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중국종합연구
목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UR 서비스협상에서 논의되고 있는 서비스 분야 중에서 건설 및 건설 엔지니어링 서비스에 관해서 살펴보고, 동 서비스의 교역 증대 및 자유화에 관련하여 한국 건설산업의 국제화 전략을 검토하는 것이다.
건설 산업은 여타 서비스 산업과 상이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건설 서비스의 국제거래는 건설제재, 자본, 인력 등 많은 생산요소의 국가간 이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교역증대에 장애요소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건설업은 1970년대 중반이후부터 198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중동건설시장에 진출하여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으며 비약적 성장을 이룩하였다. 이와 같은 중동진출의 경험을 고려할 때 건설 분야는 다른 서비스 분야에 비하여 한국이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고 인식되고 있으며 건설 교역의 확대 및 자유화를 위하여 한국의 적극적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건설 산업은 여타 서비스 산업과 상이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건설 서비스의 국제거래는 건설제재, 자본, 인력 등 많은 생산요소의 국가간 이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교역증대에 장애요소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건설업은 1970년대 중반이후부터 198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중동건설시장에 진출하여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으며 비약적 성장을 이룩하였다. 이와 같은 중동진출의 경험을 고려할 때 건설 분야는 다른 서비스 분야에 비하여 한국이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고 인식되고 있으며 건설 교역의 확대 및 자유화를 위하여 한국의 적극적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ssue in dispute over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of the Uruguay Round multilateral negotiations and suggests strategies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ffects related to the increase in trade and liberalization of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places more importance on dynamic structural changes and Korean characteristics than on the status quo of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ction II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bstacles and trends in construction. Section III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the changing patterns of demand and the problem of domestic supply. Section IV proposes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hrough these analyses, Section V analyzes the effects related to the liberalization of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regard, Section VI make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for Korea to take countermeasures.
This paper places more importance on dynamic structural changes and Korean characteristics than on the status quo of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ction II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bstacles and trends in construction. Section III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the changing patterns of demand and the problem of domestic supply. Section IV proposes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hrough these analyses, Section V analyzes the effects related to the liberalization of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regard, Section VI make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for Korea to take countermeasures.
I. 서론
II. 서비스교역의 특성 및 건설서비스교역
1. 서비스교역의 특성
2. 서비스교역의 확대 추이
3. 건설서비스교역 동향
III. 한국건설산업의 구조적 특성
1. 건설업의 범위 및 특성
2. 한국건설업의 성장배경
3. 한국건설업의 수요공급구조
4. 한국건설산업의 산업관련관계
IV. 한국건설산업에 대한 규제제도 및 정책
1. 건설에 대한 규제
2. 엔지니어링산업의 육성정책
3. 기술자격제도
V. 한국건설시장 개방의 기대효과
1. 사용자 이익
2. 해외시장 진출확대
3. 품질향상과 후방연관효과
4. 요약
VI. 한국건설산업의 국제화 추진과제
1. 국내건설시장의 개방
2. 건설산업 연관규제의 개선
3. 해외건설시장 진출촉진
4. 산업구조 조정방안
VII. 결론
II. 서비스교역의 특성 및 건설서비스교역
1. 서비스교역의 특성
2. 서비스교역의 확대 추이
3. 건설서비스교역 동향
III. 한국건설산업의 구조적 특성
1. 건설업의 범위 및 특성
2. 한국건설업의 성장배경
3. 한국건설업의 수요공급구조
4. 한국건설산업의 산업관련관계
IV. 한국건설산업에 대한 규제제도 및 정책
1. 건설에 대한 규제
2. 엔지니어링산업의 육성정책
3. 기술자격제도
V. 한국건설시장 개방의 기대효과
1. 사용자 이익
2. 해외시장 진출확대
3. 품질향상과 후방연관효과
4. 요약
VI. 한국건설산업의 국제화 추진과제
1. 국내건설시장의 개방
2. 건설산업 연관규제의 개선
3. 해외건설시장 진출촉진
4. 산업구조 조정방안
VII. 결론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아세안의 대외협력 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고도화에 대한 함의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자국 중심의 경제안보 전략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방안 연구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북미 3개국 주요 산업별 공급망 연계 강화 정책과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기본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기후클럽 형성에 대한 통상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기본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