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한·중·일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비교 연구 경제발전, 산업정책

저자 이형근, 나수엽 발간번호 19-0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9.12.31

원문보기(다운로드:5,60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해외의 스마트시티 시장에서 우리나라와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 및 일본의 스마트시티 정책, 해외진출 전략 및 주요 사례를 비교ㆍ분석하여 정책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ㆍ중ㆍ일의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과 사례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해외진출 정책 추진의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직접적으로 해외 스마트시장 진출 활성화 정책을 마련해 기업을 지원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해외 스마트시티 진출 지원책을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RI)에, 그리고 일본은 인프라시스템 수출 정책에 연계하여 추진하고 있다. 둘째, 정부 정책지원 방향의 측면에서는 한ㆍ중ㆍ일 3국 모두 정부간 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진출기업에 대해 투자지원, ODA 연계 등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ODA 활용을 금융지원 측면만이 아닌 스마트시티 사업의 발굴에 연계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셋째, 해외진출의 주요 사례와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는 3국 모두 G2G 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중국이 제3국 스마트시티 시장에 공동으로 진출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한ㆍ중ㆍ일 모두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이 아세안 등 개도국에 집중될 것으로 보여 이 지역에서의 3국간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각국이 지닌 경쟁우위를 활용하여 제3국에 공동 진출하는 것은 중요한 대응책이 될 수 있다. 기업 사례에서는 3개국 모두 아시아를 비롯한 개도국에 많이 진출하고 있으며, 대상 분야는 스마트 솔루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일본은 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의 진출도 비교적 활발하다. 이 점에서도 대중소기업의 동반진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 모델의 발굴을 통해 기술력을 가진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중국 알리바바의 말레이시아 진출 사례는 중국 내 다양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확보한 높은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의 스마트시티 발전 및 지속가능한 수익사업 모델 발굴과 같은 혁신생태계 조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마쓰시타와 히타치는 중국정부가 중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슝안신구 스마트시티에 진출하기 위해 최근 중국기업과 합작기업을 설립했는데, 우리 기업들도 향후 중국 전체 도시에 영향을 미칠 슝안신구 사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정책 시사점으로 해외 스마트시티 진출 활성화 및 국내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 기업의 해외 스마트시티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성과를 창출하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의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해외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정보 수집이 긴요하다. 셋째, 중국 및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제3국 스마트시티 시장에 공동 진출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내 스마트시티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ㆍ확대가 해외진출의 활성화로 연계되도록 정부와 기업이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스마트도시 발전 단계의 변화에 상응하여 스마트도시법을 개정하고 이와 관련한 정책의 보완이 중요하다. 여섯째, 데이터 활용ㆍ유통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데이터 분석을 위한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mart city policies, overseas strategies and major cases of China and Japan, Korea’s competitors in the overseas smart city market.
   Upon careful comparison of the policies and cases for overseas smart city market in Korea, China, and Japan (CJK),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found.
   First, when it comes to promoting the overseas smart city market, Korea directly supports companies by providing activation policies in overseas smart markets, while China supports the overseas advancement of smart city projects throug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and Japan promotes its policy of exporting infrastructure systems. Second, in term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all three countries are actively promoting inter-governmental cooperative projects and strengthening financial support for investment and ODA linkages for firms advancing into the sector, etc. In particular, Japan provides an important lesson by linking ODA use to the discovery of smart city projects, not just financial support. Third, with regard to the major cases of overseas expansion, the governments are actively promoting G2G cooperation projects, and one notable strategy is that China and Japan are jointly entering the smart city market of third countries. As we can expect for Korea, China and Japan to continue their active advancement into the smart city market, focused on developing economies such as ASEAN, competition among the three countries will continue to elevate within the region. Therefore, it could prove an important countermeasure for CJK to jointly enter into third countries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respective competitive advantages.
   Our corporate case studies indicate that all three countries are making inroads into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Asia, and smart solutions are the major areas. In addition, while China and Japan are making inroads into overseas smart city markets, mainly led by large companies, Korea is relatively active in the advanc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addition to its large corporation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and overseas entry of Korean SMEs wi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rough the discovery of various business models for mutual entry of large and medium enterprises. The case of Chinese Alibaba’s entry into Malaysia is based on its high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secured by participating in various domestic smart city projects.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reating innovative ecosystems such as developing smart cities in Korea and identifying sustainable profit business models. Lastly, Japanese companies Matsushita and Hitachi recently established a joint venture with Chinese companies to enter into the Xiongan New Area  smart city, a project designa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s a key project. Korean compan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Xiongan New Area project, as it has the potential to affect all future Chinese city projec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the following policy tasks for the promotion of overseas smart city advancement and the development of smart city projects within Korea. First, in order to activate Korean companies’ overseas expansion into smart c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a Korean-type smart city model that generates visible results. Second, it will be imperative to collect detailed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overseas smart c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joint entry into the smart city market of third countries through cooperation with China and Japan. Fourth,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and expand business models for domestic smart cities in order to promote overseas expansion. Fifth, smart city-related legislation should be revised to supplement policies related to change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Korea. Six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institutional grounds to utilize and distribute data in the field and to train data analysis expert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배경 
2. 연구의 내용 
3.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한ㆍ중ㆍ일의 스마트시티 정책 분석 

1.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의 발전과 향후 전망  
    가. 글로벌 스마트시티의 발전 과정 
    나. 주요국의 스마트시티 발전 정책 및 전략
    다. 향후 전망 
2. 한ㆍ중ㆍ일의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현황과 평가 
    가. 한국 
    나. 중국 
    다. 일본 

제3장 한ㆍ중ㆍ일의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전략 분석 

1. 한국의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 정책과 주요 사례 
    가. 스마트시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독자적인 정책 추진
    나. 주요 진출 사례 
    다. 평가 및 향후 전망 
2. 중국의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 정책과 주요 사례
    가. BRI 연계 추진 
    나. 주요 진출 사례 
    다. 평가 및 향후 전망 
3. 일본의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 정책과 주요 사례
    가. 인프라시스템 수출 연계 추진 
    나. 주요 진출 사례 
    다. 평가 및 향후 전망
 
제4장 결론 

1. 요약 및 비교 평가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Assessing Vietnam’s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2023-12-29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