 탈원자력 정책하에서 권한과 기능이 축소되어 CNEA, 원자력규제청, 아르헨티나 원자력공사 세 조직으로 분리되었다.
아르헨티나의 원자력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국내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다는 점이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원자력 발전을 국내산업화를 위한 초석으로 삼았고,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약 시 국내기업의 참여와 기술이전을 가장 중요한 계약조건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아르헨티나의 원자력 기술은 원자로의 설계와 제작에서부터 연료생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포괄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아르헨티나에는 운전 중인 2개의 발전소, 건설 중인 1개의 발전소, 6개의 연구용 원자로, 4개의 입자가속기, 3개의 원자력 연구센터, 1개의 중수공장, 2개의 조사시설, 1개의 우라늄정련공장, 그 외에도 수많은 핵의학 학교들과 핵의학센터, 그리고 방사면역측정연구소들이 있다. 아르헨티나의 연구용 원자로 기술은 세계시장에서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모든 연구용 원자로의 소유와 운영에 대한 권리는 CNEA에 있다. 현재 아르헨티나에서 가동 중이거나 건설 중인 원자력 발전로의 유형은 가압중수로이며, 천연우라늄을 원료로,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하고 있다. 구상 중인 차기 원자력 발전소 역시 동일한 유형을 채택할 것임을 발표하였다. 세 발전소 모두 건설과정에서 국내기업들의 참여는 각각 30%, 50%, 70%였으며, 이는 국내기업과 기술자들에게 중요한 실습기회를 제공하여 원전산업의 국산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동안 연구용 원자로 제작에서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제4세대 원자로시장의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였다. 아르헨티나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CAREM원자로는 안정성과 경제성이 높고 비확산성이 적은 일체형 원자로로 한국 SMART의 강한 경쟁 대상이다. 현재 아르헨티나는 원자로 수출을 증가시켜 세계 원전시장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핵연료주기 완성은 원전산업의 자율성과 에너지 자립화를 이룸은 물론 막대한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아르헨티나는 원자력개발 초기부터 핵주권 확립을 위한 핵연료주기 완성을 목표로 하였고, 그 결과 현재 우라늄생산에서 사용 후 연료 재처리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핵연료주기를 완성한 상태이다. 원자력 발전의 초기단계부터 자립화와 국산화라는 명확한 국가적 목표 아래 원전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한 결과 아르헨티나는 국제원자력 시장에서 중요한 공급자가 되었다. 역내 국가들과는 물론 리비아, 알제리, 이란, 이집트, 호주, 네덜란드, 요르단, 그리고 한국 등 다양한 국가들과의 국제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산업을 활성화하고 고급 전문 직업을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원전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비록 지난 20~30년간 원자력 발전이 침체되었지만, 아르헨티나는 이미 세계원전시장에서 중요한 공급자 기능을 하고 있으며, 원전선진국들에는 위협적인 존재이다. 최근 아르헨티나 정부는 원자력 발전을 지속적인 발전의 중심에 두고 매우 적극적인 원자력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원전산업의 대아르헨티나 진출 전략은 신흥원전국가들과는 차별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원자로운영 분야에서는 낙후된 상태이지만, 아르헨티나는 원전산업 분야에서는 풍부한 경험과 지식, 기술, 그리고 인적자원을 가진 한국의 경쟁상대국이다. 따라서 상호이익을 위하여 전략적인 제휴관계를 형성하여 협조체제를 이룰 경우 세계시장 진출 시 윈-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3장은 본 연구보고서의 핵심주제인 한국 원전산업 진출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사항이다.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원전수출 역량과 MBA 국가들이 추구하는 원전정책의 구체적인 내용이 분석되어야 한다. 원전수출은 국력이 성패를 좌우하는 국가 대항전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국가의 정치적 의지와 외교역량이 다른 산업에 비해 성패에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우선적으로 한국 원전수출의 현황을 살펴보고,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 수출산업화 전략’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원전수출의 경쟁력과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찾아보았다. 다음으로는 제2장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이들 MBA 국가에 대한 한국의 원전산업 진출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정책적 SWOT 분석을 해보았다.
한국 원전산업이 갖고 있는 다양한 ‘강점’과 ‘단점’, 그리고 이들 국가에 대한 ‘기회’와 ‘위협’ 요소들을 정책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해 보았다. 특히 원전산업의 기술, 금융, 에너지 매트릭스, 인적자원, 국제정치, 국제경제, 제도적 차원에서 기회와 위험을 비교분석해 이를 종합해 보았다. 추가적으로 이들 국가에 대한 한국 원전산업의 전략적인 진출방안을 ‘action plan’을 통해 구체화해 보았다. 특히 한국 원전산업의 MBA 진출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으로 중남미 원전산업 진출강화 전략, 원전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내부전략 강화, 연료공급전략, 이미지 개선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전략, 금융전략, 인재개발 공동협력 전략, 원전외교역량강화 전략 등을 정책적 핵심 방안으로 구상하여 구체화하였다.

This research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nuclear policies and trends of the MBA (Mexico, Brazil, and Argentina) in the nuclear renaissance era and discuss how Korea’s nuclear energy policies should change to make inroads in the MBA region. By looking into the history of MBA’s nuclear energy policy and status quo of their nuclear energy industry in depth, it is possible to see the changes made in the nuclear energy industry accordingly to national policy changes. Policy variables that are needed for Korea to enter the nuclear energy market of MBA, such as technological self–reliance, financial investment resources, institutional perspectives of nuclear energy laws and institutions, fuel cycle, the degre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have been analyzed. For future cooperation among MBA and Korea in the nuclear energy sector, SWO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of policy approaches and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matter.
The first chapter, the introduction part of this paper, examines the start and development for the nuclear energy industry in MBA, identifies the reasons why these three Latin American countries are significant to Korea and the possibilities for nuclear energy cooperation. In particular, how Korea should act to the recent energy policies of MBA, which is planning on diversification of its energy sourc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its energy industry, is one of the critical issues. Various guidelines were set for efficient research analysis via the research’s content,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Collecting and monitoring the basic data on nuclear energy industry and existing documents and papers published by think tank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helped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is research paper. The second chapter categorizes the history, status quo, and degre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the nuclear energy industry into periods. The three countries’ technological independence, financial investment, institutional characters, policy formulation, decision–making, internal and external policy conflicts, and actual policy changing process have been thoroughly dealt with.
Initiated in 1955, Mexico set forth an industry policy with unprecedented technological complexity and extremely difficult problems. The fact that in took almost 2o years to make the program for activating the Laguna Verde Nuclear Power Station as policy shows the nature of the problem. Mexico’s nuclear energy policy can be divided into 4 periods: initial nuclear energy policy formulating and agenda selection period (1955~1972); the Echeverria and Portillo administration’s nuclear energy industry implementation period (1972~1982); the de La Madrid administration’s policy crisis and commercial nuclear energy operation period (1983~1990); and up to the present is defined as nuclear energy management and new agenda selection period. The actual realization of Mexico’s nuclear industry started in the 1970s. In that period, nuclear energy rose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due to the ris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the increase in domestic energy consumption, which meant more imports of oil. This naturally turned the spotlight to nuclear energy.
Mexico’s nuclear energy industry experienced a totally different development process compared to Argentina and Brazil. In the case of Brazil and Argentina, after World War II, the two countries developed its nuclear energy technology possessing abundant human resources (scientists and engineers) and receiving foreign aid. They put more weight on military purposes. Meanwhile, Mexico chose to rely on and adopt foreign technology (mostly from the United States). Mexico also had no chose but to focus on commercial and peaceful use of nuclear energy because it was the leading nation of the 1967 Tlateloco Treaty which aimed to prevent nuclear proliferation.
In 1967, the early part of the first period, Mexico’s Comisión Federal de Electricidad(CFE) commenced joint cooperation with the Stanford Research Institute(SRI) bearing in min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commercial nuclear energy facilities. However, the policy making process encountered obstacles from the beginning. Scientists (especially those of The National Nuclear Energy Commission, Portuguese: Comissão Nacional de Energia Nuclear; CNEN) argued for investment in basic science before building nuclear power plants while the CFE’s strategy concentrated on quickly acquiring the know–how of nuclear power technology by importing a power plant from abroad. Such strategy of the CFE hindered the progress in Mexico’s nuclear power development profoundly. The turnkey–based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did not bring much benefit. Not only did Mexico fail to gain technological self–reliance, it also failed to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In 1970 Mexico’s first nuclear power plant was funded by the World Bank, the export–import bank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other sources of foreign capital. Moreover,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blocked the way of Mexico’s nuclear power policy aiming for energy diversification, comparative advantage, transference of technology, and elevation of its international status. The Mexican government’s policy brought limitations of its national freedom. Nuclear energy development was delayed because of public opinion and internal conflicts of nuclear power agencies even in the 1980s. Although the official objective was consistently to obtain technological independence, Mexico still remained reliant on foreign technology even after Laguna Verde became operational. The situation was the same even in the 1990s. In addition, Mexico’s vision to become a technologically developed nation or a nuclear power nation only created disputes within the country and did not lead to progress. Laguna Verde became a lesson that shows how difficult it is for developing countries to earn technological self–reliance in nuclear energy. Indeed, there were many external factors that made Mexico to constantly depend on foreign technology and investment. Examples of these factors would be the Chernobyl incident, ins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oil market, Mexico’s susceptibility to foreign financial market, public opinion, problems of the policies carried out by the Mexican government, and other structural factors that fundamentally did not allow self–reliance for Mexico in any aspect. Furthermore, the six–year term of each administration made Laguna Verde’s policies inconsistent.
Mexico’s nuclear power polic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e weakness of its nuclear policy is defined by Mexico’s lack of freedom, technology, infrastructure, connection between oil and nuclear power programs, and political and executive consistency. Then what should developing countries like Mexico do in order to develop nuclear power which can contribute to development and growth? Mexico’s lesson is simple. Such sociall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sensitive industry should be coped with solutions for overcoming divers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al limitations and obtaining technological independence, which would require international cooperation.
Brazil’s nuclear policy differed among administrations. Nuclear energy policy began in earnest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1964~1985). The military government saw nuclear power as both a means of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So Brazil’s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vested heavily nuclear energy for technological self–reliance. However the first turnkey–constructed nuclear power plant Angra 1 by Westinghouse of the United States and Angra 2 by KWV of Germany did not bring satisfactory results.
Since then the Geisel administration implemented the so–called nuclear parallel plan, developing uranium enrichment technology on one hand and a nuclear submarine on the other. All major energy policies including the government led oil development plan, construction of the Itaipu power plant, alcohol fuel development policy, and the nuclear energy program, passed congress. In 1984, Brazil succeeded in uranium enrichment by using ultra high speed centrifuge.
The Sarney administration (1985~1990), the first civilian government after three military regimes, included the secretly carried out nuclear development program to the national energy policy and strived to regain international trust by ensuring the world Brazil’s commitment to peaceful use of nuclear energy via adding amending its federal constitution. Brazil announced the initial completion of its nuclear fuel cycle in 1987.
However, Brazil’s nuclear policy was halted for a decade during the Collor (1990~1992) and Cardoso administration (1993~2002). The nuclear policy regained momentum during the Lula administration (2003~2010), which adopted the viewpoint of past military regimes. As a result in October 2003, Brazil successfully enriched uranium and expected to commercialize it within 10 years. The IAEA classified Brazil as a country capable of enriching uranium up to 20%. The upcoming Rousseff administration has already proclaimed its stance on continuing efforts to develop nuclear energy as the main energy supply source.
The reason why President Lula focused on nuclear energy is that constructing a nuclear power plant has become more economically efficient than building a hydroelectric plant. In addition Brazil plans on becoming a major supplier in the uranium enrichment market and is determined to acquire the core technology to be recognized as a self–reliant state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only 1/3 of Brazil explored, Brazil has the world’s sixth most uranium deposits and is expected to become no. 2).
The Brazilian government aims to build an additional four nuclear power plants until 2030. Brazil is currently cooperating with Argentina in jointly constructing a nuclear reactor which would be standardized for Latin America. Therefore, human resource training and technology transference may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entering Brazil’s nuclear power market.
Meanwhile the federal constitution forbids private investment in nuclear energy. President Lula and President–elect Rousseff believe that the government should operate key industries. Although already privatized industries would not be nationalized again, federal energy corporations such as Petrobras or Electrobras are not likely to be privatized. Instead, creative ways for attracting domestic and foreign investme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lay inroads in Brazil’s nuclear power market.
Brazil is interested in the relation between Korea’s industries and government. Accomplishments in basic science are commercialized by industries which are backed by government policies. Such relation drew the attention of the Lula administration which perceived scientific innovation the source of economic growth. The succeeding administration will share the same interest. Ways to integrate Korea’s production technology and knowledge on nuclear power facilities and reactor producing technology with Brazil’s uranium development and nuclear fuel cycle technology must be studied. Moreover, we should consider policies to expand science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Brazil’s biotechnology, oil exploration technology, aviation manufacturing, and satellite launching technology and Korea’s IT, shipbuilding technology, and high speed railroad technology.
Argentina is rich in oil, natural gas, and water resources. Although it is capable of becoming energy self–reliant, Argentina is suffering from energy shortage due to decrease in natural gas supply and increase in electricity consumption to 9%. Argentina is considering ways to secure the energy it needs for economic growth by developing nuclear energy. Nuclear power’s advantages of stable energy supply, easy procurement of raw materials, economic efficiency, and preventing global warming are positively viewed in Argentina.
Argentina realized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uranium already in the 1940s and carried out uraniu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and in the 1950s initiated nuclear power generation. Argentina’s nuclear energy policy can be divided in 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from 1950 to 1982 when nationalism and independence was at the core of the nation’s policies. It refused to accept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for comprehensive nuclear safety measures because they limited Argentina’s national freedom. Consequently the world grew suspicious about Argentina’s nuclear program. In this period Argentina established the infrastructure for nuclear energy and succeeded in domestically producing nuclear power related technologies. The second period, 1983 to 2000, was when Argentina gave up its nuclear power development policy. Pressured by economic depression and international nuclear power accidents, Argentina scrapped its nuclear policy and joined in the Tlatelolco treaty (1994) and the NPT (1995). The last period, from 2001 to the present, is the period in which the nuclear policy regained spotlight. Influenced by the nuclear renaissance era and the desperate need for energy supply led to expansion in investment towards nuclear power
In the short term Argentina’s nuclear power policy will focus on maintaining the existing nuclear power plants. In the long term Argentina acknowledges nuclear energy as the alternative energy of the future which is why it tries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diversification despite is economic and financial problems. Even though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society is stirring public opinion against nuclear energy due to safety and environmental issues, the public is quite cooperative to nuclear energy policies since it has traditionally been a part of its national policy.
Argentina’s nuclear power industry was led by the government affiliated CNEA which possesses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utonomy. The CNEA enjoys freedom from authority and bureaucracy in policy decisions and has contributed to independent nuclear energy development. The CNEA carried out a consistent nuclear policy for 40 years. However in the 1990s when Argentina abandoned its nuclear policy, the CNEA’s role diminished and was divided into three bodies.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Argentina’s nuclear energy development process is that the government induced active participation of domestic industries. Argentina has always required the participation for domestic companies in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transference of technology upon signing a contract, which allowed Argentina to achieve comprehensive development.
Argentina today has two operational power plants, one under construction, six research reactors, four particle accelerators, three nuclear energy research centers, one heavy water factory, two research facilities, one uranium refining factory, and numerous nuclear medicine schools and radioimmunoassay centers. Argentina’s research reactors are considered to be the best in the world. The CNEA is entitled with full authority to own and operate the reactors. All nuclear reactors in Argentina are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and use natural uranium as raw material and heavy water as moderator. The next nuclear power plant will also share these traits. The three power plants each had 30%, 50%, 70% participation of Argentinean companies which was a great opportunity for domestic companies to gain experience and contributed to the localization of technology.
Based on its accumulated technology and experience, Argentina has become the key player in the fourth generation nuclear reactor market. Argentina’s very own CAREM nuclear reactor is a highly stable and economic all–in–one reactor which is a strong competitor of Korea’s SMART reactor. Argentina is planning on becoming the world’s 10th exporter of nuclear reactors. Completing nuclear fuel cycle is crucial to gaining freedom in the nuclear energy industry and energy self–reliance. Considerable economic benefits also follow. Having a  Clear objective of becoming self–reliant and investing and aiding the industry accordingly has made Argentina a key supplier in the international nuclear energy market. Argentina has cooperative relations with regional countries, Libya, Algeria, Iran, Egypt, Australia, the Netherlands, Jordan, and Korea. Recently the Argentinean government is subsidizing the nuclear industry to create more professional jobs.
Argentina is already an influential supplier and is actively implementing nuclear energy policies despite the 20–30 years when the world turned its back against nuclear energy. Therefore Korea’s strategy towards Argentina should be different from newly rising nuclear energy markets. Although Argentina falls behind in reactor management, Argentina possesses the experience,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contending that of Korea. For mutual gains, a strategic affiliation would be a win–win strategy for the two countries.
The third chapter of this research paper introduces the key subject, policy directions for Korea’s nuclear energy industry. To draw up specific policies, specifics of Korea’s capabilities and MBA’s policies should be analyzed. National power may make or break nuclear energy exports which are why political will and diplomatic capability cover a huge portion in this part. First, Korea’s current export status and the Korean government’s ambitious ‘Nuclear Energy Export Industrialization Strategy’ are examined to find problems in Korea’s competitiveness in exports. Next, a SWOT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 2 will show what Korea must consider in exporting to MBA.
A comparis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etwee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Korean nuclear power industry and the opportunities and threats exporting to MBA have; mainly the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technology, finance, energy matrix, human resources, international politics, international economy, and structural aspects. In addition, an action plan of Korean industries’ export direction has been specified. Detailed strategies or policies for Korean nuclear energy industries include strengthening inroads into the Latin American market strategy, strengthening internal strategies for exports, fuel supply strategy,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via image improvement strategy, financial strategy, joint cooperation in human resource training strategy, and strengthening nuclear energy diplomatic capability strategy. These are specific, core plans for devising a strategic policy.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문제제기 
가. 21세기 세계 차원의 원자력 산업 전망 
나. 21세기 중남미지역 원자력 산업의 현황과 전망 
2. 연구내용 
가. 연구배경 
나. 연구목표 
다.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라. MBA 국가들 원전산업 사례분석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2장 M(멕시코), B(브라질), A(아르헨티나) 개별 국가의  원전산업 발전과정 
1. 멕시코(M) 원자력 산업 
가. 멕시코 에너지 현황과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 
나. 멕시코 원자력 정책 발전사 
다. 멕시코 원전산업의 현황과 특징 
라. 멕시코 원전산업과 국제협력 
마. 결론: 한국 원전산업의 브라질 진출방안을 위한 정책적 함의 
2. 브라질 원자력산업  
가. 브라질의 에너지 정책 개관 
나. 브라질의 원자력 정책: 발전사와 정책변화 
다. 현정부(룰라 정부 2003~10년)의 원자력 정책 
라. 브라질의 원전산업 현황과 특징 
마. 브라질의 핵연료주기 
바. 국제적 원자력 협력 
사. 결론: 한국 원전산업의 브라질 진출방안을 위한 정책적 함의  
3. 아르헨티나 원자력산업 
가. 에너지 현황 및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  
나. 아르헨티나의 원자력 정책 발전사 
다. 아르헨티나 원전산업의 현황과 특징 
라. 핵연료 주기  
마. 아르헨티나 원전산업과 국제협력 
바. 결론: 한국 원전산업의 아르헨티나 진출방안을 위한 정책적 함의  


제3장 한국 원전산업의 MBA 진출을 위한 정책적 제언 및 결론  
1. 한국 원전수출의 현황과 과제 
2. 한국 원전산업의 MBA 진출을 위한 SWOT 분석 
가. 멕시코 진출의 기회와 위협 
나. 브라질 진출의 기회와 위협 
다. 아르헨티나 원전산업 진출의 기회와 위협 
3. 한국 원전산업의 MBA 진출을 위한 정책적 제언
가. 중남미 원전산업 진출 강화 전략 
나. 원전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내부전략 강화 
다. 연료공급 전략 
라. 이미지 개선을 통한 원전산업 국제경쟁 강화 전략 
마. 원전산업 진출을 위한 금융전략: 터키 진출의 시사점 
바. 원전산업 인력 개발 공동협력 전략 
사. 원전외교역량의 확충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94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국제 논의와 한국기업 참여 가능성 연구 2024-11-13 ODA 정책연구 Assessing Vietnam’s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벨라루스 디지털 경제 발전과 한·벨라루스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