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북부 경제개발, 기술협력

저자 김봉훈, 이건준, 최진규, 정은경, 변정민, Ahmad Ishaque 발간번호 10-3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55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전 세계는 2004년 이후 인도의 국제적 위상 상승과 지속적인 경제의 고성장에 주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인도의 변화에 주목하고 인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들은 인도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것들이었다. 인도는 하나의 국가로 보기에는 너무나 다양한 언어, 종교 그리고 종족들이 있는 국가이다. 때문에 기존의 관점에서 인도를 이해하기에는 분명한 한계점이 존재하며, 최근 들어 그러한 한계점이 부각되고 있다. 인도 전체가 ‘어떠하다’는 식의 정보가 아니라 인도의 ‘어느’ 지역은 ‘이렇다’는 식의 정보가 필요한 것이다. 인도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접근하는 방법은 인도 진출을 모색하는 우리 기업이나 경제협력을 달성하고자 하는 정부에게도 더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의 지역적 특색을 파악하기 위해 각 지역별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지역별 진출환경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도를 지역별로 동부, 서부, 남부, 북부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 안에 속하는 주요 주들을 중심으로 심층적 진출환경 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그 외의 기타 주들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진출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들의 해외 진출 시 요구되는 정보는 기업별, 업종별로 매우 다양하고 세부적이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조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가 가능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진출환경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권역별 주요 조사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BMO(Bruce Merrifield-Ohe) 테스트, 시장불완전가설(Market Imperfection Hypothesis, Hymer 1976), 내부화이론(Internalization Theory, Rugman 1986), 절충이론(Eclectic Approach, Duuning 1988), UNCTAD(2006)의 해외진출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출환경 평가를 위한 조사항목 및 요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조사항목 중 첫 번째는 진출 기본환경이며, 이를 5개의 소주제로 재분류하였다. 5개의 소주제는 역사‧문화적 환경, 정치적 상황, 경제동향 및 전망, 인프라현황, 자원현황이다. 두 번째는 생산환경과 시장환경이다. 생산환경은 산업구조, 산업단지 현황, 노동공급현황 등 생산요소로 세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시장환경은 각 주별 소득수준과 지출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는 정책 및 개방환경으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각 주별 투자 인센티브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주별 개방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네 번째는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각 권역의 진출위험과 과제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각 권역별 평가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조사 진행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에서는 조사항목의 선정을 위해 권역별, 주별 자료를 조사 및 정리하였다. 2단계에서는 지역별 생산환경과 시장환경 조사를 위해 13개 주에 대한 인도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정책 및 위험 요소의 파악을 위해 인도 현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간담회를 통하여 인도 전문가들과 인도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또한 자료의 질적인 면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각종 지도를 직접 제작하였으며, 사진들도 실사를 통해 직접 촬영한 최신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래프와 표 또한 직접적인 인용보다는 다양한 분석과 비교를 통해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권의 시리즈를 제작하였으며, 이 중 본 보고서는 북부권역에 대한 진출환경 평가를 다루고 있다. 즉 본 보고서는 하리야나(Haryana), 우타르프라데쉬(Uttar Pradesh), 라자스탄(Rajasthan), 펀잡(Punjab), 우타라칸드(Uttarakhand), 잠무 & 카쉬미르(Jammu & Kashmir), 히마찰프라데쉬(Himachal Pradesh), 마드야프라데쉬(Madhya Pradesh) 지역에 대한 진출환경 평가를 담고 있다.
북부권역은 수도권지역(NCR: National Capital Region)에 속하는 하리야나의 구르가온(Gurgaon) 주변지역과 우타르프라데쉬의 노이다(Noida) 주변지역, 수도인 델리(Delhi)가 포함되는 지역이다. 또한 펀잡은 인도에서 가장 부유한 주로 알려져 있으며, 라자스탄은 최근 새로운 산업공단이 늘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이 밖에 우타라칸드, 마드야프라데쉬, 히마찰프라데쉬, 잠무&카쉬미르 등의 지역들도 독특한 특색을 보이고 있으며, 이 중 마드야프라데쉬는 우리에게는 생소한 지역이지만 인도 내에서는 경제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현재까지 우리 기업들은 수도권지역에서 가장 발달한 공단인 노이다 공단과 구르가온 인근의 공단을 중심으로 진출해왔다. 특히 최근의 우리 기업들의 진출은 구르가온 인근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진출하는 기업들의 분야 또한 제조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우리 기업들의 인도 진출은 환영할 일이지만 수도권지역에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북부의 다른 지역으로의 진출이 미미하다는 부분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북부권역의 기본환경은 대부분의 북부 주들이 비슷한 문화적 성향을 가지는 반면, 시크교의 활동이 활발한 펀잡 지역이 상대적으로 특이한 성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펀잡 지역의 사람들은 인도의 다른 지역 사람과는 다르게 매우 근면 성실하고 국제화되어 있다. 정치부분은 우타르프라데쉬의 주수상이 불가촉천민 출신이라는 사실이 주목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경제부분 중 경제규모는 우타르프라데쉬가 인도 전체의 8%를 차지하며 북부 8개 주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크게 나타났으며, 마드야프라데쉬가 인도 전체 대비 3.1%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북부의 기타 주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경제성장률은 하리야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부권역의 주들은 인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인프라 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나, 수도권지역의 전력부족 문제, 라자스탄의 용수부족 문제 등이 기업 활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평가되었다.
북부권역의 생산환경은 수도권지역 주변의 산업단지가 이미 포화상태이고, 부지 매입가도 매우 높기 때문에 부지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며, 대부분의 산업단지들은 델리-구르가온-라자스탄의 자이푸르(Jaipur)로 이어지는 NH (National Highway)-8 선상에 위치해 있다. 델리-구르가온-자이푸르로 이어지는 라인은 향후 인도의 개발 중심지로 부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산업구조는 우타르프라데쉬와 마드야프라데쉬의 제조업 비중이 북부의 다른 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북부권역은 우수한 노동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1인당 소득은 2008년 기준 북부권역 내에서 하리야나, 펀잡, 히마찰프라데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하리야나와 펀잡의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소비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리야나의 구르가온 지역은 법적문제의 처리 속도가 매우 느린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이 진출 위험요소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세율 부분은 구르가온과 노이다 지역 모두 인도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위험 요소가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Since 2004, all over the world has been focusing on continuous high economic growth and rising international status of India. Along with international trend, Korea is also keeping up studies regarding India and its changes. But as most of studies are tried to cover the whole India, there has been limitations to understand Indian regional market more practically and specifically. Actually, India has too various languages, religions, and tribes to consider as one country. In order to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for Korean companies and government that are interested in Indian market,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region-wise and state-wise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ssessments on investment environments as well as basic information of Indian regional market. For the first step, we divided India into four parts East, West, South, and North. And then, advanced market research for major states and basic market research for minor states was conducted according to four parts.
The study is comprised of Basic Investment Environments, Manufacturing & Market Environments, and Political & Economical Openness for each state. And analysis on risk factors and assignments of four parts were conducted based on above market research, and assessmen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provided on the last part of each report. For this study, first of all, we collected and classified region-wise and state-wise information. Second, field researches for manufacturing environments and market environments were conducted for major 13 states. Last, in order to understand political environments and risk factors, we gathered opinions from Indian experts and Korean companies in India through interviews and meetings.
This report is a study on Northern Part which includes Haryana, Uttar Pradesh, Rajasthan, Punjab, Uttarakhand, Jammu & Kashmir, Himachal Pradesh, and Madhya Pradesh. And NCR (National Capital Region) is also included in this region. This region is known to us with the richest state in India; Punjab and increasing numbers of industrial parks in Rajasthan.
In economic size, Uttar Pradesh has the largest economy among 8 northern states with 8% share of Indian GDP. And following Haryana and Rajasthan, the economic size of Madhya Pradesh was relatively larger than other northern states with 3.1% share of Indian GDP. In economic growth, Haryana showed the highest economic growth rate, 8.6%, in this region during last 5 years (2004~2008).
In terms of manufacturing environments, it is difficult to get industrial site near NCR because of lack of empty space and high land price. However, a lot of industrial parks are developing along with NH-8 which connects Delhi to Rajasthan. As the development of DMIC (Delhi-Mumbai Industrial Corridor), this area would play important role in future industr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India.
Northern states are regarded as favorable investment market with good infrastructure, positive attitude of state government to foreign investment, abundant of high-skilled labor, and low tax rate.

국문요약 


일러두기 


약   어 


제1장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방법 
3. 북부권역의 특징 


제2장 하리야나(Haryana)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적 배경 
나. 정치 현황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라. 인프라 현황 
마. 자원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산업 단지 현황 및 입주 환경
다. 노동력 고용 현황 
라. 토지 및 건물의 구입과 임대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가. 투자 인센티브 및 정책환경 
나. 개방환경 
5. 진출사례와 위험 및 과제 
가. 사회·문화적 리스크 
나. 경제·정책적 리스크 


제3장 우타르프라데쉬(Uttar Pradesh)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적 배경 
나. 정치 현황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라. 인프라 현황 
마. 자원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산업 단지 현황 및 입주 환경
다. 노동력 고용 현황 
라. 토지 및 건물의 구입과 임대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가. 투자 인센티브 및 정책환경 
나. 개방 환경 
5. 진출사례와 위험 및 과제 
가. 사회·문화적 리스크 
나. 경제·정책적 리스크 


제4장 라자스탄(Rajasthan)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적 배경 
나. 정치 현황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라. 인프라 현황 
마. 자원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산업 단지 현황 및 입주 환경
다. 노동력 고용 현황 
라. 토지 및 건물의 구입과 임대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가. 투자 인센티브 및 정책환경 
나. 개방 환경 
5. 진출위험 및 과제 
가. 사회·문화적 리스크 
나. 경제·정책적 리스크 


제5장 펀잡(Punjab)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적 배경 
나. 정치 현황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라. 인프라 현황 
마. 자원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산업 단지 현황 및 입주 환경
다. 노동력 고용 현황 
라. 토지 및 건물의 구입과 임대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가. 투자 인센티브 및 정책환경 
나. 개방환경 
5. 진출사례와 위험 및 과제
가. 사회·문화적 리스크 
나. 경제·정책적 리스크 


제6장 우타라칸드(Uttarakhand)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정치적 배경 
나. 경제 동향 및 전망 
다. 인프라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노동력 고용 현황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5. 진출위험 및 과제 


제7장 잠무 & 카쉬미르(Jammu & Kashmir)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정치적 배경 
나. 경제 동향 및 전망 
다. 인프라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노동력 고용 현황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5. 진출위험 및 과제 


제8장 히마찰프라데쉬(Himachal Pradesh)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정치적 배경 
나. 경제 동향 및 전망 
다. 인프라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노동력 고용 현황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5. 진출위험 및 과제 


제9장 마드야프라데쉬(Madhya Pradesh) 
1. 기본환경 
가. 사회·문화·역사·정치적 배경 
나. 경제 동향 및 전망 
다. 인프라 현황 
2. 생산환경 
가. 주요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노동력 고용 현황 
3. 시장환경 
가. 소득 동향
나. 소비 형태
4. 정책 및 개방환경 
5. 진출위험 및 과제 


제10장 종합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01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ESG 추진 현황과 한·중 정책 비교 및 대응방향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ODA 사업의 유형별 평가방법 연구: 기술협력 사업을 중심으로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25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단행본 러시아 디지털 금융의 현황과 전망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르완다 농업분야 ODA 종합평가 및 개선방안 2020-07-28 단행본 2019 발간자료목록 2020-07-13 연구보고서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2019-12-30 ODA 정책연구 개발협력과 기후변화 대응의 통합적 접근방안: 페루 사례를 중심으로 2019-12-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