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이 보고서는 무임승차와 탄소 누출을 억제하기 위한 기후클럽의 등장에 주목한다. 국제무역에서 기후변화 대응이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는 중에 다자 차원의 노력이 한계에 직면하고 개별 국가의 독자적 기후ㆍ통상 조치 문제점이 드러남에 따라 기후클럽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협력체가 필요해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다자질서 속에서 성장한 선진국으로서, 동시에 세계 10위권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서 통상질서 회복과 탄소중립을 위한 책임 있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으며, 동시에 국내적으로는 저탄소 전환에 대한 속도 조절 요구가 제기되는 등 큰 딜레마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기후클럽 형성 논의에 대하여 한국의 대응방안을 찾아나가고자 한다. 특히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노력과 기후ㆍ통상 협력 현황을 바탕으로 기후클럽의 등장 배경을 살펴보고, 기후클럽에 대한 경제학적 논의를 바탕으로 독일이 제안한 G7 주도의 기후클럽과 미국과 EU 간의 지속가능한 글로벌 철강ㆍ알루미늄 협상(GSSA) 논의의 주요 내용과 쟁점을 파악한다. 또한 각 논의가 포함하고 있는 구조를 반영하여 기후클럽 가입의 효과를 분석하고 국내 산업계의 의견을 청취하여 국제사회의 기후클럽 논의에 대한 대응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첫째, 기후클럽 논의가 등장한 배경으로서 주요국의 탄소중립 관련 정책과 성과, 정부와 민간의 관련 투자 현황, 국제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는 기후ㆍ통상 협력 현황 그리고 기후클럽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Climate Watch의 시계열 데이터 분석과 주요국의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자료, 전문가 간담회 결과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정책의 성과를 검토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정책 측면의 온도 차를 확인했다.
둘째, 주요국 정부와 민간 영역에서 시행 중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에 대해 IEA의 에너지 부분 투자 데이터와 FDI Markets의 기업 수준 해외직접투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투자 패턴을 분석한 결과 국가간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 격차와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인했다. 셋째, 국제사회에서의 협력 확산 현황을 주요 이니셔티브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어떠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국제 이니셔티브 및 연합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산업 탈탄소화 의제(IDA), 수소행동협약(HAP), OECD의 탄소 저감 접근에 대한 포괄적 의제(IFCMA), 산업 심층 탈탄소화 이니셔티브(IDDI), 브레이크스루 어젠다(Breakthrough Agenda), 선도그룹연합(FMC), 공정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이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나 기후 관련 다자간 정상회의를 계기로 창출된 포괄적이고 주목할 만한 이니셔티브였다. 넷째, 앞서 살펴본 정책, 투자, 협력 현황에서 나타나는 무임승차 또는 탄소누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후클럽 개념을 선행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이러한 제2장의 내용을 통해 미국과 EU가 주도하는 기후ㆍ통상 질서 속에 규제가 약한 지역에서 탄소배출이 더 많이 발생하는 탄소누출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와 저변에 깔린 경쟁력 저하에 대한 부담이 결국 클럽화된 기후 협력체를 등장시키는 배경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제3장은 실제 협상 중인 G7 주도의 기후클럽과 미국 –EU 주도의 지속가능한 글로벌 철강ㆍ알루미늄 협정 사례를 통해 기후클럽 논의의 쟁점을 파악한다. G7 기후클럽은 개방적ㆍ협력적ㆍ포용적이며, 파리협정과 그에 따른 결정의 효율적인 이행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후클럽의 활동은 세 개의 필라로 구성되는데, 필라 I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투명하고 도전적인 정책의 선도, 필라 II는 산업 전환, 필라 III는 기후 협력 및 파트너십 강화에 관한 내용이다. 2023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기후클럽이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GSSA 협상은 미국이 특정 철강ㆍ알루미늄 수입에 징벌적 관세(페널티)를 제안하고 있다는 점, 기후 목적뿐 아니라 철강ㆍ알루미늄 무역분쟁 해결, 전지구적 과잉생산설비 대응, EU CBAM과 미국 IRA에 대한 상호 우려사항 해결 등 다양한 협상목표를 복합적으로 추구한다는 점 등에서 G7 이니셔티브 논의와 구분된다. 미국은 GSSA 회원국 지위와 징벌적 관세 부과 가능성을 연계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반면 EU는 징벌적 관세 부과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EU는 기후ㆍ무역에 관한 국제 협력을 전제로, 국제법상 의무에 합치하는 한 GSSA 회원국이 각자 자국의 기후정책 도입 및 시행에 완전한 재량권을 가질 것을 제안한다. 또한 GSSA 회원국이 상계관세를 부과할 수 없는 ‘허용’ 환경보조금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위의 두 기후클럽 논의가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의 탄소중립 가속화를 전제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후ㆍ탈탄소화와 통상이슈를 하나의 합의 내에 연계하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할지라도, 이러한 이슈를 실제 협상에서 복합적으로 다루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임을 현재 G7 이니셔티브와 GSSA 협상 경과가 보여주고 있다. G7 기후클럽은 회원국을 확장하면서 초기에 논의되었던 탄소가격제, CBAM과 같은 이슈가 협상 테이블에서 사라졌고, GSSA는 유효한 탄소 다배출국이 GSSA에 가입하여 일정한 배출 감축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한, 기후위기 대응의 실효성 측면에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통상 조치가 WTO 협정 등 현행 국제의무와 다자규칙에 합치하는 것이어야 하는데 상이한 관세율을 적용하거나 저탄소화를 위한 보조금을 허용보조금에 포함시키는 것은 이러한 규칙에 쉽게 합치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제4장에서는 기후클럽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참여 인센티브 구조에 따른 국가별 경제적 효용을 연산가능일반균형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제 수준의 기후 협력체가 가지는 딜레마를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의 연구 결과를 검토하였다. 결국 이론적 모형이 제시하는 소규모의 안정적 기후클럽, 대규모의 비효율적 기후클럽이 도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하에 본 연구는 현실에서 확산되는 기후클럽이 오히려 증가하는 딜레마를 설명하고, 협력에 대한 수요를 반사실적 분석(counter factual analysis)을 통해 살펴보며, 협력의 형태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후ㆍ통상 협력에서 중국의 역할을 시뮬레이션 분석하여 기후클럽이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주요국, 특히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4장의 분석 결과는 이론에서 고려되지 못한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가 법제화된 제약하에서 각국이 탄소배출 저감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결국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와 그 성과의 공유가 핵심이 될 것임을 의미한다.
제5장은 기후클럽의 등장에 따라 우리 산업이 직면하게 될 기회와 위기 요인을 산업별 통계조사와 해당 산업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탈탄소화 논의가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철강, 시멘트 산업과 주요 산업이면서도 무역의존도가 높고 탄소집약도가 높은 화학(석유화학 및 플라스틱) 산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후클럽 관련 주요 논의가 비공개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산업계와 기후클럽 또는 국제사회에서 논의되고 있거나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산업의 탈탄소화 관련 논의 쟁점을 공유하여 기후클럽 논의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기후클럽 참여에 대한 산업별 의견, 기후클럽과 국내외 탄소중립 강화에 대한 대응과 애로요인, 정책 수요 등의 인터뷰 결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철강업계는 표준 선도, 공급망 협력, CBAM 면제 가능성 등의 기대로 기후클럽 가입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으며, 기후클럽 가입국과의 협력을 추진할 경우 그린 공급망 구축과 표준개발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기후클럽 가입 시 가장 우려스러운 부문으로는 NDC 목표 상향 압박과 탄소 규제 강화를 들었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철강산업의 애로사항은 탈탄소화 압력 우려, 기후클럽 녹색시장에서 고로 생산 방식 국가의 철강 경쟁력 약화 우려, CBAM 연계 시 무상할당 전환 및 정보보안 우려, 그린에너지 인프라 구축 미비, 철 스크랩 부족 등이다. 이에 대한 정책과제로는 논의 초기부터 국제표준 룰 세팅에 참여하여 우리의 입장이 반영되도록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배출량 산정 방식에 대해 논의할 때 생산 방식에 따라 제품별로 탄소배출량이 다르게 산정되도록 의견을 제시하고, 기후클럽 회원국간에는 탈탄소화를 위해 필요한 철 스크랩 수출 제한을 금지하는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철강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전기로 도입과 수소환원제철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이다.
시멘트 업계는 기후클럽 표준 개발 논의 시 각 국가의 특성을 반영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며, 기후클럽 협상 논의에서 시멘트 안전성에 대한 협의회 구축을 제안했다. 시멘트 업계는 공정배출 비중이 높아 온실가스 감축 여력이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으며 시멘트 탈탄소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먼저 포틀랜드시멘트 위주의 국내 시멘트 생산구조를 개선하고, 탄소배출이 적은 혼합시멘트 생산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한국산업표준(KS) 제ㆍ개정을 통해 혼합시멘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인센티브 제도 및 할당제 등 혼합시멘트 수요 확대 정책이 요구된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지속적으로 배출효율을 개선해왔기 때문에 현재의 에너지 인프라 환경에서는 감축이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기후클럽에서의 분야별 저탄소 전환 논의에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바이오납사 등 화석연료의 대체 원료에 대한 개발과 안정적 공급망 확보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석유화학 업계는 탈탄소화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을 위한 환경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며, 국제감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배출권을 확보하고 NDC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내 배출권 제도의 개편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플라스틱 업계는 탄소감축목표나 해외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직접배출 규제에 직접적인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후클럽 가입을 통해 국제기준이나 해외 운영사례가 도입되는 것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플라스틱의 탈탄소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확대, 폐플라스틱의 선별수거 인프라 구축이 정책 및 규제와 관련성이 높은데 기후클럽에 참여하여 해외 모범사례 도입 및 정책벤치마킹을 통해 다소 불분명하거나 일관성 없는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 정책이 국제기준에 부합하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제6장에서는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복수국간 기후ㆍ통상 관련 협상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원칙과 방향, 그리고 기후클럽 내의 협력 분야와 통상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G7 및 GSSA에 국한하지 않고, 복수국간의 기후ㆍ통상이 연계된 협력이라는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대응 원칙과 방향, 협력이 가능한 분야를 폭넓게 다루었고 나아가 관련 논의에서 우리가 제안할 수 있는 기후ㆍ통상 관련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협상의 원칙은 첫째, WTO 규범에 부합하는 기후ㆍ통상 질서를 확립하는 것이다. 둘째, 체제나 이념에 따른 경쟁보다는 탄소저감 비용을 낮추기 위한 협력을 기반으로 실용적인 논의를 추구해야 한다. 셋째,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포용적 기후클럽의 원칙하에 기후위기로 피해를 입은 지역과 그린전환에 따라 좌초되는 산업에 대한 조정지원을 강화한다는 원칙이 필요하다. 넷째, 기후변화가 녹색보호주의나 자국 우선주의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상황에서 기후클럽이라는 복수국간 협력체를 통해 이러한 움직임에 대응하고, 우리의 해외시장과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경제안보 차원의 고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기후클럽에서의 논의는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해야 하고 동시에 무역을 왜곡하지 않는 형태로 균형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논의 중인 기후클럽의 핵심적인 전략 목표는 저배출 상품에 대한 공통의 정의 및 표준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구축함으로써 수요를 창출하고 해당 제품의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위의 다섯 가지 협상의 원칙을 견지하면서 기후클럽을 통해 탄소중립에 필요한 기술혁신을 가속화하고 저탄소산업 전환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협력 경로도 제시하였다. ① 기후기술 우선순위 선정 및 개발 및 투자 협력, ② 기술표준 설정 협력 강화, ③ 기후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시장 형성 및 민간투자 유치 협력, ④ 저탄소 제품의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 ⑤ 저탄소 기술 시장의 표준화, ⑥ 기술 확산 및 고도화 협력이다. 이러한 협력 경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의별로 우리의 입장을 반영하여 국내 기업의 특수성과 애로사항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에서 기후클럽 내 주요 협력 가능 분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표준인증 협력을 들 수 있다. 기후클럽에서 탄소발자국 표준을 개발하고 규범을 마련하기 위해 회원국들의 협력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도 표준 개발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접근 방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소 부문에 대한 논의는 탈탄소화 목표를 위해 각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향후 기후클럽에서 추가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청정수소 정의에 대한 논의에 적극 참여해 원자력수소도 청정수소에 포함되도록 하는 등 국내 산업계 의견을 적극 개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탈탄소화를 위해 저탄소 제품을 생산하려면 생산 공정을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혁신과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가속화하기 위한 투자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기후클럽에서 디지털 기술과 탄소중립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구체적 협력이 필요하다.
한편 통상 정책 차원에서 기후클럽 관련 논의 진전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과 국내적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클럽 내 허용보조금 제도 도입을 제안하여 통상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투명성을 강화하는 조치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탄소중립에 필요한 자원, 기술, 서비스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공급망 안정화를 제안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셋째, 기후ㆍ통상 관련 주요 이니셔티브를 선별하여 참여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우리의 이해가 반영되면서도 탄소중립 추진과 경제안보에 기여할 수 있는 한국형 기후클럽과 기후ㆍ통상협정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제2장에서는 첫째, 기후클럽 논의가 등장한 배경으로서 주요국의 탄소중립 관련 정책과 성과, 정부와 민간의 관련 투자 현황, 국제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는 기후ㆍ통상 협력 현황 그리고 기후클럽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Climate Watch의 시계열 데이터 분석과 주요국의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자료, 전문가 간담회 결과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정책의 성과를 검토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정책 측면의 온도 차를 확인했다.
둘째, 주요국 정부와 민간 영역에서 시행 중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에 대해 IEA의 에너지 부분 투자 데이터와 FDI Markets의 기업 수준 해외직접투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투자 패턴을 분석한 결과 국가간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 격차와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인했다. 셋째, 국제사회에서의 협력 확산 현황을 주요 이니셔티브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어떠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국제 이니셔티브 및 연합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산업 탈탄소화 의제(IDA), 수소행동협약(HAP), OECD의 탄소 저감 접근에 대한 포괄적 의제(IFCMA), 산업 심층 탈탄소화 이니셔티브(IDDI), 브레이크스루 어젠다(Breakthrough Agenda), 선도그룹연합(FMC), 공정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이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나 기후 관련 다자간 정상회의를 계기로 창출된 포괄적이고 주목할 만한 이니셔티브였다. 넷째, 앞서 살펴본 정책, 투자, 협력 현황에서 나타나는 무임승차 또는 탄소누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후클럽 개념을 선행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이러한 제2장의 내용을 통해 미국과 EU가 주도하는 기후ㆍ통상 질서 속에 규제가 약한 지역에서 탄소배출이 더 많이 발생하는 탄소누출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와 저변에 깔린 경쟁력 저하에 대한 부담이 결국 클럽화된 기후 협력체를 등장시키는 배경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제3장은 실제 협상 중인 G7 주도의 기후클럽과 미국 –EU 주도의 지속가능한 글로벌 철강ㆍ알루미늄 협정 사례를 통해 기후클럽 논의의 쟁점을 파악한다. G7 기후클럽은 개방적ㆍ협력적ㆍ포용적이며, 파리협정과 그에 따른 결정의 효율적인 이행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후클럽의 활동은 세 개의 필라로 구성되는데, 필라 I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투명하고 도전적인 정책의 선도, 필라 II는 산업 전환, 필라 III는 기후 협력 및 파트너십 강화에 관한 내용이다. 2023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기후클럽이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GSSA 협상은 미국이 특정 철강ㆍ알루미늄 수입에 징벌적 관세(페널티)를 제안하고 있다는 점, 기후 목적뿐 아니라 철강ㆍ알루미늄 무역분쟁 해결, 전지구적 과잉생산설비 대응, EU CBAM과 미국 IRA에 대한 상호 우려사항 해결 등 다양한 협상목표를 복합적으로 추구한다는 점 등에서 G7 이니셔티브 논의와 구분된다. 미국은 GSSA 회원국 지위와 징벌적 관세 부과 가능성을 연계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반면 EU는 징벌적 관세 부과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EU는 기후ㆍ무역에 관한 국제 협력을 전제로, 국제법상 의무에 합치하는 한 GSSA 회원국이 각자 자국의 기후정책 도입 및 시행에 완전한 재량권을 가질 것을 제안한다. 또한 GSSA 회원국이 상계관세를 부과할 수 없는 ‘허용’ 환경보조금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위의 두 기후클럽 논의가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의 탄소중립 가속화를 전제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후ㆍ탈탄소화와 통상이슈를 하나의 합의 내에 연계하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할지라도, 이러한 이슈를 실제 협상에서 복합적으로 다루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임을 현재 G7 이니셔티브와 GSSA 협상 경과가 보여주고 있다. G7 기후클럽은 회원국을 확장하면서 초기에 논의되었던 탄소가격제, CBAM과 같은 이슈가 협상 테이블에서 사라졌고, GSSA는 유효한 탄소 다배출국이 GSSA에 가입하여 일정한 배출 감축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한, 기후위기 대응의 실효성 측면에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통상 조치가 WTO 협정 등 현행 국제의무와 다자규칙에 합치하는 것이어야 하는데 상이한 관세율을 적용하거나 저탄소화를 위한 보조금을 허용보조금에 포함시키는 것은 이러한 규칙에 쉽게 합치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제4장에서는 기후클럽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참여 인센티브 구조에 따른 국가별 경제적 효용을 연산가능일반균형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제 수준의 기후 협력체가 가지는 딜레마를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의 연구 결과를 검토하였다. 결국 이론적 모형이 제시하는 소규모의 안정적 기후클럽, 대규모의 비효율적 기후클럽이 도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하에 본 연구는 현실에서 확산되는 기후클럽이 오히려 증가하는 딜레마를 설명하고, 협력에 대한 수요를 반사실적 분석(counter factual analysis)을 통해 살펴보며, 협력의 형태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후ㆍ통상 협력에서 중국의 역할을 시뮬레이션 분석하여 기후클럽이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주요국, 특히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4장의 분석 결과는 이론에서 고려되지 못한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가 법제화된 제약하에서 각국이 탄소배출 저감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결국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와 그 성과의 공유가 핵심이 될 것임을 의미한다.
제5장은 기후클럽의 등장에 따라 우리 산업이 직면하게 될 기회와 위기 요인을 산업별 통계조사와 해당 산업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탈탄소화 논의가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철강, 시멘트 산업과 주요 산업이면서도 무역의존도가 높고 탄소집약도가 높은 화학(석유화학 및 플라스틱) 산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후클럽 관련 주요 논의가 비공개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산업계와 기후클럽 또는 국제사회에서 논의되고 있거나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산업의 탈탄소화 관련 논의 쟁점을 공유하여 기후클럽 논의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기후클럽 참여에 대한 산업별 의견, 기후클럽과 국내외 탄소중립 강화에 대한 대응과 애로요인, 정책 수요 등의 인터뷰 결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철강업계는 표준 선도, 공급망 협력, CBAM 면제 가능성 등의 기대로 기후클럽 가입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으며, 기후클럽 가입국과의 협력을 추진할 경우 그린 공급망 구축과 표준개발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기후클럽 가입 시 가장 우려스러운 부문으로는 NDC 목표 상향 압박과 탄소 규제 강화를 들었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철강산업의 애로사항은 탈탄소화 압력 우려, 기후클럽 녹색시장에서 고로 생산 방식 국가의 철강 경쟁력 약화 우려, CBAM 연계 시 무상할당 전환 및 정보보안 우려, 그린에너지 인프라 구축 미비, 철 스크랩 부족 등이다. 이에 대한 정책과제로는 논의 초기부터 국제표준 룰 세팅에 참여하여 우리의 입장이 반영되도록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배출량 산정 방식에 대해 논의할 때 생산 방식에 따라 제품별로 탄소배출량이 다르게 산정되도록 의견을 제시하고, 기후클럽 회원국간에는 탈탄소화를 위해 필요한 철 스크랩 수출 제한을 금지하는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철강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전기로 도입과 수소환원제철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이다.
시멘트 업계는 기후클럽 표준 개발 논의 시 각 국가의 특성을 반영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며, 기후클럽 협상 논의에서 시멘트 안전성에 대한 협의회 구축을 제안했다. 시멘트 업계는 공정배출 비중이 높아 온실가스 감축 여력이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으며 시멘트 탈탄소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먼저 포틀랜드시멘트 위주의 국내 시멘트 생산구조를 개선하고, 탄소배출이 적은 혼합시멘트 생산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한국산업표준(KS) 제ㆍ개정을 통해 혼합시멘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인센티브 제도 및 할당제 등 혼합시멘트 수요 확대 정책이 요구된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지속적으로 배출효율을 개선해왔기 때문에 현재의 에너지 인프라 환경에서는 감축이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기후클럽에서의 분야별 저탄소 전환 논의에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바이오납사 등 화석연료의 대체 원료에 대한 개발과 안정적 공급망 확보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석유화학 업계는 탈탄소화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을 위한 환경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며, 국제감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배출권을 확보하고 NDC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내 배출권 제도의 개편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플라스틱 업계는 탄소감축목표나 해외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직접배출 규제에 직접적인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후클럽 가입을 통해 국제기준이나 해외 운영사례가 도입되는 것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플라스틱의 탈탄소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확대, 폐플라스틱의 선별수거 인프라 구축이 정책 및 규제와 관련성이 높은데 기후클럽에 참여하여 해외 모범사례 도입 및 정책벤치마킹을 통해 다소 불분명하거나 일관성 없는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 정책이 국제기준에 부합하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제6장에서는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복수국간 기후ㆍ통상 관련 협상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원칙과 방향, 그리고 기후클럽 내의 협력 분야와 통상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G7 및 GSSA에 국한하지 않고, 복수국간의 기후ㆍ통상이 연계된 협력이라는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대응 원칙과 방향, 협력이 가능한 분야를 폭넓게 다루었고 나아가 관련 논의에서 우리가 제안할 수 있는 기후ㆍ통상 관련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협상의 원칙은 첫째, WTO 규범에 부합하는 기후ㆍ통상 질서를 확립하는 것이다. 둘째, 체제나 이념에 따른 경쟁보다는 탄소저감 비용을 낮추기 위한 협력을 기반으로 실용적인 논의를 추구해야 한다. 셋째,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포용적 기후클럽의 원칙하에 기후위기로 피해를 입은 지역과 그린전환에 따라 좌초되는 산업에 대한 조정지원을 강화한다는 원칙이 필요하다. 넷째, 기후변화가 녹색보호주의나 자국 우선주의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상황에서 기후클럽이라는 복수국간 협력체를 통해 이러한 움직임에 대응하고, 우리의 해외시장과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경제안보 차원의 고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기후클럽에서의 논의는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해야 하고 동시에 무역을 왜곡하지 않는 형태로 균형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논의 중인 기후클럽의 핵심적인 전략 목표는 저배출 상품에 대한 공통의 정의 및 표준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구축함으로써 수요를 창출하고 해당 제품의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위의 다섯 가지 협상의 원칙을 견지하면서 기후클럽을 통해 탄소중립에 필요한 기술혁신을 가속화하고 저탄소산업 전환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협력 경로도 제시하였다. ① 기후기술 우선순위 선정 및 개발 및 투자 협력, ② 기술표준 설정 협력 강화, ③ 기후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시장 형성 및 민간투자 유치 협력, ④ 저탄소 제품의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 ⑤ 저탄소 기술 시장의 표준화, ⑥ 기술 확산 및 고도화 협력이다. 이러한 협력 경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의별로 우리의 입장을 반영하여 국내 기업의 특수성과 애로사항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에서 기후클럽 내 주요 협력 가능 분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표준인증 협력을 들 수 있다. 기후클럽에서 탄소발자국 표준을 개발하고 규범을 마련하기 위해 회원국들의 협력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도 표준 개발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접근 방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소 부문에 대한 논의는 탈탄소화 목표를 위해 각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향후 기후클럽에서 추가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청정수소 정의에 대한 논의에 적극 참여해 원자력수소도 청정수소에 포함되도록 하는 등 국내 산업계 의견을 적극 개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탈탄소화를 위해 저탄소 제품을 생산하려면 생산 공정을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혁신과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가속화하기 위한 투자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기후클럽에서 디지털 기술과 탄소중립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구체적 협력이 필요하다.
한편 통상 정책 차원에서 기후클럽 관련 논의 진전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과 국내적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클럽 내 허용보조금 제도 도입을 제안하여 통상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투명성을 강화하는 조치를 요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탄소중립에 필요한 자원, 기술, 서비스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공급망 안정화를 제안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셋째, 기후ㆍ통상 관련 주요 이니셔티브를 선별하여 참여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우리의 이해가 반영되면서도 탄소중립 추진과 경제안보에 기여할 수 있는 한국형 기후클럽과 기후ㆍ통상협정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South Korea faces a dilemma between responding to an invitation from a climate club advocating for rapid carbon reduction and addressing the domestic burden of decarbonization, rooted in its carbon emission-intensive industrial structure. The Korean government must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goals of achieving climate neutrality and sustaining economic growth. These two issues represent a kind of Gordian knot, notoriously difficult to untangle. Yet, the reality is stark, and the urgency of the climate crisis is undeniab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theory of the climate club. Utilizing this framework, we examine the G7-initiated climate club and the GSSA as real-world case studies.
In chapter 2, we analyze the global carbon reduction effort by examining investment data from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and FDI markets to analyze the investment patterns in the climate and environmental sectors at both government and private firm levels. This reveals a disparity between inward and outward investment patterns. We also observe that the main destination for investment is renewable energy, yet capital flow into fossil fuels remains substantial. This reflects the varied levels of 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achievements between the G7 and developing countries, which amplifies concerns over carbon leakage and the issue of competitiveness in developed countr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gnize the increasing number of new initiatives concerning climate change. Among them, due to their inclusiveness and comprehensiveness, the IDA, IFCMA, IDDA, Breakthrough Agenda, FMC, JETP are particularly noteworthy.
Chapter 3 identifies the issues surrounding climate club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G7-led climate club and the US-EU-led Sustainable Steel and Aluminum Agreement currently under negotiation. The G7 climate club aims to be open, cooperative, and inclusive, supporting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Paris Agreement and its subsequent decisions. The activities of the Climate Club are structured around three pillars: Pillar I focuses on leading transparent and ambitious policie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Pillar II is concerned with industrial transition; and Pillar III strengthens climate cooperation and partnerships. The climate club is scheduled to officially launch at the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28) in 2023.
Negotiations for the GSSA are distinguished by several points: the United States is proposing punitive tariffs on certain steel and aluminum imports; the goals extend beyond climate objectives to include resolving steel and aluminum trade disputes, addressing global overcapacity, and resolving mutual concerns regarding the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and the United States’ Inflation Reduction Act (IRA). The United States hopes to link the potential imposition of punitive tariffs with membership in the GSSA. On the other hand, the EU is opposed to imposing punitive tariffs and suggests that, as long as it i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GSSA member countries should be granted full discretion to adopt and implement their own climate policies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limate and trade. The EU also proposes introducing ‘permitted’ environmental subsidies that would not allow the imposition of countervailing duties by GSSA members.
Although the discussions around these two climate clubs are developing in different ways, they both presuppose the acceleration of carbon neutrality in greenhouse gas-intensive industries. Moreover, while it is theoretically possible to link climate decarbonization and trade issues within a single agreement, the current negotiations for the G7 initiative and GSSA show that dealing with such issues in practice is an exceedingly difficult task. In the G7 climate club, as the membership expands, issues initially discussed, such as carbon pricing and CBAM, have disappeared from the negotiation table. The GSSA is showing limitations in terms of effectiveness, as long as significant greenhouse gas emitters do not join the GSSA.
In Chapter 4, we analyze the economic utility of each countr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centive structure that determines the stability of a climate club, using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Building on previous research, we identified the dilemmas inherent in international-level climate cooperation bodies and reviewed various solutions to these dilemmas. In a situation where only small, stable climate clubs or large, inefficient climate clubs can emerge according to theoretical models, this study explains the increasing dilemmas faced by the proliferating real-world climate clubs. It also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ooperation depending on its form through counterfactual analysis. Additionally, by conducting a simulation analysis of China’s role in climate trade cooperation, we have determined that the role of major countries, especially China, is critical for climate clubs to effectively contribute 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he findings of Chapter 4 suggest that, under the constraints of legalized carbon neutrality targets of key countries, cooperation is needed to reduce the costs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Ultimately, this implies that investment in the renewable energy sector and the sharing of its outcomes will be essential.
Chapter 5 analyze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at our industries will face with the emergence of climate club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dustrial statistical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from selected industries, which include steel and cement due to their rapid advancement in decarbonization discussions, as well as the chemical industr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rade and has a high carbon intensity.
For the steel industry, joining a climate club is viewed positively due to the potential for leading standards, supply chain cooperation, and possible exemptions from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Concerns include increased pressure to enhanc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 targets and stricter carbon regulations. Issues raised by the steel industry involve worries about decarbonization pressures, weakened competitiveness in green markets for blast furnace steel producers, conversion concerns related to CBAM, insufficient green energy infrastructure, and a scarcity of steel scrap. Policy recommendations stress the importance of early involvement in setting international standards to reflect domestic perspectives, especially regarding carbon emission calculations for different production methods and discussing prohibition of export restrictions on necessary steel scrap among climate club members. An urgent need for the steel industry is expanded government support for electric arc furnace introduction and hydrogen-based steelmaking.
The cement industry suggests that climate club standard development should accou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council to discuss the safety of cement. Despite the high proportion of process emissions making greenhouse gas reduction challenging, there is a need for domestic policy improvements. This includes revising the domestic cement production structure centered on Portland cement, and establishing standards for blended cement that emits less carbon.
The petrochemical industry in Korea has reached its limit for emission efficiency within the current energy infrastructure and advocates for paced discussions on low-carbon transitions in climate clubs. The industry emphasizes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stable supply chains for alternative raw materials like bio-naphtha. It calls for an overhaul of the domestic emissions trading system to secure emission rights and contribute to the NDC.
The plastic industry is not directly targeted by direct emission regulations or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hence they view joining a climate club positively as it could lead to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best operational practices. The plastic industry looks forward to an improvement in domestic recycling policies to align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y participating in climate clubs and benchmarking foreign exemplary cases. Overall, Chapter 5 highlights that the advent of climate clubs presents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those industries, with the need for domestic industries to adapt to international standards and decarbonization goals while advocating for supportive policies and innovations to maintain competitiveness.
In conclusion, Chapter 6 synthesizes the preceding analysis to articulate a cohesive set of principles, strategic direc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South Korea’s engagement in climate club negotiations aimed at carbon neutrality. Our policy blueprint extends beyond the confines of the G7 climate club and GSSA, encompassing a broader vision for climate and trade cooperation across multiple countries.
Principles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Climate Club Negotiations: 1. WTO-Coherent Climate Trade Framework: Advocate for a climate trade policy that aligns with existing WTO regulations to ensure a fair and level playing field. 2. Collaborative Climate Club Dialogues: Foster climate club discussions grounded in shared efforts for cost-effective carbon mitigation, shifting the focus from competitive dynamics to collective action. 3. Support for Transitioning Regions and Industries: Increase support mechanisms for regions and industries most impacted by the shift towards green energy, facilitating a just and equitable transition. 4. Multilateral Cooperation Against Green Protectionism: Utilize climate clubs as platforms for multilateral collaboration to counter green protectionism and safeguard economic security within the international marketplace. 5. Balanced Climate and Trade Objectives: Ensure that climate club deliberations simultaneously advance carbon neutrality and uphold the integrity of global trade, avoiding distortive effects.
Policy Cooperation Pathways within Climate Clubs: To catalyz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expedite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economy, we propose: Prioritization and Investment in Climate Technologies: Channel investments into high-priority climate technologies. Collaboration on Technical Standards: Work in concert with international partners to develop and harmonize technical standards for new technologies. Creation of Climate Tech Markets: Stimulate markets for products incorporating climate technology and enhance the attractiveness for private investments. Global Low-Carbon Supply Chains: Construct robust supply chains that support the distribution of low-carbon products globally. Standardization and Dissemination of Technologies: Promote the standardization of low-carbon technologies and facilitate their broad dissemination.
Focal Points for Climate Club Cooperation: Foster cooperation in standard certification processes. Engage actively in the delineation of clean hydrogen standards. Collaborate on investment initiatives that accelerate the transformation of production processes to low-carbon models. Emphasize the pivotal role of digital technologies in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rade Policy Considerations: Introducing a system of permissible subsidies to mitigate trade conflicts. Ensuring stability in the supply chain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Encouraging broader participation in climate-related initiatives. Crafting a Korea-centric climate club strategy that aligns with our national interests, enhancing economic security, and effectively navigating global trade complexities. The policies and strategies delineated herein are designed to position Korea at the vanguard of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driving forward the global agenda toward a sustainable and prosperous low-carbon future.
In chapter 2, we analyze the global carbon reduction effort by examining investment data from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and FDI markets to analyze the investment patterns in the climate and environmental sectors at both government and private firm levels. This reveals a disparity between inward and outward investment patterns. We also observe that the main destination for investment is renewable energy, yet capital flow into fossil fuels remains substantial. This reflects the varied levels of 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achievements between the G7 and developing countries, which amplifies concerns over carbon leakage and the issue of competitiveness in developed countr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gnize the increasing number of new initiatives concerning climate change. Among them, due to their inclusiveness and comprehensiveness, the IDA, IFCMA, IDDA, Breakthrough Agenda, FMC, JETP are particularly noteworthy.
Chapter 3 identifies the issues surrounding climate club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G7-led climate club and the US-EU-led Sustainable Steel and Aluminum Agreement currently under negotiation. The G7 climate club aims to be open, cooperative, and inclusive, supporting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Paris Agreement and its subsequent decisions. The activities of the Climate Club are structured around three pillars: Pillar I focuses on leading transparent and ambitious policie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Pillar II is concerned with industrial transition; and Pillar III strengthens climate cooperation and partnerships. The climate club is scheduled to officially launch at the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28) in 2023.
Negotiations for the GSSA are distinguished by several points: the United States is proposing punitive tariffs on certain steel and aluminum imports; the goals extend beyond climate objectives to include resolving steel and aluminum trade disputes, addressing global overcapacity, and resolving mutual concerns regarding the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and the United States’ Inflation Reduction Act (IRA). The United States hopes to link the potential imposition of punitive tariffs with membership in the GSSA. On the other hand, the EU is opposed to imposing punitive tariffs and suggests that, as long as it i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GSSA member countries should be granted full discretion to adopt and implement their own climate policies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limate and trade. The EU also proposes introducing ‘permitted’ environmental subsidies that would not allow the imposition of countervailing duties by GSSA members.
Although the discussions around these two climate clubs are developing in different ways, they both presuppose the acceleration of carbon neutrality in greenhouse gas-intensive industries. Moreover, while it is theoretically possible to link climate decarbonization and trade issues within a single agreement, the current negotiations for the G7 initiative and GSSA show that dealing with such issues in practice is an exceedingly difficult task. In the G7 climate club, as the membership expands, issues initially discussed, such as carbon pricing and CBAM, have disappeared from the negotiation table. The GSSA is showing limitations in terms of effectiveness, as long as significant greenhouse gas emitters do not join the GSSA.
In Chapter 4, we analyze the economic utility of each countr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centive structure that determines the stability of a climate club, using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Building on previous research, we identified the dilemmas inherent in international-level climate cooperation bodies and reviewed various solutions to these dilemmas. In a situation where only small, stable climate clubs or large, inefficient climate clubs can emerge according to theoretical models, this study explains the increasing dilemmas faced by the proliferating real-world climate clubs. It also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ooperation depending on its form through counterfactual analysis. Additionally, by conducting a simulation analysis of China’s role in climate trade cooperation, we have determined that the role of major countries, especially China, is critical for climate clubs to effectively contribute 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he findings of Chapter 4 suggest that, under the constraints of legalized carbon neutrality targets of key countries, cooperation is needed to reduce the costs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Ultimately, this implies that investment in the renewable energy sector and the sharing of its outcomes will be essential.
Chapter 5 analyze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at our industries will face with the emergence of climate club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dustrial statistical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from selected industries, which include steel and cement due to their rapid advancement in decarbonization discussions, as well as the chemical industr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rade and has a high carbon intensity.
For the steel industry, joining a climate club is viewed positively due to the potential for leading standards, supply chain cooperation, and possible exemptions from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Concerns include increased pressure to enhanc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 targets and stricter carbon regulations. Issues raised by the steel industry involve worries about decarbonization pressures, weakened competitiveness in green markets for blast furnace steel producers, conversion concerns related to CBAM, insufficient green energy infrastructure, and a scarcity of steel scrap. Policy recommendations stress the importance of early involvement in setting international standards to reflect domestic perspectives, especially regarding carbon emission calculations for different production methods and discussing prohibition of export restrictions on necessary steel scrap among climate club members. An urgent need for the steel industry is expanded government support for electric arc furnace introduction and hydrogen-based steelmaking.
The cement industry suggests that climate club standard development should accou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council to discuss the safety of cement. Despite the high proportion of process emissions making greenhouse gas reduction challenging, there is a need for domestic policy improvements. This includes revising the domestic cement production structure centered on Portland cement, and establishing standards for blended cement that emits less carbon.
The petrochemical industry in Korea has reached its limit for emission efficiency within the current energy infrastructure and advocates for paced discussions on low-carbon transitions in climate clubs. The industry emphasizes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stable supply chains for alternative raw materials like bio-naphtha. It calls for an overhaul of the domestic emissions trading system to secure emission rights and contribute to the NDC.
The plastic industry is not directly targeted by direct emission regulations or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hence they view joining a climate club positively as it could lead to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best operational practices. The plastic industry looks forward to an improvement in domestic recycling policies to align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y participating in climate clubs and benchmarking foreign exemplary cases. Overall, Chapter 5 highlights that the advent of climate clubs presents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those industries, with the need for domestic industries to adapt to international standards and decarbonization goals while advocating for supportive policies and innovations to maintain competitiveness.
In conclusion, Chapter 6 synthesizes the preceding analysis to articulate a cohesive set of principles, strategic direc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South Korea’s engagement in climate club negotiations aimed at carbon neutrality. Our policy blueprint extends beyond the confines of the G7 climate club and GSSA, encompassing a broader vision for climate and trade cooperation across multiple countries.
Principles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Climate Club Negotiations: 1. WTO-Coherent Climate Trade Framework: Advocate for a climate trade policy that aligns with existing WTO regulations to ensure a fair and level playing field. 2. Collaborative Climate Club Dialogues: Foster climate club discussions grounded in shared efforts for cost-effective carbon mitigation, shifting the focus from competitive dynamics to collective action. 3. Support for Transitioning Regions and Industries: Increase support mechanisms for regions and industries most impacted by the shift towards green energy, facilitating a just and equitable transition. 4. Multilateral Cooperation Against Green Protectionism: Utilize climate clubs as platforms for multilateral collaboration to counter green protectionism and safeguard economic security within the international marketplace. 5. Balanced Climate and Trade Objectives: Ensure that climate club deliberations simultaneously advance carbon neutrality and uphold the integrity of global trade, avoiding distortive effects.
Policy Cooperation Pathways within Climate Clubs: To catalyz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expedite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economy, we propose: Prioritization and Investment in Climate Technologies: Channel investments into high-priority climate technologies. Collaboration on Technical Standards: Work in concert with international partners to develop and harmonize technical standards for new technologies. Creation of Climate Tech Markets: Stimulate markets for products incorporating climate technology and enhance the attractiveness for private investments. Global Low-Carbon Supply Chains: Construct robust supply chains that support the distribution of low-carbon products globally. Standardization and Dissemination of Technologies: Promote the standardization of low-carbon technologies and facilitate their broad dissemination.
Focal Points for Climate Club Cooperation: Foster cooperation in standard certification processes. Engage actively in the delineation of clean hydrogen standards. Collaborate on investment initiatives that accelerate the transformation of production processes to low-carbon models. Emphasize the pivotal role of digital technologies in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rade Policy Considerations: Introducing a system of permissible subsidies to mitigate trade conflicts. Ensuring stability in the supply chain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Encouraging broader participation in climate-related initiatives. Crafting a Korea-centric climate club strategy that aligns with our national interests, enhancing economic security, and effectively navigating global trade complexities. The policies and strategies delineated herein are designed to position Korea at the vanguard of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driving forward the global agenda toward a sustainable and prosperous low-carbon future.
국문요약
약어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3. 연구의 차별성
제2장 국제사회 탄소중립 노력과 기후‧통상 협력
1. 주요국의 탄소 감축 및 투자 현황
2. 국제사회의 기후‧통상 협력
3. 기후클럽 논의의 등장
제3장 기후클럽 논의와 쟁점
1. G7 주도 기후클럽
2. 미·EU 간 '지속가능한 글로벌 철강·알루미늄 협정(GSSA)' 협상
제4장 기후클럽 참여의 경제적 영향 분석
1. 선행연구
2. 모형
3. 분석 시나리오
4. 경제적 영향 분석 결과
제5장 기후클럽 가입과 우리 산업의 대응 방향
1. 주요 산업별 기후대응 현황
2. 기후클럽에서의 산업별 논의 쟁점
3. 기후클럽에 대한 산업별 의견
제6장 기후클럽 대응 방향
1. 원칙과 방향
2. 기후클럽 내 협력 분야
3. 기후‧통상 정책 대응방안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약어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3. 연구의 차별성
제2장 국제사회 탄소중립 노력과 기후‧통상 협력
1. 주요국의 탄소 감축 및 투자 현황
2. 국제사회의 기후‧통상 협력
3. 기후클럽 논의의 등장
제3장 기후클럽 논의와 쟁점
1. G7 주도 기후클럽
2. 미·EU 간 '지속가능한 글로벌 철강·알루미늄 협정(GSSA)' 협상
제4장 기후클럽 참여의 경제적 영향 분석
1. 선행연구
2. 모형
3. 분석 시나리오
4. 경제적 영향 분석 결과
제5장 기후클럽 가입과 우리 산업의 대응 방향
1. 주요 산업별 기후대응 현황
2. 기후클럽에서의 산업별 논의 쟁점
3. 기후클럽에 대한 산업별 의견
제6장 기후클럽 대응 방향
1. 원칙과 방향
2. 기후클럽 내 협력 분야
3. 기후‧통상 정책 대응방안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309 |
---|---|
판매가격 | 12,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ESG 추진 현황과 한·중 정책 비교 및 대응방향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탄소중립과 그린성장전략에 관한 연구: EU, 미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환경 상품·서비스 시장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미중 전략경쟁 내 중국 탄소중립 대외전략과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자료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 평가와 시사점
2022-10-25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기후금융의 현황과 발전방향: 녹색채권을 중심으로
2022-06-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탄소 중립 대응 정책과 한국의 그린뉴딜과의 협력 방안
2022-03-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