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지역연구시리즈 유라시아 경제공동체(EEC)의 출범과 CIS 경제통합의 전망 경제통합, 경제협력

저자 하유정 발간번호 01-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82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최근 CIS 회원국간 경제통합 논의에서 새로운 점이 있다면 그것은 舊공산권 지역에서도 경제통합의 실현이 가지는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최근 대륙별로 경제통합체가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세계경제의 주요 동향으로서 떠오르고 있어 지역별로 이에 때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1998년 금융위기의 충격으로부터 빠르게 회복하면서 얻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유라시아 경제공동체(Eurasian Economic Community, EEC)는 CIS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소규모 지역기구에 앞장서서 한 단계 높은 경제통합을 달성하고자 2001년 6월 공식 출범하였다.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로루시, 타지키스탄, 키르기즈스탄의 5개국 정상이 2000년 10월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에서 정상회의를 열고, 기존의 CIS 관세동맹체제를 바탕으로 EEC를 창설하기로 합의한데 따른 것이다. 따라서 본 지역리포트를 통해 관세동맹이 심화된 이후 EEC 5개국 역내교역관계 변화를 전망하고 EEC의 확대 여부가 CIS 광역경제통합에 대해 가지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역내교역구조에 미루어보았을 때 EEC 내 관세동맹이 강화될 경우 역내 5개국 교역관계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관세동맹의 심화 이후 기타 CIS국으로부터 수입은 값싼 역내 수입으로 전환할 것이다. 특히 평소 러시아産 상품에 대해 높은 수요를 가지고 있던 EEC 각 회원국은 러시아産 상품을 수입하는 과정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교역조건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관세동맹 밖에 존재하는 기타 CIS 7개국의 경우 EEC 역내상품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질 것이다. 즉 역내상품이 기타 CIS 상품을 대체하여 향후 EEC 역내시장에서 회원국의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CIS 역외상품의 EEC 역내시장으로의 유입은 관세동맹 심화 이후에도 여전히 계속될 것이다. 구소련 해체이후 CIS 회원국의 교역상대는 역외시장을 향해 다변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수입에서는 역외상품이 역내에서 생산할 수 없는 고부가가치 상품을 공급·보완하는 관계에 있다.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EEC 역내무역증가에 의해 역내국의 소득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바, EEC내 경제통합이 심화될수록 관세동맹 내부 뿐 아니라 CIS 역외産 수입품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하여 무역창출효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보고서는 또한 EEC의 확대 가능성 및 양상에 따라 CIS 내 경제통합의 발달 구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개 방향을 가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첫째, EEC가 러시아와의 양자간 교역관계 뿐만 아니라 역내 다자간 교역관계의 고른 발달에 기여하고 EEC는 CIS 내 주요 경제권으로 발달하는 경우이다. 그 결과 기타 CIS 회원국이 EEC 가입을 희망하게 되어 EEC 확대가 진행되고, 5개국의 소규모 경제통합체이던 EEC로부터 CIS 광역경제통합을 실현하는 초석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둘째, EEC의 역내 교역구조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수레바퀴의 살과 같은 구도, 즉 hub-and-spoke 형태의 현재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이다. 즉 관세동맹의 심화가 러시아와 역내 개별국의 양자간 관계 강화에만 기여하고 다자간 협력강화 측면에서는 기대에 못미치는 성과를 가져오는 경우이다. 이때 CIS 회원국들은 개별적으로 양자간 또는 다자간 관계를 수립하는 등 각자의 대안을 찾아 나설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CIS에서 복수의 경제권으로 나누어진 현재의 구도가 심화될 것이다. 현재 CIS의 일부 국가들은 러시아의 영향에서 벗어나 정치, 경제적으로 보다 독자적인 대외관계를 수립하고자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양자간 구도의 고착 가능성은 러시아 중심의 경제통합체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일부 CIS 회원국의 이탈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CIS 각국이 외환위기로부터 빠른 회복을 기록함에 따라 CIS의 대외경제관계 또한 많은 변화를 겪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CIS 경제에 대한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한바, 한국은 변화하는 CIS 내 통상환경에 대한 꾸준한 최신정보수집을 필요로 하고 있다. CIS의 역내교역 강화는 소득창출로 이어지고 이제까지 꾸준히 역외국가 상품에 대한 품목별 수요상승이 진행되고 있는바, 향후 유망한 수출시장으로서 진출 가능성에 항상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Russia, Belarus and the three Central Asian countries of Kazakhstan, Kyrgyzstan, and Tajikistan laid the groundwork for a higher level of economic integration among the former Soviet Republics in June 2001 by declaring the official launching of the Eurasian Economic Community (EEC). Presidents of the five member countries had already signed a new customs union treaty based on the now antiquated CIS Customs Union during summit talks in Astana, the capital of Kazakhstan, in October 2000. The purpose of this regional report is to review the economic background of the EEC and discuss the prospects for its enlargement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a large-scale economic integration encompassing all CIS countries.
With the breakdow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the 12 newly independent states (NISs) developed the idea of forging a single economic space as many of them were confronted with severe economic difficulties that demanded immediate attention. This wa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ir continued economic downfall was attributable to the weakening trade relations betwee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In the early 1990s the inter-regional supply linkage under the Soviet planned economy was abruptly dissolved and each NIS began to establish independent trade barriers, hampering what had been a system of virtual free transactions linking republics in the Soviet era. Policy makers began to assert the need for restoring intra-CIS free trade as a solution to economic recession. This was the motivation underlying the formation of the CIS Economic Union in 1993, the first futile attempt to bind the economies of former Soviet republics together.
These most recent efforts to realize economic integration in the CIS through the EEC have sprung from a growing awareness among the transition economies that it was time for them to be integrated into the international economy. Quickly recovering from the shock of economic crisis since 1998, the transition economies are no exception to the rush to ride the wave of globalization. As regional trading blocs have been successively created across continents since the 1990s, countries in the CIS were also pressed to draw appropriate responses to the upswing of regionalism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Moreover,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in negotiations to gain membership into the European Union (EU) and will enter into the single market en masse in the near future.
This report assesses the pattern of trade relations between the five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EEC customs union focusing on changes in the direction of trade and commodity structure. Products traded in the EEC market can b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place of origin as follows: products from Russia, from EEC countries excluding Russia (EEC-4 hereafter), from the seven CIS countries that have not joined the customs union (CIS-7, hereafter) and, lastly, external countries. The web of trade relations between these groups of products in the intra-EEC market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EEC-4 countries tend to sell primary goods and maintain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Russia. Second, Russia is in competition with CIS-7 for greater market shares in the entire EEC market, as Russia and CIS-7 have similar trade structures in terms of commodities. Third, products of external origin complement the commodity structure of trade within the EEC and consist of high value-added products and capital goods backed by the higher comparative advantage over domestic products.
However, trade relations are expected to undergo the following changes when the customs union, currently in the take-off stage, is fully implemented. First, imports to the EEC will begin shifting to consist largely of cheaper intra-EEC products instead of goods from the CIS-7, which are not EEC members. The high demand for Russian products in the EEC-4 will continue but prices will go down as trade barriers between the EEC-4 and Russia are gradually remov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IS-7 in the EEC market will weaken due to the effects of trade diversion from external to intra-regional trade. Second, trade reorientation toward western economies, on the other hand, will remain a dominant economic trend in the EEC market despite the gradually tightening ties within the customs union. The westward trade reorientation or diversification towards Western Europe has been compelling since CIS countries began to pursue trade liberalization. This trend is not likely to dissipate but will escalate even more for the time being if the customs union raises the income level of the participating economies and the income effect is translated into a rising demand for products made in non-member countries.
Despite the expectations of rising intra-regional trade under the customs union, it is not likely that the EEC countries will adopt discriminatory and protective measures. For one thing, there is little chance that the EEC will agree to apply extremely high common external tariffs (CETs) on products from non-member countries. Member countries, rather than confining external ties within the 5-country group, want to expand bilateral economic ties with a variety of countries in Asia and North America as well as Western Europe. Some countries' bids for WTO membership will also prevent them from showing protectionist tendencies, because greater trade liberalization is one of the WTO's accession conditions. Higher CETs are also against WTO rules. The WTO recommends that the customs union set its CETs below the average tariff rates that individual member countries had imposed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customs union. Meanwhile, accession negotiations can possibly delay the acceptance of the common trade policy by the EEC members if countries fail to agree on a common approach for collective accession to the WTO and place greater priority on negotiations with the WTO than on talks for a common EEC trade policy.
Many CIS countries wish to be free from the umbrella of Russian influence and to establish more independent external relations,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Still, Russia is indisputably an opinion-leading country in the CIS, though sometimes elusively. Since his inauguration,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has stressed the growing importance of a partnership with the CIS countries within the entire foreign policy framework. Considering the nature of CIS politics, the configuration of the EEC will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political and economic landscape of the CIS. One possible outcome is that the EEC will contribute to enabling individual members to develop robust economic ties with Russia and promote plurilateral and balanced cooperation among members alike, materializing equitable economic development. Then, the EEC will become large enough to act as the seed for a large-scale united market in the CIS, similar to the single market in the EU. Or, the EEC may fail to end the pattern of hub-and-spoke trade relations, which means intra-EEC trade will remain highly concentrated on exclusive bilateral exchanges between Russia and individual countries. Provided that the hub-and-spoke pattern continues under the EEC, further enlargement is less likely as CIS countries seem unwilling to tolerate Russia's predominance. Hence, the CIS will be broken down into several plurilateral trade agreements, which will not necessarily include Russia, but rather be oriented towards the pursuit of mutual interests between regional partners.
As many CIS countries register a faster-than-expected recovery from the economic crisis, external economic relations will see subsequent changes. Recognizing the optimistic economic forecast, South Korea must prepare by collecting updated information concerning the changing business climate in the CIS. As greater economic integration in the CIS is targeted at boosting the income level and expected to prompt a growing demand for non-CIS products, it is necessary to watch for new business opportunities with the CIS.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CIS 역내경제관계의 발달
1. CIS 역내교역관계의 변화
2. CIS 경제통합의 추진
가. CIS 경제통합 추진의 배경
나. CIS 경제통합 추진 동향

제3장 EEC 출범과 교역관계의 변화
1. EEC의 출범
가. CIS 내 무역협정 동향
나. EEC의 출범과정과 특징
2. EEC의 대외교역관계
가. EEC의 지역별 교역구조
나. 품목별 교역관계의 변화

제4장 지역경제통합의 심화 및 확대 전망
1. EEC 역내자유무역의 확대
가. EEC 무역관계 전망
나. EEC의 역외무역정책 전망
2. EEC 및 CIS의 향후 전망
3. CIS 각국의 대외경제관계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69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