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FTA 원산지규정은 역내 생산품이 FTA 특혜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는 FTA 체결국간 산업, 무역 및 투자 등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FTA 협상에서 어떠한 원산지규정을 도입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과제다.
최근 미국, EU 등 거대경제권과 FTA 협상이 마무리된 상황에서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차원의 FTA’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일본과의 교역비중을 고려해볼 때 동아시아 FTA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특히 동아시아 FTA에서 도출되는 원산지규정에 대한 통일성 유지는 한국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FTA에 대비한 한국 원산지규정 추진방향을 검토하기 위해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전개과정과 동아시아 FTA에서 도출될 원산지규정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역내 주요 FTA를 중심으로 원산지규정의 특징을 각각 비교해보았다. 분석대상에는 2004년에 발효된 한ㆍ칠레 FTA부터 2010년에 발효된 한ㆍ인도 FTA까지 5개 기발효 FTA와 국내 비준을 기다리는 한ㆍ미, 한ㆍEU FTA 등 한국이 체결한 7개 FTA와 한ㆍ중ㆍ일 3국, 인도, 호주, 뉴질랜드 등 6개국이 ASEAN과 체결한 ASEAN+1 FTA가 포함되었다.
동아시아 경제통합이 진행되더라도 이미 체결된 ASEAN+1 체제는 여전히 유효성을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각국은 ASEAN과 체결한 FTA에서 규정된 방식의 원산지규정을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반영함으로써 자국이 체결한 FTA와 일관성을 유지하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동아시아 각국이 체결한 ASEAN+1 FTA의 원산지규정을 살펴보는 작업은 동아시아 경제통합이 진행될 때 합의 가능한 원산지규정을 추정해보는 데 기초가 될 수 있다.
ASEAN+1 FTA의 원산지규정은 한국의 여타 FTA와 비교하거나 NAFTA 혹은 EU의 FTA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간결한 원산지 결정기준이 이용된다. 한국의 기체결 FTA와 ASEAN+1 FTA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원산지 결정기준 가운데 2개를 선정하여 각 FTA별로 적용 비중을 비교해본 결과, 한국이 체결해온 7개 FTA를 통틀어 보면 약 45%를 기록한 반면 ASEAN+1 FTA의 경우 약 75~100%에 달한다.
ASEAN+1 FTA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결정기준은 각 FTA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반적 결정기준으로, 인도ㆍASEAN FTA를 제외할 경우 그 적용 유형이 FTA별로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4단위 세번변경(稅番變更) 기준이나 부가가치기준이 실질적 변형을 결정하는 방식은 한국의 전체 FTA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만큼 동아시아 FTA에서도 도입될 경우 한국 FTA 원산지규정의 복잡성이 많은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ASEAN+1 FTA에서 일반 결정기준 외에 두 번째로 많이 이용되는 원산지 결정기준은 FTA별로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일반 결정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품목에 대한 원산지 결정기준을 정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 각국의 입장 대립이 전체적인 동아시아 FTA 원산지규정의 복잡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동아시아 FTA에 대한 논의가 아직 구체화 단계에 이르지 못한 만큼 동아시아형 원산지규정이 어떠한 방식과 특징을 갖게 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한ㆍ중ㆍ일 3국과 인도,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ASEAN이 이미 구축해놓은 ASEAN+1 방식을 크게 벗어나는 FTA 원산지규정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동아시아 FTA라는 큰 틀에서 한국의 원산지규정은 ASEAN+1 FTA 같은 정형화된 패턴과 단순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원산지규정의 특성상 ‘업계 의견수렴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는 한번 설정된 원산지 결정기준은 FTA 체결을 전후로 기업들의 생산 및 교역 등 전반적인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쉽게 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FTA 체결 효과를 제대로 누리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생산네트워크를 고려한 적합한 원산지규정 확립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EU,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FTA 원산지규정 결정과정을 살펴보았는데, 4개국 모두 협회 및 업계 면담을 필수적으로 거치는 과정을 통해 FTA 원산지규정안을 확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EU의 경우 집행위원회 차원에서 내부협의 단계를 먼저 거친 뒤에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회원국 차원에서도 개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는 등 역내 의견수렴에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경우 대기업 위주로 업계 의견을 수렴하지만 질량총국에서 품목별 원산지규정에 대한 기술적 자문을 담당하고 있어 산업계 의견과정의 한계를 보완해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역시 FTA 협상에 앞서 협회를 통한 의견수렴의 과정을 거치지만, 정보 전달의 주체인 기업의 FTA에 대한 관심과 원산지 관련 전문성이 각기 달라 정확한 의견수렴이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FTA 협상 경험이 축적되면서 그간 습득된 학습효과를 반영할 필요성이 생김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보았다.
문제는 향후 FTA에 대비하여 한국산임을 입증하는 데 적합한 원산지규정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70%에 달하는 기업이 완전생산기준으로 응답하는 등 국내 업계의 FTA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원산지규정 자체에 대한 이해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점이다. 결국 설문조사에서는 산업별 특수성을 고려한 한국 FTA 원산지규정 도출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FTA 원산지규정에 대한, 신뢰할 만한 기업의 의견을 수렴하는 작업은 한국 원산지규정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향후 지속적, 정기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 FTA의 원산지규정은 일관된 특징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을 가장 많이 지적받고 있다. FTA 협상과 이행에 대한 경험이 전무했던 한국이 칠레를 비롯하여 동시다발적인 FTA를 추진하면서 원산지규정을 ‘FTA 체결의 필요악’ 정도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나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미 타결된 FTA 원산지규정을 대폭 개정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다면, 향후 FTA에 대비한 원산지규정 분야의 중점 과제는 기체결 FTA와 최대한 조화를 이루면서 한국의 입장이 반영된 원산지규정을 마련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한 선행 조건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규정에 대한 거시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차원에서 역내 생산네트워크 반영, 기체결 FTA와의 일관성 유지 및 국내 제도 개선 등 세 가지 정책을 제언하였다.
첫째, 향후 동아시아 역내 생산네트워크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업의 생산 효율화, 역내외 시장의 경쟁력 향상, 중간재 수출을 통한 생산유발과 산업구조 고도화 등 국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동아시아 국가와의 FTA에서 이러한 기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국내 기업이 역내에서 조달하거나 역내국으로 수출하는 주요 중간재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원산지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환율이나 원재료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는 부가가치기준보다는 세번변경기준이나 특정공정기준을 이용함으로써 원산지 결정기준 충족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동아시아 국가와의 FTA에서 일관성 유지가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경제통합이 국가간 상이한 입장으로 인해 기존의 양자간 협정에 비해 낮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업은 자신에게 유리한 경우를 고려하여 새로운 동아시아 FTA나 기존의 양자간 FTA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 양자간 FTA의 원산지규정이 동아시아 FTA와 차이가 있을 경우, 이는 원산지규정으로 인한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일본의 경우 ASEAN 7개 회원국과 양자간 FTA를 체결한 상황에서 ASEAN 전체와 추가적인 FTA를 체결하였는데, 협정문간 원산지 결정기준에 높은 수준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 역시 ASEAN과 FTA가 체결된 상황에서 중국, 일본 등 여타 역내국과의 FTA 협상 추진에서 원산지규정의 일관성 확보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원산지규정 자체에 대한 한국의 확고한 방향을 정립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FTA 원산지규정 운영을 위한 국내 제도 개선이다. 원산지규정은 기본적으로 FTA에서 역외국의 무임승차를 방지하기 위한 규제의 성격을 가진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 불필요한 서류 요구나 복잡한 규정에 따른 애로사항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원산지규정 준수에 따른 국내 규제를 적절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원산지규정에 관련한 국내 제도에는 수출용 원재료 원산지 확인제도 및 인증수출자제도가 있다. 먼저 수출용 원재료 원산지 확인제도 개선방안으로 수출기업의 원활한 원산지 증명서 작성을 위해서는 부품 및 원재료 공급업체에 대한 수출용 원재료 원산지 확인서 작성을 의무조항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재료에 대한 투명한 관리 및 공급자 관리를 위해 관련 서류 보관기한을 수출용 원재료 원산지 확인제도 관련법에 규정하고, 공급자가 작성하는 원산지 확인서가 정확하게 작성되도록 이에 대한 검증절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인증수출자제도의 경우 한ㆍEU FTA 이행을 위해 개정되었지만 향후 기업의 원산지 증명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는 동시에 원산지 증명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는 혜택을 넓히는 방향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Throughout the globe, many free trade agreements (FTAs) have been signed, negotiated or implemented. Amidst the increasing trend in FTAs, Korea has also been actively pursuing FTAs with many strategic trading partners. Recently, Korea has completed seven FTAs, including Korea-Chile FTA, Korea-Singapore FTA, Korea-EFTA FTA, Korea-ASEAN FTA, Korea-U.S. FTA, Korea-EU FTA, and Korea-India CEPA.
As for gains and losses of having multiple FTAs,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attention is benefits of enhanced market access opportunities vs. costs of complexity created by rules of origin (ROOs). As existing studies have already pointed out, the positive economic effects from trade liberalization can be reduced due to the complexity of ROOs. With multiple FTAs, the operational complications stemming from different ROOs lead to higher compliance costs for local firms, which are likely to exceed benefits from FTA preferences. Therefore, firms may eventually give up on the use of FTA preferences.
Indeed,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regarding the complexity and inconsistency imposed by the ROOs in Korea’s FTAs.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Korea needs to build its own position on the ROO and apply them to the remaining FTAs. Motivated by this necessity,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possible suggestions for Korea’s FTA rules of origin.
After completing the FTA negotiations with the U.S. and EU, the remaining task for Korea’s FTA policy is to form FTAs with China and Japan.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in the case of Korea’s FTA with China and Japan, any kind of FTAs can be possible: a series of bilateral FTA with each country, a trilateral FTA, or a plurilateral FTA including ASEAN countries. In this regard, the scope of our discussion is expanded to include the issue of East Asian Integration, to cover all possibilities.
This study begins with a discussion of the dynamics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and the importance of adopting a unified ROO for this region. Then, it follows a detailed examination of ROOs in Korea’s existing FTAs as well as ASEAN+1 FTAs. The ROOs in the ASEAN+1 FTAs are relatively simple and consistent across agreements compared to the ones in Korean FTAs. In fact, the ASEAN+1 style would be a good starting point as an enabling model for the ROO in achieving East Asian Integration. Given the above, Korea’s position on ROOs in FTAs with East Asia countries should not be different from the ASEAN+1 FTAs.
Then it goes on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by Gallup Korea. In all, 1,500 firm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around 80 percent were SMEs. The main part of this survey asked for suitable rules of origin to receive FTA preferences. Noticeably, most of firm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hose ‘wholly obtained criteria’ as the suitable rules of origin to receive FTA preferences, which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survey results.
So far, five FTAs have entered into force in Korea, and the main focus of Korea’s FTA policy now is on implementation of the FTAs. However, it turns out that domestic firms still lack information about the ROOs, which is the basic concept they would need to know in order to use the FTAs. Collecting reliable information from firms is a prerequisite for a building a proper model of Korea’s own position on FTA rules of orig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domestic firms acquire correct and practical information about FTAs. Given the different level of expertise among firms; various seminars, training opportunities, or consulting should be provided frequently throughout the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sets out guidelines for Korea’s own model of FTA rules of origin. In building Korea’s position on ROOs, emphasis is placed on the need to support the sophisticated production networks in East Asia, to maintain consistency vis-à-vis ROOs in the existing FTAs, and to improve the domestic regime related to the ROOs.
Knowing that the ROO is the result of the FTA negotiations, Korea seemed to put the least priority on the ROOs among the various FTA negotiation topics. It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Korea has not built a concrete position on ROOs. For the remaining FTAs, Korea should engage in efforts to adopt a simple, unified and consistent ROOs to reap the full benefits of the multiple FTAs.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동아시아 경제통합 논의와 원산지규정
1.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논의
가. 동아시아 차원의 FTA
나.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기존연구
2. 원산지규정의 역할
가. FTA의 경제적 효과와 원산지규정의 역할
나.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서의 원산지규정
제3장 역내 주요 FTA의 원산지규정 분석
1. FTA 원산지규정의 개요
가. 원산지 결정을 위한 일반규정
나. 품목별 원산지규정
2. 한국 FTA의 원산지규정 분석
가. 원산지 결정기준 비교
나. 품목별 원산지규정 분석
다. 원산지 증명 및 검증방식 비교
3. ASEAN+1 FTA의 원산지규정 분석
가. 원산지 결정기준 비교
나. 품목별 원산지규정 분석
다. 원산지 증명 및 검증방식 비교
4. 한국 FTA 및 ASEAN+1 FTA 원산지규정의 비교 분석 및 시사점
제4장 FTA 원산지규정에 대한 국내 의견수렴
1. FTA 원산지규정 결정과정
가. 주요국의 사례
나. 한국의 FTA 원산지 결정과정
2. FTA 원산지규정 관련 국내 의견수렴 결과
가. 설문조사 개요
나. 주요 설문조사 결과
제5장 한국 FTA 원산지규정에 대한 정책 제언
1. 역내 생산 네트워크의 반영
2. 기존 FTA와의 일관성 유지
3. 국내제도 개선
가. 수출용 원재료 원산지 확인제도의 개선
나. 인증수출자제도의 정착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 165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