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APEC 연구컨소시엄

목록으로

   러시아에서 금융부문은 가장 빠르게 디지털화되고 있다. 러시아의 금융기관들은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 연구는 러시아 금융시스템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 금융 디지털화 현황의 특징을 제시하고, 장기적으로 이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심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러시아에서는 정부와 중앙은행이 금융기술 개발과 적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부는 디지털 금융 솔루션을 통합함으로써 정부서비스를 디지털화하고 있으며, 중앙은행은 금융시장에 디지털 기술 도입을 주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경제 관련 규제 틀에 대한 조정이 필요했으며, 이 과정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러시아 주요 은행은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고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디지털 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러시아의 디지털화를 주도하는 스베르방크는 한국의 기술기업과 공동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금융기술을 개발하고 개선하기 위해 한국과의 협력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성공적인 협력 모델은 다른 러시아 신용기관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러시아에서 금융기술 및 보험기술 스타트업이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를 고려하여 디지털 기술 분야에서 한국과 러시아의 스타트업이 협력하고, 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공동 플랫폼과 가속화 프로그램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한·러 간 금융규제부문에서의 협력은 핀테크 분야에 대한 제도를 형성하고 논의하는 것뿐 아니라 정보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면에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러시아 중앙은행과 한국의 금융위원회가 공동으로 규제 작업 및 자문 활동을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러시아 과학연구 분야의 잠재력과 한국의 실용적인 비즈니스 경험을 결합한다면, 원격의료 도입과 합작 스타트업 설립을 통해 보험 부문 디지털화를 가속화하는 데 추가적인 동력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자상거래 및 전자결제 분야에서의 파트너십도 가능하다. 국경간 거래 플랫폼이 구축되고 결제 서비스가 통합된다면 양국간 무역규모가 확대될 것이다.
   러시아 가계의 디지털 금융 참여도는 선두국가들에 비해 여전히 뒤떨어져 있다.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는 한국과 협력하여 통신 인프라를 개선하고, 초고속 5G인터넷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 외국기업의 러시아 증권거래소에서의 주식발행은 외국주식에 관심 갖는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붐을 일으킨 바 있으며, 현재 러시아 투자자가 외국 플랫폼에서 암호화폐를 거래하도록 허용하는 프로젝트도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양국간 안정적인 정보교환, 규제 및 금융 보안을 도와주는 단일 국제금융시장 형성을 추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금융시스템의 디지털화에 한국과 러시아 간 협력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양국의 경험이 결합되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Среди всех секторов экономики России наиболее быстрые темпы процессов цифровизации наблюдаются в финансовом секторе, представители которого ведут активную работу по внедрению цифровых технологий во все бизнес- процессы.
   Цель проведен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 определение ключевых трендов цифровой трансформации финансовой системы России. В монографии представлена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текущего состояния цифровизации финансов в России, а также обозначены перспективные траектории для дальнейшего углубления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операции в данной области.
   В ходе исследования был сделан вывод о значимой роли государства и Банка России в сфере разработки и имплементации финансовых технологий. Государство активно переводит в цифровой формат собственные услуги, способствуя интеграции в этот сегмент цифровых финансовых решений, а Банк России выступает инициатором и координатором внедрения цифровых технологий на финансовых рынках, активно развивая цифровые платформы для усиления конкуренции и повышения доступности финансовых услуг. Все эти инновации потребовали приведения существующей нормативно- правовой базы в соответствие с вызовами цифровой экономики. Ход этих процессов всесторонне исследован в работе.
   Анализ процессов цифровизации банковской сферы показал, что крупные российские банки инвестируют значительные средства в цифровые технологии для того, чтобы удовлетворять растущие потребности клиентов и выдерживать высокий уровень конкуренции. Отмечено, что один из лидеров цифровизации в России - ПАО «Сбербанк» уже реализует ряд инициатив совместно с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и компаниями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и нацелен на расширение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корейской стороной в целях разработки и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финансовых технологий. Данная успешная модель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может быть взята на вооружение другими российскими кредитными организациями.
   В России успешно функционируют инновационные fintech- и insurtech- стартапы, некоторые из них могут быть интересны представителям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Кроме этого, целесообразным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также создание совместных площадок и акселерационных программ, объединяющих корейские и российские стартапы в сфере цифровых технологий и способствующих их взаимопроникновению на рынки обеих стран.
   Взаимодействие на уровне национальных финансовых регуляторов России и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имеет первостепенное значение для проработки и обсуждения вопросов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 сфере финтеха, а также противодействия угрозам в област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Совместная работа Банка России и Комиссии по финансовым услугам (FSC) может быть организована в рамках «регуляторных песочниц» путем создания рабочих и консультационных групп.
   Авторы уверены, что объединение потенциала российской науки в области науч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и практического опыта южнокорейского бизнеса может также послужить дополнительным импульсом для ускорения процессов цифровизации в страховом секторе, прежде всего, за счет развития телемедицины и совместных стартапов.
   Среди других приоритетных направлений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России и Кореи в монографии выделено также установление партнерства в сфере розничной торговли и онлайн-платежей. По мнению авторов, создание трансграничных торговых платформ, а также их интеграция с платежными сервисами позволит существенно увеличить товарооборот стран.
   Авторы изучили тенденции, характеризующиес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м финансовых технологий среди населения. Анализ ключевых индикаторов свидетельствует, что Россия по-прежнему уступает странам–лидерам в области цифровизации по степени вовлеченности домохозяйств в цифровую финансовую среду. В связи с этим для России важным направлением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с Кореей является работа по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ю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связи и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ю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го интернета 5G по всей территории страны.
   Перспективно формирование единого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финансового рынка, поддерживающего устойчивы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обмен, сопряжение регулирующих практик и финансовую безопасность. Выход иностранных эмитентов на российские биржевые площадки привел к настоящему буму среди частных инвесторов, проявивших значительный интерес к зарубежным ценным бумагам. Быстро развиваются и проекты допуска российских инвесторов к торговле криптовалютами на иностранных площадках.
   По итогам исследования авторы пришли к выводу, что потенциал расширения кооперации между Республикой Кореей 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ей в сфере цифровизации финансовой системы весьма широк. Сближение накопленного опыта науки и практики России и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является взаимовыгодным и, несомненно, будет способствовать ускорению и повышению эффективности цифровой трансформации в обеих странах.

서언 


국문요약 


서론 

제1장 러시아의 디지털 금융 발전 정책 
1. 금융 디지털화 정책의 주요 방향, 목표, 프로그램 및 우선순위 
2. 디지털 금융 발전 및 보안 강화 정책 
3. 국가와 기업 간 전자문서 교환 시스템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발전 
4. 디지털 금융에 대한 러시아의 규제 정책 
5. 금융 보안 강화 
6. 디지털 금융 인프라 발전 전망 


제2장 재정 분야 디지털화 
1. 국가통합 재정관리 정보시스템 ‘전자예산’의 구조와 기능 
2. 국가 예산외 기금의 디지털 금융 
3. 디지털 재정의 발전 전망 


제3장 디지털 금융 발전과 러시아 중앙은행의 역할 
1. 중앙은행의 디지털 기술 도입 정책 
2. 중앙은행의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 
3. 디지털 금융 인프라 감독 

4. 중앙은행의 디지털 기술 분야 신규 이니셔티브 도입 전망 

5. 중앙은행의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 

제4장 금융 및 은행 분야 디지털 기술 시장 
1. 러시아 금융 및 은행 분야 디지털 기술의 종류와  공급 업체 
2. 대형 은행 IT 부서의 자체 개발 성과 
3. 대형 은행의 디지털화 
4. 중소 은행 디지털화 
5. 은행의 디지털 사업 및 디지털 기술 시장 발전 전망


제5장 러시아 지급결제 시스템의 디지털화 
1. 지급결제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 및 리스크 관리 
2. 미르 카드의 출범과 발전 
3. 신속자금이체 시스템의 발전
4. 러시아 지급결제 시스템의 발전 전망


제6장 보험 산업의 디지털화 
1. 보험 시장의 전자 업무 메커니즘 
2. 러시아 보험회사의 디지털 기술 이용 현황 
3. 디지털 보험 산업의 발전 전망 


제7장 증권 시장의 디지털화 
1. 증권 시장의 전자 업무 메커니즘 
2. 증권거래소의 디지털화 현황 및 전망
3. 증권 시장 참여기관의 디지털화 현황 및 전망 


제8장 가계의 디지털 금융 환경 187
1. 개인의 디지털 금융 참여 유형 및 수준 
2. 개인을 위한 디지털 금융 서비스 발전 전망 
3. 디지털 비은행 개인금융 플랫폼의 현황과 전망 


제9장 러시아 금융의 디지털화 전망 
1. 디지털 결제 서비스의 발전 
2. 디지털 파이낸싱 프로그램 개발 
3. 자산관리 시스템 개발 
4. 분산원장 기술 기반 디지털 플랫폼 개발


제10장 러시아의 국제 금융 디지털화와 한ㆍ러 협력 방향 
1. 러시아의 국제 금융 디지털화 프로젝트 참여 
2. 금융 디지털 분야에서 러시아와 한국의 국제 프로젝트 협력 전망 


결론 


참고문헌 


약어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506
판매가격 1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25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르완다 농업분야 ODA 종합평가 및 개선방안 2020-07-28 단행본 2019 발간자료목록 2020-07-13 연구보고서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2019-12-30 ODA 정책연구 개발협력과 기후변화 대응의 통합적 접근방안: 페루 사례를 중심으로 2019-12-28 세계지역전략연구 동남아 사회주의 국가의 여성연맹 연구를 통한 북한 여성 관련 개발협력 사업에의 시사점: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여성연맹 사례를 중심으로 2019-12-31 ODA 정책연구 베트남의 교통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2019-12-31 ODA 정책연구 가나의 수산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2019-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