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구 발간자료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274/287
-
일본의 기술무역
최근 세계경제는 경제의 범세계화(Globalization)에 따라 국제무역 및 해외투자의 급격한 신장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무역의 신장률은 1980년 중반 이후 세계경제의 실질성장률을 상회하고 있고, 종래에는 국제거래가 적었던 서비스(금융, 보험, 운..
유진수 발간일 1993.02.01
기술협력원문보기목차序 言
Ⅰ. 序論
1. 技術과 관련된 槪念의 說明
2. 技術貿易의 特性 및 硏究의 範圍
Ⅱ. 日本의 技術貿易
1. 日本의 技術輸入
2. 日本의 技術輸出
3. 外國技術에의 依存度
4. 日本의 技術貿易收支
5. 日本의 主要 技術貿易 仲介機關
Ⅲ. 韓 · 日間의 技術貿易 - 日本으로부터의 技術輸入
Ⅳ. 結論 및 示唆點
參考文獻
국문요약최근 세계경제는 경제의 범세계화(Globalization)에 따라 국제무역 및 해외투자의 급격한 신장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무역의 신장률은 1980년 중반 이후 세계경제의 실질성장률을 상회하고 있고, 종래에는 국제거래가 적었던 서비스(금융, 보험, 운수, 기술용역, 전문서비스)의 무역이 크게 증가하여 서비스무역의 신장률은 상품무역의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다. 외국인투자도 크게 증가하여 세계 전체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은 1986년 757억 달러에서 1990년 1,796억 달러로 증가하였다.직접투자에 의해 현지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현지에서의 연구개발도 자연 증가하게 되어, 경제활동의 범세계화는 과학과 기술활동에 있어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1970년대에 시작된 정보 ·전자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1980년대에 일어난 정보통신과 컴퓨터의 결합에 의한 기술혁신은 경제활동의 국제화를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고도의 국제적인 통신수단과 수송네트워크의 정비는 과학기술의 정보유통, 연구자 및 기술자의 왕래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특히 종래의 부존자원 및 생산비의 비교우위를 바탕으로 한 국제분업구조는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구조로 개편되어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각국은 뒤떨어진 분야의 기술을 이전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 와서 우리나라 상품은 선진국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는데, 이는 임금의 급격한 상승에 따른 노동비용의 상승에도 원인이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을 우리가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으로 볼 수도 있다. 더욱이 최근 기술선진국들은 자국의 기술우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기술이전을 기피하기 때문에 외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기 또한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이와 같은 시점에서, 일본이 기술후진국에서 기술선진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기술무역정책을 펴왔으며 기술수입과 기술수출의 추이와 특징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그 자체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일본의 경험을 토대로 효율적인 기술무역 관련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나타내줄 것으로 여겨진다. -
중국 국영기업 개혁의 전개와 전망
중국의 경제체제 개혁과정은 다른 사회주의국가들과는 다른 성격을 나타내주고 있다. 오늘날 구소련이나 동유럽국가들은 체제전환을 명시적으로 내세우며, 기업의 사유·민영화(privatization)와 가격결정 및 자원배분기구의 시장화(marketization)..
김시중 발간일 1993.02.01
경제개혁원문보기목차序 言
Ⅰ. 序 論
Ⅱ. 中國 社會主義 企業體制와 國營企業의 特徵
1. 中國 社會主義 企業體制의 성립과정
2. 中國의 企業 分類 體系
3. 中國 國營企業의 特徵과 問題點
Ⅲ. 中國 國營企業改革의 展開
1. 전반적 특징
2. 초기의 企業改革 措置(1978~83)
3. '利改稅' 改革의 도입(1984~86)
4. 請負經營責任制의 광범위한 실시(1987~ )
5. 賃貸經營責任制의 실시
6. 최근 추진되고 있는 새로운 企業改革 措置
Ⅳ. 中國 國營企業 經營環境의 改革
1. 雇傭 및 賃金體制의 改革
2. 企業 指導體制의 改革
3. 市場競爭體制의 導入
4. 企業集團의 育成
5. 法規의 整備
Ⅴ. 中國 國營企業 改革의 評價
1. 改革의 問題點
2. 改革 成果에 대한 實證的 檢討
Ⅵ. 結語 : 展望과 示唆點
參考文獻국문요약중국의 경제체제 개혁과정은 다른 사회주의국가들과는 다른 성격을 나타내주고 있다. 오늘날 구소련이나 동유럽국가들은 체제전환을 명시적으로 내세우며, 기업의 사유·민영화(privatization)와 가격결정 및 자원배분기구의 시장화(marketization)를 목표로 하되, 다만 그 실시 범위(scope) 및 속도(speed)에 대한 논란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중국은 중국 특색을 가진 사회주의체제 혹은 계획이 있는 사회주의 상품경제의 건설을 목표로 내세우면서, 그 내용으로서 생산수단의 공유를 중심으로 하되 그 외 다양한 소유제를 허용하고, 노동에 따른 분배를 중심으로 하되 부분적으로 자산에 따른 분배를 허용하며, 계획경제와 시장조절 기능을 결합한다는 것 등을 제시하여 왔다. 1992년에 들어 개혁의 모형으로서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새로운 개념이 나타나 10월에 열린 14차 전국 당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됨으로써 계획 대 시장 논쟁에 종지부를 찍고 시장을 자원배분기구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회주의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듯이 중국이 공산당의 독재나 공유제를 위주로 한다는 방침을 철회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중국 경제체제 개혁의 목표와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면 불명확한 부분이 상당히 존재하지만, 중국이 개혁에 있어서 사회주의적 요소를 어느 정도까지 유지하려고 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의 구체적인 개혁과정은 사회주의의 기본요소를 유지해야 한다는 제약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Two years since German Unification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독일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과 공동으로 1992년 10월 1-2일 독일 통일 이후 2년: 경제적 평가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에 관한 국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독일 통일은 한국에게 중요한 시사점과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그..
배진영 발간일 1993.02.01
원문보기목차I. Alternatives and Consequences for Intergration of Two Economic Systems
- System Transformation and System Integration in Eastern Germany and Eastern
Europe: Some Lessons
- Speed and Timing of Economic Integration: Unification Cost Approach
II. Economic Integration and Adjustment of Industrial Structure
- The Treuhandanstalt: Attempt at a provisional
- Diffenrence in Industiral Structure of Two Koreas and Prospects for Economic
Integration
III. Economic Integration and Employment Policy
- East-German Labor Markets: Problems, Prospects and Policy
- Labor Market Consequences of German Unification and Its Implications to Korea
Appendices국문요약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독일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과 공동으로 1992년 10월 1-2일 독일 통일 이후 2년: 경제적 평가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에 관한 국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독일 통일은 한국에게 중요한 시사점과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통일 후 2년 동안 독일은 예상보다 극심한 어려움과 고민을 겪었으며, 이는 양국의 서로 다른 정치 및 경제 체제의 통합과 관련된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통일 독일의 경험으로부터, 한국은 지금부터 통일을 대비하기 위해 지혜와 에너지를 모으는데 주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원문보기목차머리말
目次
輸出入稅에 관한 法律
關稅率表
RATES OF EXPORT DUTIES ON COMMERCIAL GOODS
RATES OF IMPORT DUTIES ON COMMERCIAL GOODS
(HS 코드분류)
Division 1 : Live Animals
Division 2 : Meat and Edible Meat Offal, Fresh, Chilled or Frozen
Division 3 : Fish (not Marine Mammals), Crustaceans, Molluscs and Aquatic Invertebrates, and Preparations thereof
Division 4 : Milk and Milk Products, Eggs, Bird's Egg, Natural Honey, Animal Food, Whether be not Detailed or Mentioned in other Divisions.
Division 5 : Other Products from Animals, Whether not Detailed or Mentioned in Other Division
Division 6 : Plants and Parts of Plants ; Seeds, Fruit and Similarly ; Cut Flowers and Foliage
Division 7 : Vegetables and Fruit ; Eatable Roots
Division 8 : Fruits and Nuts
Division 9 : Coffee, Tea, Paragoay Tea (MATE) and Spices
Division 10 : Cereals
Division 11 : Meal and Flour of Wheat and Flour of Meslin, Starches, Ilunin and Wheat Gluten
Division 12 : Oil Seeds and Oleaginous Fruits ; other Fruits, Industrial Plants, Pharmacial Plants, Cereal Straw and Husks
Division 13 : Lac, Gums, Resin and Crude Vegetable Materials
Division 14 : Vegetable Materials of a Kind Used Primarily for Plainting ; other Products from Vegetable Materials not Detailed or Mentioned in other Divisions.
Division 15 : Pig fat ; Animal and Vegetable Oil ; Products from Animal and Vegetable Oil ; Preparations of Vegetable Fats ; Vegetable and Animal Wax.
Division 16 : Products Prepared from Meat, Fish or Crustaceans Moluscs or other Aquatic Invertebrates.
Division 17 : Sugar, Sugar Confectionary
Division 18 : Cocoa and Cocoa Products
Division 19 : Cereal Preparations and Preparations of Flour, Meal, Milk and Bakers
Division 20 : Vegetable, Root and Tuber Products.
Division 21 : Edible Products and Preparations
Division 22 : Beverages and Vinergar
Division 23 : Waste and Residues from Industry ; Food ; Foodstuff and Dried Grasses Prepared for Animals
Division 24 : Tobacco and Tobacco Substitutes
Division 25 : Salt, Sulphur, Clays, Stones, Quick Lime and Cement
Division 26 : Ores, Slag and Ash
Division 27 : Mineral Fuel, Mineral Oils and Manufactured Products, Mineral Pitch, Mineral Waxes.
Division 28 : Inorganic Chemicals ; Inorganic or Norganic Compounds of Precious Metal, Half Precious Metal, Rare Earth, Radio-Active Chemical Elements and Isotopes.
Division 29 : Organic Chemicals.
Division 30 : Pharmaceuticals
Division 31 : Fertilizers
Division 32 : Dycing, Tanning and Colouring Materials and Synthetic Organic Colouring Matter and Colour Lakes, and Preparations Based Thereon
Division 33 : Essential Oils, Perfume and Flavour Materials
Division 34 : Soap ; Organic Surface - active Products and Preparations ; Washing and Cleaning Products ; Artificial Waxes ; Polishes and Creams ; Candles and Similar Preparations ; Dental Wax and Dental Impression Compounds
Division 35 : Albuminoidal substances, modified starches and glues
Division 36 : Explosives and pyrotechnic products
Division 37 : Photographic and Cinematographic Supplies
Division 38 : Organic Chemical Products
Division 39 : Plastic and Plastic Products
Division 40 : Rubber and Articles Thereof
Division 41 : Hides and Skin (Except Furskins) Raw
Division 42 : Manufacture of Leather, Saddlery, and Harness, Travelling Articles, Handbags, and Similar Containers, Articles Made of Intestine of Animal
Division 43 : Furskin and Artificial fur, Articles of Furskin and Artificial fur
Division 44 : Wood and Articles of Wood ; Charcoal
Division 45 : Cork and Articles of Cork, Natural, Raw, Simply Prepared Waste : Crushed, Granulated
Division 46 : Products of Straw, and Plaiting Materials, Basketware, Wickerwork and Rattan
Division 47 : Wood Pulp, Pulps of Other Fibrous Cellulosic Material. Waste and Scrap of Paper and Paper Board
Division 48 : Paper, Paperboard and Articles of Paperpulp, of Paper or of PaperBoard
Division 49 : Books, Newspapers, Pictures, Photographs and Other Printed Matters, Hand - Written or Typed Manuscript, Maps
Division 50 : Silk
Division 51 : Wool, Fine or Coarse Animal Hair, Yarn and Fabrics Woven of Horse Hair
Division 52 : Cotton
Division 53 : Other Vegetable Textile Fibres, Paper Yarns and Fabric of Paper Yarn
Division 54 : Man - Made Fibres
Division 55 : Artificial Staple Fibres
Division 56 : Cotton, Felt, Nonwoven Articles, Twine, Cordage, Rope and Cables
Division 57 : Carpets and Other Textile Floor Coverings
Division 58 : Special Textile Fabrics, Tufted, Lace, Decorative Tapestries, Embroidery
Division 59 : Textile, Impregnated, Coated, Covered or Laminated Textile Articles for Industry
Division 60 : Knitted or Crocheted Fabrics
Division 61 : Articles of Apparel, Knitted or Crocheted
Division 62 : Ready-Made Garment, not Knitted or Crocheted
Division 63 : Made - up Textile Articles, Sets Consisting of Woven Fabric and Yarn, Secondhand Clothes Flock Fabrics
Division 64 : Footwear, and Similar Articles, Parts Thereof
Division 65 : Hat and Headgear and Parts Thereof
Division 66 : Umbrella and Sun Umbrella, Walking Stick, Seat Stick, Riding Crops and Parts Thereof
Division 67 : Processed Feather and Fur, Articles of Feather and Fur, Articial Flowers Articles of Human Hair
Division 68 : Articles of Stone, Plaster, Cement, Asbestos, Mica, or Similar Materials
Division 69 : Ceramics
Division 70 : Glass and Articles Thereof
Division 71 : Natural or Cultured Pearls ; Precious or Semi - Precious Stones ; Precious Metals, Metals Plated with Precious Metals and Articles Thereof ; Imitation Jewellery, Coins
Division 72 : Iron and Steel
Division 73 : Products of Iron or Steel
Division 74 : Copper and Products of Coppers
Division 75 : Nikel and Products of Nikel
Division 76 : Aluminum and Products of Aluminum
Division 78 : Lead and Products of Lead
Division 79 : Zinc and Products of Zinc
Division 80 : Tin and Products of Tin
Division 81 : Base metal, Cermets and ArTicles Thereof
Division 82 : Hand Tools, Knives, Scissors, Household Tools, . Parts Thereof, of Base Metals
Division 83 : Miscellaneous Articles of Base Metal
Division 84 : Steam or Vapour Generating Borlers and Other Mechanical Equipment
Division 85 : Electric Machines, Equipment and Parts Thereof ; Sound Recorders or Reproducers, Television Image and Sound Recorders or Reproducers and Auxiliary Parts Thereof
Division 86 : Rail Locomotives, Coaches and Trams and Parts Thereof ; Railway or Tramway Track Fixtures and Fittings and Their Parts ; Mechanical (Including Electro - Mechanical) Equipment for Signalling Traffic Control System
Division 87 : Vehides Other Than Rail Locomotives, Coaches or Trams and Their Parts
Division 88 : Aircraft and parts thereof
Division 89 : Ships, boats and floating structures
Division 90 : Optical, Photographic, Cinematographic, Measuring, Precisely Testing, Medical, Surgical Instruments and Apparatus
Division 91 : Watches, Clocks and Parts Thereof
Division 92 : Musical Instruments and Parts and Accessories Thereof
Division 93 : Weapons ; Parts and Accessories Thereof
Division 94 : Furniture, Bedding, Mattresses and Mattress Supports, Cushions and Similar Stuffed Furnishings, Lamps and Lighting Fittings, n.e.s, Illuminated Signes, Illuminated Name - Plates and the Like, Prefabricated Buildings
Division 95 : Toys, Games and Sporting Goods and Parts and Accessories Thereof
Division 96 : Other Articles
Division 97 : Works of Art ; Collectors' Pieces and Antiques
부록 : 輸出入關稅率 改正에 관한 閣僚評議會決定 359 / HDBT(1992. 9. 29)
국문요약 -
Economic Effects of Import Source Diversification Policy (ISDP)
수입선다변화제도는 국가별 수출입균형이 바람직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의 최대 입초국인 일본에 대한 무역역조를 개선하고 국내 유치산업을 보호/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수입선다변화제도의 합리성을..
강인수 발간일 1993.01.01
무역정책,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Contents
I. FORWARD
1. Issues
2. Outline of import source diversification policy
(1) Purpose of ISDP and designation of products to be covered
(2) Actual status
3. Japan's response
II. AN ANALYSIS OF ISDP'S OVERALL EFFECTS
1. Expected effects of ISDP
(1) Positive effects
(2) Negative effects
2. Analysis of actual evidence
(1) Import source diversification effects
(2) Competitiveness enhancing effects
III. ANALYSIS OF THE DYNAMIC EFFECTS OF ISDP
1.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1) Import source diversification effects and competitiveness enhancing effects
(2)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2. Effects of ISDP designation
3. Effects of liberalization (exclusion from ISDP)
4. Evaluation and implications
IV. A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PROGRAM FOR IMPROVEMENT
1. Comprehensive evaluation
(1) Overall effects and problems
(2) Policy implications
2.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ssociated with the execution of ISDP
(1) Problems with the execution of ISDP
(2) Plans for improving ISDP
3. Tentative plan for prior announcement of ISDP
〈Reference〉
Appendix
국문요약수입선다변화제도는 국가별 수출입균형이 바람직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의 최대 입초국인 일본에 대한 무역역조를 개선하고 국내 유치산업을 보호/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수입선다변화제도의 합리성을 논하기보다는 동 제도가 목적하는 바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달성하였는가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수입선다변화제도의 경제적 효과를 대일 수입비중 감소 및 수입대체로 대별할 수 있다고 할 때, 전자에 대해서는 여러 분석을 통하여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후자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우선 수입선 다변화 관련 품목의 대일 수입비중은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대일 수입비중과는 확연하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히 분석대상인 1980년대 기간 중 꾸준한 감소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일본 이외의 타국으로부터의 수입은 늘지 않아 다변화로 인해 수입억제효과만 나타난 경우도 상당히 있어서 단순히 대일 수입비중 감소가 시사하는 것보다는 수입선전환효과가 적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 시장개방정책의 특징과 효과
우리나라 시장개방정책의 추진과정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개방정책은 1980년대에 들어 경제의 자율화 및 개방화라는 정책방향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지만 시장개방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국내산업 여건을 고려하여 무역정책..
한홍렬 발간일 1993.01.01
경제개방원문보기목차序 言
Ⅰ. 序 論
1. 市場開放의 意義
2. 市場開放의 一般的 效果
Ⅱ. 우리나라의 輸入開放政策
1. 槪要
2. 市場開放의 國際的 比較
Ⅲ. 우리나라 市場開放政策의 特徵
1. 關稅率의 變化
2. 輸入自由化率의 變化
3. 相對的 輸入自由化率
Ⅳ. 市場開放政策의 經濟的效果
1. 市場開放과 主要 經濟指標의 變化
2. 規模別 雇傭比率의 變化
3. 市場開放과 規模의 經濟
Ⅴ. 要約 및 政策示唆點
1. 要約
2. 政策示唆點
參考文獻국문요약우리나라 시장개방정책의 추진과정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개방정책은 1980년대에 들어 경제의 자율화 및 개방화라는 정책방향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지만 시장개방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국내산업 여건을 고려하여 무역정책과 산업정책을 연계하려는 시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정책적 의도는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없거나 국내산업기반이 미미한 산업에 대하여서는 개방시기를 앞당기는 한편 일정기간 동안의 보호가 이루어질 경우 해외부문을 통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킬 수 있는 산업에 대해서는 개방의 속도를 정책적으로 조정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제조업내의 각 산업별 수입자유화율의 추이는 1980년을 기준으로 당시에 존재하던 수입자유화율의 산업별 격차가 1980년대 후반 거의 동일한 수준(100%)에 이르기까지 그 진행속도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였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 들어 급격한 자유화율이 증가하는 형태를 띠었다. 이 같은 추이는 수입개방정책의 전약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데 산업별 수입자유화율의 추이뿐만 아니라 수입선 다변화를 고려하여 산출한 실질수입자유화율과 명목수입자유화율의 차이가 특정 산업에 집중적으로 높게 나타난 사실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또한 미개방품목을 기준으로 하여 구성된 상대적 수입자유화율 또한 이 같은 성격과 일관성 있는 추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이상과 같은 수입자유화의 패턴에도 불구하고 관세율의 인하는 전 산업에 걸쳐 거의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졌으며 이와 함께 산업별 관세율의 편차도 많이 해소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과연 정책적 의도하에서 이루어졌는지는 판단하기 힘들지만 관세율의 균등화는 비록 실증적인 측면에서 검증되지는 않았으나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비효율을 줄여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GATT 및 주요선진국의 反덤핑제도와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은 1967년 GATT에 가입한 이래로, 1970년대 후반까지 강력한 수출지향 경제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기간동안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서 무역손실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고관세 및 다양한 비관세 보호 조치 하에서 전례없는 고도성장을 이뤄왔다. ..
채욱 발간일 1993.01.01
반덤핑제도원문보기목차序 言
Ⅰ. 反덤핑制度의 槪要
1. 덤핑의 定義
2. 反덤핑制度의 意義 및 特性
3. 反덤핑措置의 經濟的 效果
Ⅱ. GATT/反덤핑 規程 및 主要內容
1. 反덤핑制度의 略史
2. GATT/反덤핑관련 諸規程
3. UR 反덤핑協定案의 主要內容
Ⅲ. 主要國의 反덤핑制度 및 措置現況
1. 主要國의 反덤핑措置 現況
2. 主要國의 反덤핑制度
3. 主要國의 對韓 反덤핑規制 現況
Ⅳ. 우리나라의 反덤핑制度 現況
1. 우리나라의 反덤핑措置 現況
2. 우리나라의 現行 反덤핑制度
3. 덤핑防止關稅制度의 改正案 內容
Ⅴ. 우리나라 反덤핑制度의 改善方案
1. 反덤핑制度 運用의 基本要件
2. 問題點 및 改善方案국문요약한국은 1967년 GATT에 가입한 이래로, 1970년대 후반까지 강력한 수출지향 경제정책을 추진해왔다. 이 기간동안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서 무역손실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고관세 및 다양한 비관세 보호 조치 하에서 전례없는 고도성장을 이뤄왔다. 반덤핑제도의 궁극적 목표는 불공정 대외무역조치를 시정하고 대외 덤핑조치로부터 발생하는 물질적 손실이나 그 위협에 대해 국내산업의 피해를 완화하는데 있다. 그러나 동 제도는 GATT에 엄격한 적용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제도의 오용은 교역상대국과의 통상마찰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덤핑마진의 산정 및 피해의 판정에 있어서는 많은 기술적 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전문적 지식 및 경험이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동 제도를 운용하는 데에는 이 제도의 네가지 기본요구사항인 투명성, 공평성, 효율성 그리고 전문성 확보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반덤핑제도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방안을 위한 GATT 및 주요선진국의 반덤핑제도를 통해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원문보기목차目次
I. 序論
II. 貿易現況 및 對外關係
1. 貿易現況
가. 硬貨ㆍ루블 貿易構造
나. 地域別 貿易構造
다. 商品別 貿易構造
2. 主要 對外關係
가. 폴란드의 EC 準會員國 가입협정 체결
나. 東歐 3國間 自由貿易協定 체결
III. 貿易政策
1. 貿易自由化
가. 貿易業의 單一化
나. 國家獨占貿易의 緩和
다. 輸出入規制의 緩和
2. 換率政策
가. 즐로티貨의 內的 兌換化
나. 換率政策
다. 換率政策의 評價
3. 關稅政策
IV. 輸出入管理制度
1. 輸出入免許制度
2. 輸出入許可制度
3. 一時的 輸出入禁止制度
4. 不公正去來防止制度
5. 貿易紛爭仲裁制度
V. 闕稅制度
1. 關稅
가. 關稅率
나. 通關手數料
다. 關稅適用
라. 特惠關稅制度
마. 일시적 關稅免除
2. 通關節次
가. 關稅賦課 및 徵收 節次
나. 關稅還給
다. 關稅免除
라. 關稅代理店
마. 덤핑規制節次
바. 稅關機關
사. 通關地域 이외에서의 關稅規制
아. 通關에 필요한 서류
3. 關稅保護區域
가. 自由貿易地帶(Duty Free Zone)
나. 保稅倉庫
다. 免稅店
VI. 外換管理制度
1. 主要 槪念定義
2. 外換에 대한 財産權 제한
3. 外換配分시스템
4. 外換去來許可制
5. 內國人의 海外資産 統制
6. 外換統制
VII. 結論 및 示唆點
〈參考文獻〉
附錄
국문요약 -
원문보기목차目次
I. 序論
II. 極東地域의 槪況
1. 極東의 自然條件
(가) 氣候
(나) 面積
2. 極東의 人口 및 民族
(가) 人口
(나) 民族
(다) 極東의 人口移動
III. 極東地域 經濟의 槪要
1. 舊蘇聯 經濟內에서 極東地域의 比重
2. 價格自由化 實施 以後의 極東 主要地域의 經濟狀況
(가) 하바로프스크地方의 經濟狀況
(나) 야쿠트ㆍ사하 自治共和國의 經濟狀況
(다) 사할린州의 經濟狀況
(라) 沿海地方의 經濟狀況
IV. 極東의 資源
1. 石炭
(가) 야쿠트ㆍ사하 自治共和國
(나) 하바로프스크地方
(다) 沿海地方
(라) 사할린州
(마) 마가단州
(바) 아무르州
2. 石油 및 天然가스
(가) 야쿠트ㆍ사하 自治共和國의 개발현황
(나) 사할린州의 개발현황
3. 그외의 鑛物資源
(가) 다이아몬드
(나) 金
(다) 朱錫
V. 極東地域의 産業
1. 極東地域 産業의 槪要
(가) 極東地域의 鑛業
(나) 機械工業
(다) 建設業
(라) 電力生産
(마) 農林水産業
2. 사할린州의 産業
(가) 資原採取形 産業
(나) 原料 加工形 産業
(다) 建設業
(라) 사할린州의 對外經濟交流
3. 하바로프스크地方의 産業
(가) 資源 採取形 産業
(나) 原料加工形 産業
(다) 建設業
(라) 農業 및 水産業
(마) 國際經濟交流
4. 沿海地方의 産業
(가) 水産業
(나) 木材工業
(다) 鑛業
(라) 機械工業
(마) 消費財工業
(바) 化學工業
(사) 建資材 工業
(아) 電力
(자) 農業
VI. 極東地域의 輪送
1. 極東地域의 輪送體系
(가) 러시아聯邦의 輸送現況
(나) 極東地域의 輸送現況
(다) 極東地域 輸送綱의 問題點
(라) 앞으로의 課題
2. 極東 主要地域의 輸送
(가) 하바로프스크地方의 輸送體系
(나) 사할린州의 輸送體系
(다) 沿海地方의 輪送體系
VII. 蘇聯의 極東地域 開發
1. 極東地域에 對한 開發構想
(가) 從來의 開發構想
(나) 새로운 開發構想
2. 極東 各 地域別 經濟特區構想
(가) 나호트카 經濟特區
(나) 사할린州 自由經濟地帶
(다) 廣城 블라디보스톡 自由經濟地域 構想
VIII. 日蘇貿易
1. 兩國間 貿易現況
(가) 兩國間 貿易의 推移
(나) 日本의 對蘇 輸出構造의 變化
(다) 日本의 對蘇 輸入構造의 變化
(라) '80년대 日蘇貿易의 停滯要因
(마) '90년대 초반 日蘇貿易 停滯要因
2. 日本의 地方都市들과 極東地域間의 交流
(가) 北海道와 極東地域과의 經濟交流
(나) 北陸地方과 極東地域간의 경제교류
IX. 日蘇間 經濟協力
1. 日本의 對蘇支援
(가) 政府次元의 對蘇 支援現況
(나) 日本의 對러시아 지원계획
(다) 日本의 極東地域에 對한 支援
2. 日蘇 共同 프로젝트 현황
3. 日蘇間 合作企業 現況
(가) 舊蘇聯의 合作企業 現況
(나) 日本企業의 러시아內 合作企業 設立現況
(다) 極東地域의 日ㆍ러 合作企業 現況
X. 要約 및 示唆點
1. 要約
(가) 極東地域의 資源賦存
(나) 極東地域의 産業現況과 問題點
2. 示唆點
(가) 極東地域 開發의 不振理由와 開發展望
(나) 日本과 러시아間의 交流現況과 앞으로의 展望
(다) 韓國의 進出方案
〈參考文獻〉
附錄
국문요약 -
원문보기목차目次
I. 序論
II. 石油 및 天然가스産業의 現況
1. 分布
2. 生産
3. 運送體系
4. 交易
III. 石油ㆍ가스産業의 組織 및 制度
1. 産業組織
가. 生産組織
나. 管理組織
다. 流通組織
2. 에너지産業 制度
가. 에너지産業의 法
나. 貿易制度
IV. 合作事業現況
1. 西方의 進出現況
가 對러시아 投資現況
나. 기타 CIS 共和國의 進出現況
다. 投資의 障碍要因
라. 合作事業의 可能性
2. 韓國의 對러시아 石油ㆍ가스産業 進出現況
V. 要約 및 結論
參考文獻
附錄
〈에너지 關聯 法令〉
附錄 1. 러시아聯邦 外國人投資 基本法
附錄 2. 石油産業에 대한 外國人 投資誘致를 위한 러시아聯邦 政府決定 No. 369
附錄 3. 러시아聯邦內 商品(써비스 포함)의 輸出入 免許의 發行 및 쿼타에 관한 러시아政府 決定 No. 854
附錄 4. 러시아연방 閣僚會議의 輸出稅에 관한 決定
附錄 5. 戰略的 重要 原料商品 輸出에 관한 大統領 布告令 No. 628
附錄 6. 硬貨收入 一部의 義務的 賣却 및 輸出關稅徵收方式의 一部 變更에 관한 大統領 布告令 No. 629
附錄 7. 에너지 資源別 價格에 대한 大統領 布告令 1089호
〈其他〉
附錄 8. 燃料輸出 關稅率 (1992년 7월 1일 현재)
附錄 9. 共和國別 石油生産 및 消費現況
附錄 10. 러시아 聯邦의 戰略資源 輸出企業 目錄
附錄 11. CIS 석유ㆍ가스산업부문에 진출한 외국인기업 목록(1992년 7월 현재)
국문요약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