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EU는 1990년대 통합과정을 통해 역내 관세 및 비관세장벽들을 제거하고 회원국간 상이하였던 기술적 규제나 기준들도 점차 수렴시켜 나갔다. 이와 함께 유럽 자동차산업에서도 자동차관련 산업정책이나 기준 및 제도들이 EU 전체차원에서 수렴되어 갔다. 그리고 역외시장에 대한 각종 무역장벽들도 제거되고 환경 및 안전관련 기준들이 강화됨에 따라 경쟁환경은 더욱 촉진되고 심화되었다. 이러한 경쟁환경의 변화 속에서 유럽 자동차기업들은 생산체제를 재편함과 동시에 경쟁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및 인수를 통해 새로운 경영환경에 대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유럽 자동차산업이 EU의 통합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발전과정을 거쳤으며, 또한 발전과정상에서 나타난 산업적 특성들을 조사함으로써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와 유럽시장 진출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생략)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유럽 자동차산업이 EU의 통합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발전과정을 거쳤으며, 또한 발전과정상에서 나타난 산업적 특성들을 조사함으로써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와 유럽시장 진출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생략)
The European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European Automobile Industry
Young-Gon Park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 European automotive industry and finds specific phenomenons of the industry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The study also draws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Korea's automotive industry.
The European Union abolished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and unified different technical standards and regulations among member states during the 1990's integration process. The European automobile industry policies, standards and regulations were also unified through the integration process. This study finds that the abolishment of trade barriers for extra-union and the strengthening of standar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regulations and safety conditions in the union have led the increase the degree of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industry.
Facing a competitive environment, European automobile companies reorganiz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while leading establishment of strategic alliances or acquisitions with competing companies. And European automobile companies transferred their production facilities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late 1990's in order to reduce product costs and reinforce their market dominancy.
After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highligh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automobile industry. In the EU's case, EU member states reinforced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through the abolishment of trade barriers for foreign enterprises and strengthened standar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regulations and safety conditions of automobile instead of financial and technical assistances to automobile companies. Thus, the recommended policy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is one like EU, in which the government creates a favorable environment that could encourages market-competition, rather than providing direct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s. To enlarge the market share in the Europe, Korean automobile companies should increase investm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ocal corporations and the raising of the brand recognition in the local market.
Young-Gon Park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 European automotive industry and finds specific phenomenons of the industry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The study also draws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Korea's automotive industry.
The European Union abolished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and unified different technical standards and regulations among member states during the 1990's integration process. The European automobile industry policies, standards and regulations were also unified through the integration process. This study finds that the abolishment of trade barriers for extra-union and the strengthening of standar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regulations and safety conditions in the union have led the increase the degree of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industry.
Facing a competitive environment, European automobile companies reorganiz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while leading establishment of strategic alliances or acquisitions with competing companies. And European automobile companies transferred their production facilities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late 1990's in order to reduce product costs and reinforce their market dominancy.
After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highligh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automobile industry. In the EU's case, EU member states reinforced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through the abolishment of trade barriers for foreign enterprises and strengthened standar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regulations and safety conditions of automobile instead of financial and technical assistances to automobile companies. Thus, the recommended policy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is one like EU, in which the government creates a favorable environment that could encourages market-competition, rather than providing direct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s. To enlarge the market share in the Europe, Korean automobile companies should increase investm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ocal corporations and the raising of the brand recognition in the local market.
차 례
국문요약 1
제1장 서론 7
제2장 유럽 자동차산업 개관 9
1. 자동차산업 현황 9
가. 자동차 생산 및 판매 현황 9
나. 세계자동차시장에서의 비중 13
2. 자동차산업 전망 15
제3장 EU 통합과정에서의 유럽 자동차산업의 발전현황 17
1. 시장통합과 통화통합에 따른 영향 17
가. 시장통합에 따른 영향 17
나. 통화통합에 따른 영향 19
2. EU 역내 경쟁환경의 변화 20
가. 수입규제조치 철폐 20
나. 독점금지 21
다. 환경 및 안전관련 기준강화 22
1) 기준 강화 22
2) 자동차기업들의 대응 24
가) 배출가스 정화기술 개발 24
나) 대체에너지 개발 24
제4장 유럽 자동차산업의 재편 26
1. EU 역내 생산체제의 재편 26
가. 1999년 이전의 생산체제 개편 26
나. 1999년 이후의 생산체제 개편 27
2. 전략적 제휴 및 인수 확대 28
3. 자동차기업들의 경영전략 변화 31
가. 자동차시장의 성장둔화 31
나. 자동차기업들의 대응전략 31
4. 신흥시장개척 35
가. 중동구시장 진출 35
1) 중동구시장 진출동기 35
2) 중동구지역의 자동차시장 규모 36
3) 유럽 자동차기업들의 생산거점 구축 39
4) 자동차기업들의 진출전략 41
나. 터키 및 러시아시장 진출 44
1) 터키 자동차시장 진출 44
2) 러시아 자동차시장 진출 45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46
參 考 文 獻 51
Executive Summary 52
표 차례
<표 2-1> 서유럽 주요국별 자동차 생산 추이 10
<표 2-2> 서유럽 자동차산업의 시장가치 추이 11
<표 2-3> 지역별 자동차 생산대수 15
<표 3-1> 유럽 주요국 자동차시장에서의 국산승용차 비중 추이 19
<표 4-1> 중동구 자동차산업 규모(2002년 기준) 36
<표 4-2> 중동구 주요국의 수입차 시장규모 추이 37
<표 4-3> 중동구 주요국과 터키의 EU/EFTA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관세철폐 38
<표 4-4> 세계 주요자동차 기업들의 중동구 시장진출 현황 41
<표 4-5> 유럽 자동차기업의 중동구 시장 진출전략 43
그림 차례
<그림 2-1> 서유럽지역의 자동차 생산 추이 9
<그림 2-2> 서유럽지역의 자동차 판매대수 추이 11
<그림 2-3> 서유럽 자동차시장의 국별 시장가치 비중 12
<그림 2-4> 서유럽 자동차시장의 자동차기업별 판매대수 비중 13
<그림 2-5> 지역별 세계자동차시장에서의 시장가치 비중(2002년 기준) 14
<그림 2-6> 지역별 세계자동차시장에서의 판매대수 비중(2002년 기준) 14
<그림 2-7> 서유럽 자동차산업 전망(시장가치 기준) 16
<그림 2-8> 서유럽 자동차산업 전망(판매대수 기준) 16
<그림 4-1> 세계 주요 자동차기업간 자본 및 기술 제휴관계 29
Box 차례
EU의 현행 자동차관련 환경기준 23
자동차그룹별 주요 브랜드 30
국문요약 1
제1장 서론 7
제2장 유럽 자동차산업 개관 9
1. 자동차산업 현황 9
가. 자동차 생산 및 판매 현황 9
나. 세계자동차시장에서의 비중 13
2. 자동차산업 전망 15
제3장 EU 통합과정에서의 유럽 자동차산업의 발전현황 17
1. 시장통합과 통화통합에 따른 영향 17
가. 시장통합에 따른 영향 17
나. 통화통합에 따른 영향 19
2. EU 역내 경쟁환경의 변화 20
가. 수입규제조치 철폐 20
나. 독점금지 21
다. 환경 및 안전관련 기준강화 22
1) 기준 강화 22
2) 자동차기업들의 대응 24
가) 배출가스 정화기술 개발 24
나) 대체에너지 개발 24
제4장 유럽 자동차산업의 재편 26
1. EU 역내 생산체제의 재편 26
가. 1999년 이전의 생산체제 개편 26
나. 1999년 이후의 생산체제 개편 27
2. 전략적 제휴 및 인수 확대 28
3. 자동차기업들의 경영전략 변화 31
가. 자동차시장의 성장둔화 31
나. 자동차기업들의 대응전략 31
4. 신흥시장개척 35
가. 중동구시장 진출 35
1) 중동구시장 진출동기 35
2) 중동구지역의 자동차시장 규모 36
3) 유럽 자동차기업들의 생산거점 구축 39
4) 자동차기업들의 진출전략 41
나. 터키 및 러시아시장 진출 44
1) 터키 자동차시장 진출 44
2) 러시아 자동차시장 진출 45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46
參 考 文 獻 51
Executive Summary 52
표 차례
<표 2-1> 서유럽 주요국별 자동차 생산 추이 10
<표 2-2> 서유럽 자동차산업의 시장가치 추이 11
<표 2-3> 지역별 자동차 생산대수 15
<표 3-1> 유럽 주요국 자동차시장에서의 국산승용차 비중 추이 19
<표 4-1> 중동구 자동차산업 규모(2002년 기준) 36
<표 4-2> 중동구 주요국의 수입차 시장규모 추이 37
<표 4-3> 중동구 주요국과 터키의 EU/EFTA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관세철폐 38
<표 4-4> 세계 주요자동차 기업들의 중동구 시장진출 현황 41
<표 4-5> 유럽 자동차기업의 중동구 시장 진출전략 43
그림 차례
<그림 2-1> 서유럽지역의 자동차 생산 추이 9
<그림 2-2> 서유럽지역의 자동차 판매대수 추이 11
<그림 2-3> 서유럽 자동차시장의 국별 시장가치 비중 12
<그림 2-4> 서유럽 자동차시장의 자동차기업별 판매대수 비중 13
<그림 2-5> 지역별 세계자동차시장에서의 시장가치 비중(2002년 기준) 14
<그림 2-6> 지역별 세계자동차시장에서의 판매대수 비중(2002년 기준) 14
<그림 2-7> 서유럽 자동차산업 전망(시장가치 기준) 16
<그림 2-8> 서유럽 자동차산업 전망(판매대수 기준) 16
<그림 4-1> 세계 주요 자동차기업간 자본 및 기술 제휴관계 29
Box 차례
판매정보
분량/크기 | 61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Working paper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national Production on Global and Domestic Value Chains Following Trade Restructuring and Corresponding International Economic Policies
2022-08-26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공동체별 통상환경 및 산업 구조와 한국의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연구보고서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제조업 분야 산업정책과 산업구조 변화 연구
2020-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통합과정 평가와 한국의 협력전략
2021-05-26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식품 무역과 통상분쟁 연구
2020-12-30
연구보고서
MERCOSUR와 태평양동맹(PA)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2020-12-30
연구보고서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0-12-30
단행본
독일통일 30년: 경제통합의 평가와 시사점
2020-12-30
APEC Study Series
Measuring Convergences and Divergences in APEC RTAs/FTAs: a text-mining approach
2020-12-30
APEC Study Series
Measuring Convergences and Divergences in APEC RTAs/FTAs: a text-mining approach
2020-12-30
연구보고서
중국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른 한·중 경쟁력 변화와 대응전략
2020-06-29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업분야 4차산업혁명 정책 및 시사점
2019-12-30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