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우리는 일반적으로 아프리카에 대해서 사회적 불안, 기아, 질병, 경제의 파탄, 그리고 AIDS 등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는 풍부한 천연자원과 더불어 광활한 토지와 풍부하고 저렴한 노동력으로 2000년대 세계 여러 지역 가운데 높은 경제성장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빠르게 변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이 국영기업들을 민영화시키는 등 경제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통화 가치를 안정시키고 인플레이션율과 재정적자를 감소시킴으로써 거시경제의 안정기조를 유지해오고 있다. 1980년대 이후 구조조정계획을 통해 무역과 투자촉진 정책의 개발과 시행으로 점진적으로 무역과 투자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축소시키고 있으며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정비하고 있다. 2000년 들어 미국과 EU는 법적, 제도적으로 아프리카 국가의 경제전망을 위해 장기적인 지원계획을 시작하고 있다.
이제 세계의 다국적기업들도 더 이상 아프리카를 석유나 천연자원의 공급지로서만이 아니라 미래의 부상하는 시장으로 인식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은 증가될 것이며, 특히 한국은 아프리카 진출의 후발주자로서 우리와 유사한 입장에 있는 일본의 對아프리카 진출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기업의 진출방향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1970∼1998년 기간 동안 5번의 주기로 증가-감소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여주는 일본의 對아프리카투자는, 그 성장세로 볼 때 일본의 전체적인 해외투자 성장세보다 높이 나타나고 있다. 세부적으로 광업을 위주로 한 1차산업에 치중한 초기 이후 1970년에 석유파동 이후 종합상사의 진출러시와 실패 1980년대 3차 산업투자의 증가, 1990년 중반 이후의 남아프리카공화국을 거점으로 한 투자 등 그 추세와 전략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일본의 對아프리카 투자는 현재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1990년 후반 이후의 투자전개양상은 아프리카가 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을 일본에 시사하고 있다.마찬가지로 일본과 같이 진입초기에 있는 한국기업의 입장에서도 아프리카는 선점해야 할 중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책적으로 경제개발협력기금의 확충, 직업기술훈련과 민간교류활성화, 국가간 협정을 통한 정부차원의 기업진출 토대마련이 가속화 될 필요가 있다. 기업들로서도 진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무역-금융 연계진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아프리카 각국의 경제·사회 부문에 대해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관련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특히 남아공화국 등 중점 국가들에 대한 일본기업 및 선진기업들의 투자와 사업의 발전추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이제 세계의 다국적기업들도 더 이상 아프리카를 석유나 천연자원의 공급지로서만이 아니라 미래의 부상하는 시장으로 인식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은 증가될 것이며, 특히 한국은 아프리카 진출의 후발주자로서 우리와 유사한 입장에 있는 일본의 對아프리카 진출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기업의 진출방향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1970∼1998년 기간 동안 5번의 주기로 증가-감소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여주는 일본의 對아프리카투자는, 그 성장세로 볼 때 일본의 전체적인 해외투자 성장세보다 높이 나타나고 있다. 세부적으로 광업을 위주로 한 1차산업에 치중한 초기 이후 1970년에 석유파동 이후 종합상사의 진출러시와 실패 1980년대 3차 산업투자의 증가, 1990년 중반 이후의 남아프리카공화국을 거점으로 한 투자 등 그 추세와 전략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일본의 對아프리카 투자는 현재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1990년 후반 이후의 투자전개양상은 아프리카가 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을 일본에 시사하고 있다.마찬가지로 일본과 같이 진입초기에 있는 한국기업의 입장에서도 아프리카는 선점해야 할 중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책적으로 경제개발협력기금의 확충, 직업기술훈련과 민간교류활성화, 국가간 협정을 통한 정부차원의 기업진출 토대마련이 가속화 될 필요가 있다. 기업들로서도 진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무역-금융 연계진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아프리카 각국의 경제·사회 부문에 대해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관련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특히 남아공화국 등 중점 국가들에 대한 일본기업 및 선진기업들의 투자와 사업의 발전추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Since the mid-1980s, African countries have implemented policies which according to the World Bank are necessary for the positive contribution of foreign investment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se economies. Typically within the framework of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mes they now permit full profit repatriation and have removed foreign exchange controls which were seen as obstacles to this. They provide tax and other incentives and have removed all the obstacles in the way of total foreign ownership of economic concerns in their territory and have in fact intensively privatized their state-owned enterprises to aid the processes. They have simplified their investment approval process and have established investment promotion institutions and now make intensive use of their representatives abroad to promote investment opportunities.
As a result, Africa is witnessing an upsurge in the level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according to the 2000 World Investment Report. Foreign direct investment flows to Africa rose 25 percent from $8 billion to $10 billion in 1999, reflecting the faster growth rate being recorded on the continent, the Geneva-based 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said.
Since the 1980s, Japan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vestors in Africa, exerting influence on the states and peoples of the continent. Japan's presence is larger and more significant than generally believed and is certain to grow in importance.
Despite the Japanese strong presence in African markets with potentiality, the implications have not been greeted with much interest or given much attention in Korea itself. This attitude has become deeply entrenched. As a result, a large gap between perceptions and reality exists.
This paper is an attempt partly to fill this intellectual void. To review how Japan has invested, acted (or failed) and designed strategies will previde our policy-makers and businesses necessary and beneficial guidance.
As a result, Africa is witnessing an upsurge in the level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according to the 2000 World Investment Report. Foreign direct investment flows to Africa rose 25 percent from $8 billion to $10 billion in 1999, reflecting the faster growth rate being recorded on the continent, the Geneva-based 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said.
Since the 1980s, Japan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vestors in Africa, exerting influence on the states and peoples of the continent. Japan's presence is larger and more significant than generally believed and is certain to grow in importance.
Despite the Japanese strong presence in African markets with potentiality, the implications have not been greeted with much interest or given much attention in Korea itself. This attitude has become deeply entrenched. As a result, a large gap between perceptions and reality exists.
This paper is an attempt partly to fill this intellectual void. To review how Japan has invested, acted (or failed) and designed strategies will previde our policy-makers and businesses necessary and beneficial guidance.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對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현황
1. 투자환경
2. 對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현황
Ⅲ.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및 對아프리카 투자 전략
1.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이론
2.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3. 일본의 對아프리카 투자 전략
Ⅳ. 한국기업의 대응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1. 한국기업의 對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현황
2. 한국기업의 對아프리카 투자 전략
V. 결 론
Executive Summary
Ⅰ. 서 론
Ⅱ. 對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현황
1. 투자환경
2. 對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현황
Ⅲ.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및 對아프리카 투자 전략
1.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이론
2.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3. 일본의 對아프리카 투자 전략
Ⅳ. 한국기업의 대응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1. 한국기업의 對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현황
2. 한국기업의 對아프리카 투자 전략
V. 결 론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95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중 무역 분쟁과 통상정책 변화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5-05-27
기본연구보고서
전략적 투자보조금 정책이 다국적기업의 투자와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2024-12-30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기본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30
기본연구보고서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2018-12-28
기본연구보고서
리쇼어링의 결정요인과 정책 효과성 연구
2018-12-28
기본연구보고서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2017-11-21
연구보고서
대ASEAN FDI 결정요인의 특징과정책적 시사점
2017-06-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6-12-30
Working paper
To Whom does Outward FDI Give Jobs?
2016-09-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