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대양주는 쿡 아일랜드, 피지, 프렌치 폴리네시아 등 태평양제도 국가들과 호주ㆍ뉴질랜드, 두 개의 선진국으로 이루어진 남태평양에 위치한 국가들을 의미한다. 이 국가들은 지역적으로 대양주라는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으나, 정치,경제, 문화, 외교 및 역사적으로는 상이한 차이점을 지니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생략)
Oceania is comprised of numerous lands, mostly islands in the Pacific Ocean such as Cook Island, Fiji, and French Polynesia, and includes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 two developed nations in the region. Although these countries are classified as Oceania, there is immense diversity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diplomatic, and historical aspects among these nations.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대양주의 경제ㆍ통상 정책
1. 대양주의 경제 현황 및 전망
가. 대양주의 경제 개관
나. 대양주의 경제 현황
다. 대양주의 경제 전망
2. 대양주의 통상정책
가. 호주
나. 뉴질랜드
제3장 한국과의 경제교류 현황 및 이슈
1. 한ㆍ호주 경제관계
가. 교역관계
나. 투자관계
2. 한ㆍ뉴질랜드 경제관계
가. 교역관계
나. 투자관계
3. 호주ㆍ뉴질랜드와의 인적교류 관계
4. 호주ㆍ뉴질랜드와의 정부교류 관계
가. 공식 외교관계
나. 기후변화ㆍ환경문제에서의 국제협력관계
제4장 주요국의 대양주에 대한 전략
1. 미국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안보와 경제의 상호작용
다. 미국 선거가 대양주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2. 일본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중국과의 경쟁이 미치는 영향
다. 외교정상화(Normalisation)
3. EU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호주와 지속되는 문제
다. 강력한 소프트파워
4. 중국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중국ㆍ대만 경쟁의 끝
다. 정치적ㆍ전략적 이익의 증가
제5장 경제협력전략 및 분야별 협력확대방안
1. 대양주의 전략적 중요성과 협력의 기본방향
가.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서의 중재자 역할 활용
나. 농업 진출
다. 외교협력
2. 중점 추진과제
가. FTA 추진
나. 자원시장 진출 및 확보(호주)
제6장 결 론
1. 대양주 지역에 대한 상호 보완적 통상전략
2. 한ㆍ호주 및 한ㆍ뉴질랜드 FTA에 대한 고려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대양주의 경제ㆍ통상 정책
1. 대양주의 경제 현황 및 전망
가. 대양주의 경제 개관
나. 대양주의 경제 현황
다. 대양주의 경제 전망
2. 대양주의 통상정책
가. 호주
나. 뉴질랜드
제3장 한국과의 경제교류 현황 및 이슈
1. 한ㆍ호주 경제관계
가. 교역관계
나. 투자관계
2. 한ㆍ뉴질랜드 경제관계
가. 교역관계
나. 투자관계
3. 호주ㆍ뉴질랜드와의 인적교류 관계
4. 호주ㆍ뉴질랜드와의 정부교류 관계
가. 공식 외교관계
나. 기후변화ㆍ환경문제에서의 국제협력관계
제4장 주요국의 대양주에 대한 전략
1. 미국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안보와 경제의 상호작용
다. 미국 선거가 대양주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2. 일본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중국과의 경쟁이 미치는 영향
다. 외교정상화(Normalisation)
3. EU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호주와 지속되는 문제
다. 강력한 소프트파워
4. 중국
가. 호주ㆍ뉴질랜드 및 태평양제도 도서국가에 대한 기본방침
나. 중국ㆍ대만 경쟁의 끝
다. 정치적ㆍ전략적 이익의 증가
제5장 경제협력전략 및 분야별 협력확대방안
1. 대양주의 전략적 중요성과 협력의 기본방향
가.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서의 중재자 역할 활용
나. 농업 진출
다. 외교협력
2. 중점 추진과제
가. FTA 추진
나. 자원시장 진출 및 확보(호주)
제6장 결 론
1. 대양주 지역에 대한 상호 보완적 통상전략
2. 한ㆍ호주 및 한ㆍ뉴질랜드 FTA에 대한 고려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30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