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DDA 무역과 개발 분야의 논의동향과 대응방안 다자간협상

저자 남상열, 권율 발간번호 02-0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2.12.30

원문보기(다운로드:74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약 400자) 본 보고서는 도하라운드에서 관심대상분야로 새로이 부각된 무역과 개발분야의 다자간 논의동향을 분석하여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하라운드에서 논의가 개도국 특별우대조치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다자간 무역규범에서의 무역과 개발문제를 중심으로 회원국들의 제안내용 및 한국의 입장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다자무역체제의 안정과 세계경제의 동반성장을 위해 실천적인 조치로서 요구되는 개발원조문제에 대해 논의동향 및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WTO 사무국이 작성한 WTO 협정 및 결정별 개도국 특별우대조항들의 분석 및 활용에 관한 문건과 2002년중 무역과 개발위원회의 특별회의에 제출되어 논의된 20개 제안서의 주요내용을 참고자료로 정리하였다. 이들을 바탕으로 향후 논의의 전망과 함께 주요 쟁점별로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생략)
An Assessment of Trade and Development Issues in the Doha RoundSang-yirl Nam and Yul Kwon
This report reviews the multilateral issues and discussions in the trade and development area of the Doha Round and offers suggestions on what position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Since the discussions in the Doha Round have concentrated on the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SDT) provisions in the various WTO agreements and decisions, we focused on issues related to the SDT provisions in terms of trade and development. A wide gap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an be observed in the discussions of the Doha Round.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least developed countries, have made various proposals aimed at strengthening and clarifying the SDT provisions, as well as making them more efficient and operational-. In contrast, developed countries have emphasized the overall balance between rights and obligations in the multilateral trade system, and the need for developing countries to take an active role. However, while stressing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comprehensive and common rules on SDT provisions, they neglect to respond to the concrete proposals of developing countries on each SDT provision. Korea's position will be closer to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at the overall balance between rights and obligations in the multilateral trade system will be emphasized. However, Korea must maintain its position as a developing country on several sensitive and important issues, especially on topics such as the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sectors. For that purpose Korea will have to persuade member countries by preparing and offering objective materials explaining its situation in those areas. Besides, Korea can contribute to the Doha negotiation process by submitting proposals on, for example, substantial enlargement of the products subject to preferential treatment for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the general purpose and principles applied to the SDT provisions, and on the development of further discussions in these areas. In addition, it will be important to enhance Korea's role in economic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in term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t is time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development assistance so that the complementary basis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those countries can be enlarged. For that purpose it is important for Korea to increase its ODA contributions and to make an effort to join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of the OECD.
By the end of 2002, the Committee on Trade and Development failed to reach a conclusion in its discussions on the SDT provisions. The discussions will have to be continued over 2003, and it is hoped some results on the objectives,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monitoring mechanism on SDT provisions can be achieved by the fifth ministerial meeting in Cancun, Mexico in September. For the specific issues of the agreement, a realistic target may be to establish comprehensive and common rules applicable to the various SDT provisions, to classify them by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the order of priorities before the fifth ministerial.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progress can be achieved after the ministerial meeting by cooperating with other committees and subsidiary bodies of the WTO.
제1장 서론
1. 개요

제2장 다자간 협상에서 무역과 개발문제의 논의 경과
1. 개도국들의 세계무역에의 참여
2. 개도국과 다자무역규범- DDA 이전의 논의
3. 개도국과 다자무역규범- DDA에서의 논의

제3장 개도국우대 관련 다자간 무역규범
1. 개요
2. SDT 조항 개관
3. WTO 협정 및 결정별 SDT 조항과 제안

제4장 개발원조문제의 논의동향
1. 개발협력정책의 주요방향
2. 주요쟁점 및 협력이슈
3. 최빈개도국 지원문제

제5장 향후 전망 및 한국의 대응
1. 향후 전망
2. 한국에 미칠 영향
3. 대응방안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593
판매가격 2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 평가와 시사점 2022-10-25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연구자료 미국과 EU의 농업보조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중 전략경쟁하 WTO 다자체제의 전망과 정책 시사점 2021-12-29 연구자료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경간 전자조달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21-03-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상소기구의 기능 변화와 전략적 통상정책 2020-12-30 연구자료 디지털세 논의에 관한 경제학적 고찰 2020-11-06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국영기업, 산업보조금, 통보 2019-12-31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분쟁해결제도 2019-12-31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농업보조 통보 및 개도국 세분화 2019-12-31 연구보고서 아세안 사회문화공동체와 한국의 분야별 협력방안 2019-12-31 연구보고서 WTO 체제 개혁과 한국의 다자통상정책 방향 2018-12-31 연구자료 체제전환국의 WTO 가입경험과 북한 경제 2018-07-20 연구자료 RCEP 역내 생산·무역구조 분석과 시사점 2017-10-24 연구자료 The EU’s Investment Court System and Prospects for a New Multilateral Investment Dispute Settlement System 2017-10-12 연구보고서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와 포스트 나이로비 다자통상정책 방향 2016-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Evolving Digital and E-Commerce Trade Rules for Northeast Asia 2016-12-30 연구자료 Mega FTA 대응전략 연구: TBT 협정을 중심으로 2016-09-12 연구보고서 한·중·일의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3국 협력방안: 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2015-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GTI 회원국의 무역원활화 현황 및 역내 협력방안 2014-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