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경제개발, 산업구조

저자 김영석, 곽재성, 권기수 발간번호 21-1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5,93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디지털 혁명이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5G 통신 등 디지털 신기술의 발전이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를 촉발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를 일컫는 신조어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다. 한편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인류의 경제사회 활동 중 많은 부분이 인터넷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디지털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수용성도 크게 높아졌다. 즉 코로나 사태가 초래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이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중남미의 디지털 전환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남미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 그리고 우리나라와의 협력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와 중남미 간의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디지털 전환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고찰하고, OECD가 제시한 디지털 전환의 7가지 속성과 정책 프레임워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할 디지털 전환의 개념을 “디지털 신기술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경제사회 전반의 변화”로 규정했다. 이어서 코로나 사태 이후의 경제사회 변화와 코로나 사태가 디지털 전환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코로나 사태가 초래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이며, 디지털 전환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면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측면은 억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간략히 고찰했다.
   제3장에서는 중남미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에 대해 분석했다. 첫째, 중남미의 디지털 인프라는 미흡한 수준이나 꾸준한 개선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남미의 국제통신망과 국가 백본망(backbone network)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나 미들마일과 라스트마일 구간의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남미의 디지털 접근성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나 디지털 격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중남미의 인터넷 이용률은 66.7%로 선진국(86.7%)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세계 평균(51.4%)이나 개도국 평균(44.4%)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한편 중남미의 유무선 브로드밴드 보급률은 각각 12명과 72명으로 세계 평균(15.2명과 75명)을 소폭 하회하고 있다. 유무선 인터넷 속도는 세계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인터넷 요금은 소득수준에 비해 비싼 편이다. 
   둘째, 코로나 사태 이후 중남미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생산 부문보다 소비 및 유통 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산업별로는 금융 산업이나 ICT 산업의 디지털화가 선진국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지만, 농업과 제조업의 디지털화는 낙후된 것으로 평가된다. 소비 및 유통 부문의 디지털화는 코로나 사태 이후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데, 전자상거래가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스타트업 기술기업(Tecnolatinas)의 창업 붐도 지속되고 있다. 중남미에는 2020년 기준으로 100만 달러 이상의 자본을 유치한 스타트업 기업 수가 1,005개에 이르고 있고, 기업가치가 10억 달러를 넘는 유니콘 기업 수는 28개로 증가했다.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중남미 26개국에서 온라인 원격수업이 진행되는 등 디지털 교육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나 농촌 또는 저소득층 가구의 학생들은 온라인 원격수업 참여가 불가능한 디지털격차 문제에 직면해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원격진료의 허용 범위를 확대함에 따라 보건 분야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한편 중남미 인터넷 사용자는 세계 여타 지역과 비교해서 SNS 사용 시간이 매우 길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코로나 사태 이후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화되었다. 디지털 정부로의 전환은 세계 상위권 수준이다. 중남미 주요국들은 UN의 전자정부 평가 또는 OECD의 디지털 정부 평가에서 세계 상위권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중남미의 행정서비스 처리 시간은 평균 5.4시간에 이르며, 정부의 행정서비스 업무 중 절반 이상을 온라인으로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중남미 국가는 멕시코와 칠레 2개국에 불과하다. 한편 중남미 국가들의 공공데이터 개방과 온라인 시민참여 수준은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셋째, 중남미 국가 대부분이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남미 국가들은 디지털 인프라 확충을 위해 5G 주파수 경매를 진행하고 있고 향후 7년간 중남미의 5G 통신망 구축을 위해 필요한 투자액은 총 1,201억 달러로 추정된다. 중남미 국가들은 정보사회 각료회의를 통해 중남미 지역 차원의 디지털 전환 실행계획(eLAC 2022)을 추진하고 있고, 개별 국가 차원의 디지털 전략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4장에서는 브라질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에 대해 분석했다. 첫째, 브라질의 디지털 연결성은 중남미 국가 중 가장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제통신망과 국내 백본망 구축 수준은 양호한 수준이며, 국내 광케이블망 확대에 힘입어 광케이블 백홀망 서비스를 받는 도시의 비중도 82%까지 증가했다. 디지털 접근성도 선진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중남미 국가 중에서는 최상위권으로 분류된다. 브라질의 인터넷 이용률은 74%로 세계 평균(51.4%)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유무선 브로드밴드 보급률도 각각 15.7명과 97.4명으로 세계 평균(15.2명과 75명)을 상회하고 있다. 
   둘째, 디지털 전환 현황도 중남미 국가 중에서는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도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 브라질은 생산 부문의 디지털화가 중남미 국가 중 가장 앞선 편으로 평가된다. McKinsey의 평가에 따르면 브라질 리더 기업들의 디지털 성숙도 평균 점수는 66포인트로 글로벌 리더 기업의 평균 점수(67포인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소비 및 유통 부문의 디지털화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는 코로나19 영향으로 10주 만에 10년의 성장을 달성했다고 평가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스타트업 창업 붐도 지속되고 있다. 브라질은 중남미는 물론 개도권 국가 중에서 대표적인 스타트업의 메카로 평가된다. 2012년에서 2020년 사이에 브라질의 스타트업 수는 2,500개에서 1만 3,300개로 5배 이상 증가했다.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학교가 폐쇄된 기간에 87%의 교육기관이 원격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교육 부문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소득수준이 높은 중상위계층(AB) 학생 중 89%가 원격교육에 참여한 데 반해, 저소득계층(DE) 학생은 이 비중이 71%에 그치는 등 디지털 격차 문제가 존재한다. 보건 부문의 디지털화도 가속화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브라질 하원이 원격의료 규정을 완화한 결과, 2020년 한 해 동안 130만 건의 원격의료가 이루어졌고 2021년에는 200만 건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브라질은 전 세계 국가 중에서 SNS 사용이 가장 활발한 국가 중 하나이다. 브라질에서 SNS는 사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도 활용되지만, 업무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비중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정부로의 전환 수준도 세계 선두권으로 평가된다. 브라질은 전 세계 국가 중에서 가장 먼저 전자투표제도를 도입(1996년)하는 등 정부의 디지털화에 앞선 국가이다. 브라질은 2020년 OECD가 세계 33개국(회원국 29개국과 비회원국 4개국)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정부 평가에서 종합 16위를 차지했고, 브라질 국민 10명 중 7명이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셋째, 브라질은 디지털 전환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브라질은 2021년 11월에 5G 주파수 입찰을 성공리에 종료함에 따라 2022년부터 본격적인 5G 구축에 나설 전망이다. 한편 이번 입찰에서 브라질 정부는 화웨이 장비 사용의 금지를 요구했던 미국의 의견을 반영하여 “5G 사업 수주업체들의 연방정부 전용 통신 네트워크 건설 시 중국산 장비를 사용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 한편 브라질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국가 차원의 종합전략은 ‘브라질 디지털 전환 전략(E-Digital)’이다. E-Digital 전략은 크게 디지털 전환 환경 조성(enabler)과 디지털 전환 촉진 등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장에서는 멕시코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에 대해 분석했다. 첫째, 멕시코의 디지털 연결성은 양호한 수준이다. 멕시코의 국제통신망은 여타 중남미 국가들과 다르게 주로 육상 광케이블망으로 구축되어 있다. 한편 국가 백본망 확충을 위해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도매 통신사업 모델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영 전력회사 CFE의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백본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접근성도 세계 평균을 크게 상회하나, OECD 회원국 중에서는 콜롬비아와 더불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멕시코의 인터넷 이용률은 70.1%이며, 유무선 브로드밴드 보급률도 각각 17.3명과 79.9명으로 세계 평균(15.2명과 75명)을 소폭 상회하고 있다. 
   둘째, 멕시코의 디지털 전환도 코로나 사태 이후 가속화되고 있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생산 부문보다 소비와 유통 부문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특히 전자상거래가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멕시코는 엔리케 페냐 니에토(Enrique Peña Nieto) 전 대통령 집권기에 창업지원센터(INADEM)를 통해 스타트업 지원을 강화했고, 현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Andrés Manuel López Obrador) 대통령 집권 이후 INADEM이 해산되었으나 민간 벤처캐피털의 적극적인 투자에 힘입어 스타트업 창업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도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로 학교가 폐쇄된 이후 멕시코의 비대면 수업은 인터넷을 활용한 디지털 방식이 아니라 TV를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코로나 사태가 원격의료의 급속한 성장을 촉발했고, 보건 분야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디지털 정부로의 전환도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다. 멕시코는 단일정부 포털(gob.mx)을 운영하고 있고, 출생 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하고 있는 등 디지털 행정서비스 개선에 성과를 보여왔다. 
   셋째, 멕시코의 디지털 전환 정책의 기조가 AMLO 정부 출범 이후 크게 바뀌었다. AMLO 정부의 국가개발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무선 인터넷망을 확충하여 전 국민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국가개발계획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인 국가디지털전략도 국가 주도의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디지털 격차 문제 해결을 가장 중시하고 있다. AMLO 정부의 국가디지털전략은 디지털 정부와 디지털 사회에 대한 내용은 담고 있지만, 디지털 경제에 대한 내용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제6장에서는 콜롬비아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에 대해 분석했다. 첫째, 콜롬비아는 국제통신망과 국가 백본망 구축 수준은 양호한 편이나, 미들마일과 라스트마일 구간의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콜롬비아의 디지털 접근성은 중남미 평균 수준에 그치고 있다. 콜롬비아의 인터넷 이용률은 67%로 중남미 평균(66.7%)과 같지만, OECD 회원국 중에서는 가장 낮다. 유무선 브로드밴드 보급률은 각각 15.7명과 63.6명으로 유선은 세계 평균(15.2명)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무선은 세계 평균(75명)과 중남미 평균(72명) 그리고 개도국 평균(65.1명)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둘째, 콜롬비아의 디지털 전환도 코로나 사태 이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현황을 살펴보면, 생산 부문의 디지털화가 저조하나 소비 및 유통 부문의 디지털화는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콜롬비아 중소기업의 80%가 코로나 사태 이후 비즈니스에 변화가 있었고 가장 큰 변화가 디지털 기술의 도입과 원격근무라고 답변하는 등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 콜롬비아도 브라질이나 멕시코와 마찬가지로 생산 부문의 디지털화 수준은 높지 않으나, 소비 및 유통 부문의 디지털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앞서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가장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콜롬비아 정부가 스타트업 기술기업 육성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부문의 스타트업들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도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 사태 이후 원격의료 건수가 급증하는 등 보건 부문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었으나, 디지털 격차 문제로 인해 교육 부문에서는 전체 학생의 13%만이 인터넷을 활용한 디지털 방식의 원격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한편 콜롬비아는 2020년 OECD가 세계 33개국(회원국 29개국과 비회원국 4개국)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정부 평가에서 한국과 영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하는 등 디지털 정부로의 전환 성과가 선진국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콜롬비아는 디지털 행정서비스 제공, 공공데이터 개방, 온라인 시민참여 포털 구축 등 디지털 정부로의 전환에도 큰 진전을 보이고 있다.
   셋째, 콜롬비아는 디지털 전환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그러나 콜롬비아 정부가 5G 차세대 통신기술의 도입을 장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 통신사업자들이 5G 서비스 상용화보다 4G 적용 범위 확대에 주력하고 있어서 5G 서비스 상용화는 2024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콜롬비아 정부는 국가개발계획의 일환으로 디지털 전환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콜롬비아 기업과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디지털 전환 관련 자문 및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제7장에서는 한·중남미 디지털 전환 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협력과제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했다. 첫째,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수출, 투자, 개발협력 현황에 대해서 살펴본 후 분야별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협력사업들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개선이 필요한 정책과제들을 도출하여 제시했다. 둘째, 중남미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 그리고 한·중남미 디지털 전환 협력 현황에 대한 분석에서 도출한 정책과제의 해결을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국가별로 차별화된 진출전략 수립과 협력 프레임워크 구축 두 가지를 제시했다. 이후 정부의 협력과제와 정책적 시사점 및 기업의 협력과제와 정책적 시사점 그리고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 3개국에 대한 국가별 협력과제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The digital revolution is heralding the advent of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emergence and adoption of new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Cloud Computing, and 5G is triggering significant changes in both the economy and society. The newly coined term to describe these changes is digital transformation. Meanwhile, during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we have witnessed a considerable part of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manner using the internet. As a result, people’s acceptance of digital technology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the most noticeable change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is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st-COVID-19 era, digital transformation in Latin America is also expected to accelerat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rends, and polici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Latin America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cooperatio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between Korea and Latin America.
   Chapter 2 outlin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post-COVID-19 era. First of all, we review various defini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We also briefly examine the seven vectors and policy frameworks of digital transformation proposed by the OECD. Then, we defined the concept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is study as "the economic and societal effects of digitization and digitalization." Subsequently, we looked at the changes in business and society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on digital transformation. The most noticeable change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is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Chapter 3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in Latin America. First, we examined the digital infrastructure in Latin America. It is insufficient, but there is a trend of improvement. The cross-border and national networks in Latin America are relatively in good condition, but the middle-mile and last-mile networks are insufficient to deliver higher capacity. The digital accessibility in Latin America is showing good progress, but the digital divide in the region remains just as stark. The Internet usage rate in Latin America is 66.7%, which is less than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86.7%) but is far above the world average (51.4%) or the average of developing countries (44.4%). Meanwhile, the wired and wireless broadband penetration rate in Latin America is 12 and 72 per 100 people, respectively, slightly below the world average (15.2 and 75). The wired and mobile internet speed is lower than the world average, and internet fees are expensive compared to their income levels.
   Second, digital transformation in Latin America has been accelerating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 digitalization of economies is faster in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sectors than in the production sector. By industry, the digitalization of the financial and ICT sectors in Latin America is comparable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but the digitalization of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s lagging. The digitalization of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sectors has been progressing rapidly since the COVID-19 crisis, and e-commerce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sectors. The startup activity in Latin America is booming. The number of technology-based startups in Latin America (also called Tecnolatinas) that raised more than $1 million of capital reached 1,005. The number of unicorn companies with a corporate value exceeding $1 billion increased to 28. The digitalization of society is also progressing rapid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26 Latin American countries have established ways to provide education services through various distance learning modalities. For example, 26 countries implemented internet-based forms of learning. While education processes have continued remotely, using digital or traditional means (such as TV or radio), the effects of the digital gap have been amplified in the case of rural and lower-income students, which have lower internet access.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use and importance of telehealth and telemedicine. Meanwhile, Latin Americans internet users spend more time on social media than any other region in the world, and this trend has been strengthened even more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Latin American governments has made notable progress. Most Latin American governments are classified as higher-performers in the UN E-Government Development Index or the OECD Digital Government Index. However, on average, it takes 5.4 hours to complete a public transaction in Latin America. Moreover, Mexico and Chile are the only Latin American countries where more than half of government transactions can be started and completed online. More efforts to offer web and mobile access to public services should be made to make government services more efficient. However, Latin American countries are classified as good performers of open government data and e-participation policies. 
   Third, most Latin American countries have their digital agendas. Digital agendas prioritize or include ICT infrastructures such as 5G networks and 5G auctions already began in Latin America. The total investment required to build 5G networks in Latin America is estimated to be $120.1 billion over the next seven years. Most Latin American countries also have their own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aligned with national development plans. The digital transformation is expected to bring new opportunities for the region to cope with the development traps. 
   Chapter 4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Brazil. First, Brazil’s digital connectivity is evaluated as the best among Latin American countries. The cross-border and national networks are in good condition. Fiber optic coverage in Brazil has increased to 82 percent. Digital accessibility falls short of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but it is classified as the highest among Latin American countries. Brazil’s internet usage rate is 74%, far above the world average (51.4%). The penetration rate of wired and mobile broadband is 15.7 and 97.4 per 100 people, respectively, exceeding the world average (15.2 and 75).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also evaluated as the most advanced among Latin American countri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economy is also making considerable progress. Brazil’s digitalization of the production sector is considered outdistancing among Latin American countries. According to McKinsey’s assessment, Brazilian leader companies’ average digital maturity score is 66 points, similar to the average score of global leader companies (67 points). The digitalization of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sectors is also rapidly developing. In particular, e-commerce is multiplying due to COVID-19, which has achieved ten years of progress in only ten weeks. The startup boom continues. Brazil is reviewed as a representative mecca of startups among developing countries and Latin America. Between 2012 and 2020, the number of startups in Brazil increased by more than five times, from 2,500 to 13,300.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ociety is also progressing quickly. The digitalization of the education sector is rapidly advancing. when schools were closed after the COVID-19 crisis, 87% of educational institutions provided remote education services. However, there are digital gap problems, as 89% of middle and upper class (AB) students participated in remote education, while only 71% of low-income (DE) students could participate. The digitalization of the health sector is also accelerating. After the COVID-19 incident, the Brazilian congress eased the telemedicine regulations. As a result, 1.3 million telemedicine services had been provided in 2020, and 2 million cases are estimated to be delivered in 2021. Meanwhile, Brazil has some of the heaviest social media consumption per capita on the planet. In Brazil, people use SNS for private communication, but the usage for business purposes is also increasing rapidly.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government is also evaluated to be world-leading. Brazil is the first country to introduce an electronic voting system (1996), being the top country in the digitalization of the government. Brazil ranked 16th overall in the OECD digital government index of 33 countries (29 member countries and four non-member countries) in 2020, and 7 out of 10 Brazilian citizens are using e-government services.
   Third, Brazil is one of the most active countries to implement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Brazil is expected to start building 5G in earnest from 2022, as it successfully closed bidding in the 5G spectrum auction in November 2021. Furthermore, the Brazilian government has approved rules for a spectrum auction for 5G networks without restricting Huawei’s involvement as an equipment supplier. However, Chinese equipment is not permitted for constructing a federal government communication network. Meanwhile, Brazil issued its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E-Digital) in 2018. The E-Digital strategy comprises two features: constructing a digital transformation environment (enabler) and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Chapter 5 analyzes Mexico’s digital transformation status and policies. First, Mexico’s digital connectivity is generally in good condition. Unlike other Latin American countries, Mexico’s cross-border network is mainly built by terrestrial cables. Meanwhile, Mexico operates the world’s first and only wholesale mobile network to increase mobile telecommunications coverage. Also, the Mexican government launched the ‘CFE Telecommunications and Internet for All’ project to expand the national backbone network utilizing CFE’s fiber-optic network. As for internet access, Mexico’s internet usage rate far exceeds the global average, bu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t is the lowest, along with Colombia. Mexico’s internet usage rate is 70.1%, and the penetration rate of wired and mobile broadband is 17.3 and 79.9 per 100 people, respectively, slightly exceeding the global average (15.2 and 75).
   Second, Mexico’s digital transformation has also accelerated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economy is progressing faster in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sectors than in the production sector, and in particular, e-commerce is showing the fastest growth. Meanwhile, Mexico strengthened startup support through the INADEM during President Pena Nieto’s presidential term. Even though the INADEM disappeared in 2019, the number of startup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anks to active investment by private venture capitals. Meanwhil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ociety is also accelerating. However, the Mexican government decided to offer education by television to its more than 30 million public school students after the COVID-19 outbreak. Mexico’s decision to rely on television highlights the country’s low internet penetration and vast social inequality. However, the COVID-19 triggered the sharp growth of telemedicine, and the digitalization of the health sector progressed rapidly.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government is also showing an improvement. Mexico ha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digital government services, such as operating a single government portal (gob. mx) and issuing birth certificates online.
   Third, Mexico’s national digital strategy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AMLO government. The top priority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proposed by the AMLO government’s national development plan is to provide internet services to the entire nation by expanding wireless internet networks. The national digital strategy, the implementation scheme of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also emphasizes developing the state-led digital infrastructure and solving the digital gap problem. The AMLO government’s national digital strategy contains information on the digital government and digital society but does not present any information on the digital economy.
   Chapter 6 analyzes Colombia’s digital transformation status and policies. First, Colombia’s cross-border and national backbone networks are relatively in good condition, but the middle-mile and last-mile networks are still underdeveloped. The internet usage rate is 67%, the same as the Latin American average (66.7%), but it is the low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Meanwhile, the wired broadband penetration rate is 15.7, similar to the world average (15.2 people), but the mobile broadband penetration rate is 63.6, lower than the world average (75 people), Latin American average (72 people), and developing countries average (651 people).
   Second, Colombia’s digital transformation has progressed rapid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Regard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economy, the digitalization of the production sector is relatively underdeveloped. However, 80% of SMEs have accelerated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nd remote work due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Colombia does not have a high level of digitalization in the production sector. However, digitalization in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sectors is relatively ahead. In particular, e-commerce is showing the fastest growth since the COVID-19 outbreak. Meanwhile, startups in the e-commerce and fintech sectors are showing rapid growth as the Colombian government actively stimulates startup activity.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ociety is also accelerating. In particular,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health sector accelerated, with telemedicine soaring after the COVID-19 crisis. However, in the education sector, only 13% of all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a class remotely using the internet due to digital gaps. Meanwhil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government has surpassed the advanced countries. The OECD ranks Colombia in third place behind only South Korea and the UK in evaluating the digital government index among 33 countries (29 member countries and four non-member countries) in 2020. Colombia is also making significant progress in providing digital government services, opening public data, and establishing an online citizen participation portal.
   Third, the Colombian government is consistent in carrying out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The government is aware of the importance of 5G networks. However, 5G is not currently available in Colombia. The commercial service of the 5G network will be possible in 2024 as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re focusing on expanding the coverage of 4G networks. Meanwhile,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2018-2022 of Colombia prioritizes digital transformation as a prerequisite for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operating various digital transformation-related consult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individuals and businesses. 
   In the last Chapter 7, we propos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Latin America. To be specific, we suggest strategies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following two policy measures: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individual countries in Latin America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framework. Then we propose the cooperation task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ree countries: Brazil, Mexico, and Colombi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범위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고찰
1. 디지털 전환의 개념
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제3장 중남미의 디지털 전환 개관
1. 디지털 인프라 현황
2. 디지털 전환 현황
3. 디지털 전환 정책
4. 소결

제4장 브라질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
1. 디지털 인프라 현황
2. 디지털 전환 현황
3. 디지털 전환 정책
4. 소결

제5장 멕시코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
1. 디지털 인프라 현황
2. 디지털 전환 현황
3. 디지털 전환 정책
4. 소결

제6장 콜롬비아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정책
1. 디지털 인프라 현황
2. 디지털 전환 현황
3. 디지털 전환 정책
4. 소결

제7장 한·중남미 디지털 전환 협력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1. 한·중남미 디지털 전환 협력 현황
2. 한·중남미 디지털 전환 협력과제와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60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Working paper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national Production on Global and Domestic Value Chains Following Trade Restructuring and Corresponding International Economic Policies 2022-08-26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연구보고서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제조업 분야 산업정책과 산업구조 변화 연구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식품 무역과 통상분쟁 연구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25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단행본 러시아 디지털 금융의 현황과 전망 2020-12-30 연구보고서 중국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른 한·중 경쟁력 변화와 대응전략 2020-06-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