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130건 페이지 3/113
-
‘2023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4월 12일 수요일 한-아세안센터와 공동으로 '2023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올해 3회째를 맞이한 본 라운드테이블은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과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주제로 개최됐으며 한-아세안센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 되었다.금번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아세안의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 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고, 한-아세안의 미래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개막식에는 김해용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을 비롯해 김흥종 KIEP 원장, 간디 술리스띠얀또 수헤르만 (H.E. Gandi Sulistiyanto Soeherman)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주한아세안대사단 의장)가 참석했으며, 기조연설자로 아세안 사무국의 삿빈더 싱(Satvinder Singh) 아세안 경제공동체 사무차장과 곽성일 KIEP 경제안보실장이 참석해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과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관련 경제협력 증진방안을 발표하였다. 이어지는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한국 측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산업연구원(KIET), 아세안 측의 아세안 사무국과 동아시아 아세안 경제 연구 센터(ERI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 소속 전문가 패널 4인이 ▲디지털 무역 ▲기후 변화 ▲공급망 분야 협력방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 행사명: ASEAN-Korea Trade and Investment Roundtable 2023- 일 시: 2023년 4월 12일(수) 14:00 ~ 16:30- 장 소: 서울 웨스틴조선(코로나19 방역을 위해 방청은 Youtube 생방송 진행)-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아세안센터(ASEAN Korean Centre)- 방 청: Youtube 생중계(https://www.youtube.com/user/akcsns)- 문 의: 동남아대양주팀 김제국 전문연구원(044-414-1039)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4/12 조회수 341
-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와 MOU 체결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CAS-KIEP, 소장 이권형 선임연구위원)는 4월 6일(목) 세종시에서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CEAPCS, 센터장 나카토 사치오 교수)와 MOU를 체결했다. 리츠메이칸대학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는 동아시아의 평화 및 협력과 관련된 주요 현안들에 대해 초당적 정책 분석과 높은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설립됐으며, 한일관계를 포함하여 중국과 러시아, 북한, 미국 등 동아시아 주요국 사이의 양자관계 및 역내 공통 문제에 대해서 학제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체결식에 참석한 나카토 사치오 센터장은 “두 연구기관 사이의 활발한 학술교류를 통해서 한일관계 개선뿐만이 아니라, 동아시아 역내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권형 소장도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와 외교·안보 영역에 각각 특화된 두 연구기관이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한·일 및 동아시아 역내의 경제안보 연구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두 기관은 앞으로 협동 연구와 공동 세미나 개최, 연구 정보 및 연구 인력 교류 등을 통해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이날 체결식을 전후해서 일본측 참가자들은 KIEP의 정성춘 부원장 및 일본동아시아팀 연구자들과도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 행사명: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리츠메이칸대학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 MOU 체결식- 일시: 2023년 4월 6일(목), 16:30~17:30- 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4층-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의: 세계지역연구센터 허재철 부연구위원(jcheo@kiep.go.kr)일본측 참석자: 센터장 나카토 사치오(Sachio Nakato) 연구원 바바 카즈키(Kazuki Baba)작성자 기관담당자 작성일 2023/04/06 조회수 570
-
'제2차 아시아 경제정책 자문기구 협의회(ACEP)'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국민경제자문회의(NEAC)와 2023년 4월 5일(수) 오전 9시 30분 서울 웨스틴조선서울 호텔에서 ‘제2차 아시아 경제정책 자문기구 협의회(ACEP: Asian Council of Economic Policy) 회의’를 개최하였다. ‘아시아 경제정책 자문기구 협의회(ACEP)’는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주도 하에, 아시아 지역의 경제 자문기구들과 공통의 경제 현안과 정책 대응을 논의하고 역내 경제협력 강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2021년 창설되었다.‘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역내 경제협력 방안(Promoting Regional Cooperation in the Post-Covid 19 Era)’을 주제로 개최된 이번 2차 회의는 한국과 아세안 6개국,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모여 코로나19 이후 급변하는 거시ㆍ통상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이번 회의에는 국민경제자문회의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의 주요 경제 자문기구 대표, 아시아개발은행(ADB), ASEAN+3 거시경제 조사기구(AMRO),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등 역내 주요 국제기구 전문가, 아세안 국가들의 주한 대사 등이 참여하였다.이인호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개회사에서 “팬데믹 이후 경제환경의 변화는 아시아 지역에게 도전요인이지만 기회요인이며, 아시아가 가진 생산거점, 핵심 원자재 공급처, 거대시장 등의 강점을 활용하여 전략적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김흥종 KIEP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고물가 지속과 글로벌 통화 긴축 △경제안보에 중심을 둔 공급망 변화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신통상 이슈의 대두 등 아시아가 직면한 주요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역내 국가 간의 정책 공유가 중요하며, 이번 회의가 역내 경제협력 활성화와 경제안보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금일 회의는 1세션 ‘포스트 팬데믹 시대 역내 경제전망 및 리스크 요인’, 2세션 ‘탈세계화 시기의 역내 공급망 협력 방안’, 3세션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하의 역내 경제협력 확대 방안’ 등 총 3세션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을 포함한 7개국 자문기구 등의 전문가, ADB, AMRO, UNESCAP 등 역내 국제기구 이코노미스트 등이 발제 및 토론에 참여하였다.제1세션에서는 마누 바스카란(Manu Bhaskaran) 싱가포르 국제문제연구소(SIIA) 위원 겸 센테니얼아시아자문단 대표가 좌장을 맡아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역내 경제전망 및 리스크 요인’을 주제로 아시아 경제 회복과 전망을 논의하였다.제2세션에서는 아니세토 쿠빌 오르베타(Aniceto Cubil Orbeta) 필리필개발연구소(PIDS) 원장을 좌장으로 ‘탈세계화 시기의 역내 공급망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제3세션은 정인교 국민경제자문회의 경제안보분과장(인하대학교 교수)이 좌장을 맡아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하의 역내 경제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팬데믹 여파로 온-오프라인 혼합방식으로 개최되었던 1차 출범 회의(2021년 11월)와 달리 이번 2차 회의는 대면 방식으로 개최된 첫 회의이며, 기존 참여기구(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외에 2개국(태국, 필리핀) 자문기구와 역내 국제기구의 신규 참여 등 저변이 크게 넓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행사명: 제2차 아시아 경제정책 자문기구(ACEP) 협의회 - 주 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역내 경제협력 방안- 일 시: 2023년 4월 5일(수) 09:30 – 15:50 - 장 소: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 주 최: 국민경제자문회의(NEAC)- 주 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전문연구원(ijyoo@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4/05 조회수 1,214
-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 (러시아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소속 Zoia Podoba 방문학자)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4월 4일(화) 본원 333호 회의실에서 러시아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소속 Zoia Podoba 방문학자를 모시고 방문학자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약 1개월 간 KIEP 방문학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Zoia Podoba 학자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원내 전문가들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Zoia Podoba 학자는 본인이 진행 중인 연구인 “Analysis of Trade Pattern between the Eurasian Economic Union (EAEU) and South Korea”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한국과 EAEU 간의 전체 교역은 EAEU 창설 이후 유가변동, 對러시아 제재,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인해 불안정인 측면이 있었지만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추세였다고 설명하였다. 對러시아 제재 하에서 한국과 EAEU 간의 협력을 확장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뷰티산업, 의료관광, 원격의료, 온라인 교육, 중소 및 벤처기업 교류 등 완전한 제재 대상이 아닌 산업에 중점을 두어 상호 이익을 도모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Zoia Podoba 학자는 EAEU와 한국은 상호 보완적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열악한 지정학적, 경제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상호 무역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이번 세미나에는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이권형 소장, 러시아유라시아팀 정민현 팀장, 민지영 전문연구원, 강부균 전문연구원 등 원내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발표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주 제: Analysis of Trade Pattern Between the EAEU and South Korea - 일 시: 2023년 4월 4일(화) 10:30 – 11:30 - 장 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33호 - 발표자: Zoia Podoba, Associate Professor,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SPbPU)-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전문연구원 (ijyoo@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4/04 조회수 323
-
'KIEP 델리사무소 개소 기념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3월 6일(월) 오전 10시(현지시간) 인도 뉴델리 더 그랜드 뉴델리 호텔에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인도 협력: 기회와 도전’을 주제로 ‘KIEP 델리사무소 개소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인도는 세계 경제와 국제외교의 핵심 이해당사자로 주목받고 있다. 인도는 최근 세계 5위 경제로 성장했으며 향후 10년 내 3위 경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는 쿼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등 다자간 협의체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G20 의장국을 맡아 국제어젠다 설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는 한국과 인도의 수교 50주년이기도 하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인도·태평양 시대의 한국-인도 경제 관계와 정책 과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양국의 교류 강화에 필요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인도·태평양 시대에 한국은 인도를 핵심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KIEP는 인도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여, 1995년 중국 북경사무소 설립에 이어 27년 만에 지난해 두 번째 해외사무소를 인도 델리에 열게 되었다”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어 “KIEP 델리사무소는 한국-인도 간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인도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양국의 경제 교류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조 세션에서는 김흥종 KIEP 원장과 모한 쿠마르 인도 개발도상국연구원(Research and Information System for Developing Countries, RIS) 전 원장이 특별좌담회를 통해 ‘인도·태평양 시대 인도의 역할’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1세션에서는 이권형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인도·태평양 시대 인도의 부상: 기회와 도전’을 주제로 패널 발제를 진행했다. 김정곤 KIEP 연구위원, 한형민, 노윤재, 김경훈 KIEP 부연구위원이 인도의 대남아시아 외교정책, 녹색에너지혁명, 노동인구 구조변화, 산업화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2세션에서는 조충제 KIEP 델리사무소 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한국-인도 협력: 평가와 방향’을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 과거 KIEP 본원의 방문학자였던 인도 출신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한국-인도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한국과 인도의 시각에서 인도·태평양 시대의 세계경제 및 국제 질서를 진단해봄으로써 양국의 관계 수립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강조하며 “KIEP는 앞으로도 대외경제정책 연구를 심화하고 델리사무소를 필두로 한국-인도 관계에 대한 연구성과를 확산하는데 선도적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 제: 인도·태평양 시대 한-인도 협력: 기회와 도전- 일 시: 2023년 3월 6일(월), 10:00~18:00(현지시간)-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장 소: 더 그랜드 뉴델리 호텔, 인도 뉴델리- 문 의: 백종훈 전문연구원(jhpek@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3/06 조회수 1,125
-
‘인도-태평양 전략과 주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2월 28일(화) 오전 10시 서울 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 ‘인도-태평양 전략과 주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해당 세미나는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정책과제를 논의하고,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의 “중장기 통상전략 운영” 사업으로 추진된 연구 성과를 국내 전문가 및 정부 관계자와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한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인도-태평양 전략에 일조하고자 개최되었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주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에 관한 연구 성과가 우리나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성공적인 인도-태평양 전략의 추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후 이어진 기조세션에서는 김흥종 KIEP 원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정책과제’라는 주제로 라운드 테이블이 진행되었다.기조세션에서는 이정호 외교전략기획관실 지역전략팀장, 최원기 국립외교원 교수, 김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김용신 인하대 중국학과 교수, 이승주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 곽성일 KIEP 경제안보전략실 실장이 참석했다.이후 제1세션에서는 이권형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국과의 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되었다.제2세션에서는 이승신 KIEP 중국경제통상팀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EU, 아세안, 중앙아시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국과의 협력 방안’을 주제로 해당 지역 연구자들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행사명: 인도-태평양 전략과 주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 세미나- 일 시: 2023년 2월 28일(화) 10:00-17:00- 장 소: 서울 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강반디 전문연구원(bdkang@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2/28 조회수 879
-
‘2022년 세계지역 전략연구 협동연구과제 성과 공유 간담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2월 23일(목)~24일(금) 양일 간 서울 호텔 토마스 명동에서 ‘2022년 세계지역 전략연구 협동연구과제 성과 공유 간담회’를 개최했다.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이권형 소장을 비롯해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국무조정실,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 관계자와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본 행사는 작년 한 해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에서 수행한 협동연구과제의 정책 지원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첫째날에는 아프리카, 인도, 중남미 지역 협동연구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장용규 교수가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 한류지원협력과 박성필 사무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김동석 교수, 아프리카인사이트 허성용 대표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 이순철 교수가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을 주제로 수행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으며, 기획재정부 경제협력기획과 김기홍 사무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신진영 교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허 장 명예선임연구위원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연구과제에 대한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부경대학교 정호윤 교수가 수행한 ‘한국의 대중남미 공공외교 강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외교부 남미과 홍상희 과장, 국무조정실 개발협력본부 최석준 사무관,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임태균 교수, 선문대학교 김기현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둘째날에는 중동, 아세안 지역 협동연구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포스코경영연구원 서상현 수석연구원의 발표로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연구결과를 공유하였으며, 한국국제협력단 중동북아프리카실 이유리 실장,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정재욱 교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주동주 전문위원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질의와 정책연관성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웅태 선임연구위원이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산업통상자원부 기후에너지통상과 김관수 사무관, 기획재정부 개발전략과 정다운 사무관, 외교부 기후변화외교과 이세혁 사무관, 한국환경연구원 탄소중립연구실 이상엽 선임연구위원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연구성과를 공유하였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오일석 연구위원의 발표로 ‘아세안 신흥안보 협력 강화를 위한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연구결과를 공유하였으며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최원기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김상배 교수, 국방대학교 이숙연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이번 성과 공유 간담회를 통해 각 부처 및 기관에서 수행 또는 계획 중인 사업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연구과제의 발전 방향과 협력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한편 KIEP는 2019년부터 국가정책 연구기관, 지역학회, 대학부설 연구소와 함께 아세안, 인도, 아프리카, 중동, 중남미 지역의 정책별 협동연구를 수행하여 지역연구에 필요한 선도적 이슈와 현장형 이슈를 발굴해왔다. - 행사명: 2022년 세계지역 전략연구 협동연구과제 성과 공유 간담회 - 일 시: 2023년 2월 23일(목) - 24일(금) 10:00 – 16:30 - 장 소: 서울 호텔 토마스 명동 -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전문연구원(ijyoo@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2/24 조회수 529
-
'2023 KIEP 디지털 경제 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2월 22일(수) 오후 2시 30분 서울 롯데호텔에서 디지털 경제, 무역, 통상법 전문가들과 ‘2023 KIEP 디지털 경제 포럼’을 개최했다. 참석자들은 디지털 무역협정 체결이 확산하는 추세에서 한국의 무역협정 전략의 새 틀을 짤 시점임에 동의하면서 적기에 논의할 수 있는 ‘2023 KIEP 디지털 경제 포럼’의 개최를 환영했다. 이 포럼에는 디지털 무역협정 로드맵과 한국형 표준모델에 관한 정책 논의를 위해 국제기관, 학계, 민간 영역의 디지털 경제, 무역, 통상법 전문가와 KIEP 연구자가 참석했다.김흥종 KIEP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디지털 무역에 관한 KIEP 발간 연구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공유하고 디지털 경제, 무역, 통상법 연구에 매진하시는 전문가와 함께 토론하며 디지털 무역협정의 방향을 모색하고 관련 정책 연구과제를 논의한다는 점”을 포럼 개최의 의의로 밝혔다. 또한 “통계와 실증에 기반을 두고 협정문 검토를 거친 한국형 표준모델을 통해 디지털 무역협정이 추진되는 것이 중요하며, 포럼에서 논의된 정책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디지털 통상전략의 새 틀을 짜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 강조했다.제1세션에서 이규엽 KIEP 신통상전략팀장은 “디지털 무역협정 로드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의 디지털 무역장벽 실태를 조사한 설문결과를 설명하고 디지털 무역협정 네트워크상 한국의 현재 위치를 제시했다. 디지털 무역협정 로드맵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협정문 내용과 수준, 협상상대국 선정 기준과 우선 순위, 규제와 제도 정비, 기대 효과와 국민 참여를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구경현 KIEP 무역투자정책팀장은 국내 중소기업의 온라인수출 현황 및 애로사항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관련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 김현수 KIEP 부연구위원은 통계와 실증에 기반을 둔 디지털 무역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국가 간 (디지털) 서비스 거래 통계의 미비점이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권현호 성신여대 법학과 교수는 “한국형 디지털 무역협정 표준모델”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디지털 통상협정의 쟁점과 정책과제를 규범적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한국형 디지털 무역협정 표준모델을 구상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무역협정의 내용뿐 아니라 형식도 중요함을 강조했다. 라운드테이블로 진행된 제2세션에서는 디지털 경제, 무역, 통상법 전문가들이 참석해 자유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에는 이한영 중앙대학교 교수, 곽도원 고려대학교 교수, 한재필 가천대학교 교수, 김형주 LG경영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최지은 세계은행 선임이코노미스트, 이주형 김앤장 변호사, 이천기 KIEP 무역협정팀장, 박지원 KIEP 부연구위원이 참석했다.- 행사명: 2023 KIEP 디지털 경제 포럼- 일 시: 2023년 2월 22일(수), 14:30~17:30- 장 소: 서울 롯데호텔-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이규엽 무역통상실 신통상전략팀장(kylee@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2/22 조회수 833
-
'2023 KIEP 북방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김흥종)은 2023년 2월 16일(목) 오전 10시 서울 호텔토마스명동 에메랄드홀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1년 평가와 전망”을 주제로 ‘2023 KIEP 북방 세미나’를 개최했다. 2022년 2월 24일 시작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국제사회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킨 역사적 사건으로 세계 경제 및 안보 환경 전반에 위기감과 불확실성을 증대시켰으며, 현재 전쟁의 확산과 장기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쟁 1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전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KIEP 북방 세미나에서 관련 참석자들은 우크라이나 전쟁 1년을 평가 및 전망하고, 국제질서의 주요 이슈와 쟁점에 대한 주요국의 시각과 입장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의 대외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행사에는 김흥종 KIEP 원장을 비롯해 신범식 서울대 교수, 김규철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초빙연구위원, 엄구호 한양대 교수, 김석환 한국외대 초빙교수, 이상열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오정석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 김선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성진석 한국외대 연구교수, 이승민 법무법인 지평 선임외국변호사, 이현태 인천대 교수, 윤여준 부산대 교수, 조동희 계명대 교수, 이권형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박정호 KIEP 러시아유라시아팀장, 장영욱 KIEP 유럽팀장, 강문수 KIEP 아프리카중동팀장, 정민현 KIEP 부연구위원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은 ‘지정학의 귀환’을 알리는 역사적 대사건이며,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질서와 강대국 관계는 중대한 변화를 경험할 것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금번 세미나가 변화하는 세계질서의 향방과 구체적인 변화의 내용을 전망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진정한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이어 1세션에서는 김흥종 KIEP 원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신범식 서울대 교수, 김규철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초빙연구위원, 엄구호 한양대 교수, 김석환 한국외대 초빙교수가 ‘우크라이나 전쟁 1년 평가: 주요 쟁점과 전망’을 주제로 패널발제 및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다.2세션에서는 이권형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이상열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오정석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 김선교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성진석 한국외대 연구교수, 장영욱 KIEP 유럽팀장, 강문수 KIEP 아프리카중동팀장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제적 영향과 전망 1: 에너지 안보와 국제관계’를 주제로 패널발제 및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다.3세션에서는 박정호 KIEP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제적 영향과 전망 2: 경제제재와 주요국 파급 효과’를 주제로 이승민 법무법인 지평 선임외국변호사, 이현태 인천대학교 교수, 윤여준 부산대학교 교수, 조동희 계명대학교 교수, 정민현 KIEP 부연구위원이 패널발제 및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다. - 행사명: 2023 KIEP 북방 세미나- 주 제: 우크라이나 전쟁 1년 평가와 전망- 일 시: 2023. 2. 16(목) 10시-18시- 장 소: 호텔토마스명동, 에메랄드홀(지하 1층)-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문 의: 강부균 전문연구원(bgkang@kiep.go.kr)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2/16 조회수 765
-
‘Economic Effects of Russia's Invasion’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3년 2월 10일(금) 오전 11시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핀란드 중앙은행의 Marja Nykänen 부총재와 Iikka Korhonen 박사를 모시고 “Economic Effects of Russia's Invasion and Sanctions on the European Union and Russia”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Marja Nykänen 부총재는 최근 유로 지역의 경제 전망과 EU의 금융 시스템 위험 요인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Iikka Korhonen 박사는 러시아 전쟁 및 이에 대응한 경제제재의 경제적 영향을 발표하였다. KAIST의 강태수 교수가 해당 세미나의 토론자로 참석하였다.주한핀란드대사관의 Oskari Lampi 서기관을 비롯하여 KIEP 국제거시금융실 안성배 실장, 김효상 팀장, 정영식 선임연구위원, 백예인 부연구위원, 세계지역연구센터 김윤정 부연구위원, 오태현 선임연구원, 민지영 전문연구원, 김초롱 연구원, 경제안보전략실 조성훈 부연구위원, 박지원 부연구위원이 참여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나누었다.- 주 제: Economic Effects of Russia's Invasion and Sanctions on the European Union and Russia- 일 시: 2023년 2월 10일(금), 11:00~13:00- 장 소: 프레지던트 호텔 19층 VIP Ⅱ룸-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Bank of Finland (BOF)- 문 의: 국제거시금융실 국제금융팀 김효상 팀장(044-414-1065)작성자 장경혜 작성일 2023/02/10 조회수 439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