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한·EU FTA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경제권과 맺는 FTA로서,향후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위한 전략적 기반 마련
* EU의 GDP는 18.3조불로, 세계 전체 GDP의 약 30%(1위)를 차지
동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EU와 FTA를 체결함으로써 EU 시장에 대한 선제적 진출효과 기대 가능
상품분야(공산품 및 농수산물 등)는 품목수 기준으로 한국과 EU모두가 99.6%, 수입액 기준으로 사실상 100% 양허한 높은 수준
서비스분야는 양허표에 기재한 분야만 개방하는 Positive 방식에 의해서 양허(WTO 협정에서의 양허방식)
WTO 서비스분류 155개 섹터 기준 한국은 115개 분야, EU는 139개 분야 개방
Ⅰ. 한ㆍEU FTA 의의 및 주요내용
Ⅱ. 추진 경과
Ⅲ. 분석 방법
Ⅳ. 거시경제효과
1. 성장 및 후생 수준
2. 고용
3. 수출입 및 무역수지
Ⅴ. 산업별 효과
1. 제조업
2. 농업
3. 수산업
4. 서비스업
5. 보건산업
Ⅱ. 추진 경과
Ⅲ. 분석 방법
Ⅳ. 거시경제효과
1. 성장 및 후생 수준
2. 고용
3. 수출입 및 무역수지
Ⅴ. 산업별 효과
1. 제조업
2. 농업
3. 수산업
4. 서비스업
5. 보건산업
판매정보
분량/크기 | 0 |
---|---|
판매가격 | 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중국종합연구
RCEP 출범에 따른 공급망 변화와 한중 국제물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해운·항만 서비스 교역과 공급자 중심으로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및 대외경제 협력 방안
2021-12-31
연구보고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통상정책 연구
2021-12-30
연구자료
미국과 EU의 농업보조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중 전략경쟁하 WTO 다자체제의 전망과 정책 시사점
2021-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CEPA 10년, 우리 중소기업의 성과와 정책 과제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 제고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방안 및 시사점
2021-11-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
Working paper
Consumer Responses to Price Shocks of Wine Imports in Korea
2021-07-30
연구자료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경간 전자조달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21-03-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0-12-30
연구보고서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0-12-30
연구보고서
FTA 신통상규범에 관한 통상법적 쟁점과 경제적 영향: 환경과 노동을 중심으로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