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자본유출입 안정화방안 금융정책, 통화정책

저자 강태수, 김경훈, 서현덕, 강은정 발간번호 18-04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12.28

원문보기(다운로드:4,40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글로벌 금융위기 수습과정에서 미국 통화당국(Fed)은 기준금리를 0%로 인하하는 한편, 세 차례에 걸친 양적완화정책(quantitative easing) 시행으로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하였다. 이 결과 미 연준 대차대조표는 2008년 9월(0.9조 달러) 대비 5배(4.5조 달러)까지 확대되었다. 늘어난 글로벌 유동성의 상당 부분은 신흥국으로 유입되었다. 유입된 자본은 은행대출 등 신용량 증가로 이어져 신흥국 경제성장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 미국, 유럽 등이 부진한 상황에서 글로벌 GDP의 63%를 지탱하는 신흥국시장이 세계 경제성장의 엔진역할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자본유입이 경제성장에 기여한 순기능이 있지만 동시에 신흥국과 한국에서 금융부문을 통해 시스템적 리스크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신흥국들은 외국인 자본유입에 따른 시스템적 리스크에 적극 대응하였다. 거시건전성 정책수단으로 국내신용 급증에 대응하는 한편 과도한 자본유입을 억제하는 등 대외균형 유지에 힘썼다. 신흥국이 자본유입 억제수단을 도입하려면 자본유입이 대외적인 요소 때문에 촉발된 경우라야 설득력과 정당성이 확보된다.
   그동안 대다수 선행연구는 대내요인(pull factor)보다는 대외요인(push factor)이 신흥국 자본유출입에 더 큰 영향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전 인도중앙은행 총재 Raghuram Rajan은 미국 Fed 및 선진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충격이 주요 대외요인임을 지목하였다. 한편 2018년 5월 제롬 파월(Jerome Powell) 미 연준 의장 연설을 계기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으로의 자본이동과 관련된 논란이 다시 쟁점화되었다. 파월 의장은 신흥국으로의 자본유입을 연준의 금리정책이 초래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 연준의 양적완화는 Fed 기준금리를 마이너스(−) 4% 까지 추가로 끌어내린 효과가 있다. 앞으로 진행될 양적완화정책 정상화는 4%p의 정책금리 인상을 초래한다는 의미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전 세계에 미칠 부정적 파급영향에 대한 우려가 큰 이유다. 동시에 신흥국에서 자본유출 압력도 점차 강화됨을 시사한다. 파월 의장의 연설문이 향후 신흥국에서 자본유출이 발생하더라도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때문이 아니라는 ‘묵시적인’ 경고를 담고 있다는 점은 신흥국의 정책대응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는 글로벌 자본흐름 결정요인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미국 통화정책 추진이 우리나라 금융시장과 자본유출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먼저 제2장에서는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진전 및 최근 쟁점사항을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신흥국, 선진국을 포함한 47개 국가 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자본유출입 결정요인(push vs. pull factor)을 점검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선진국과 신흥국에서 자본유출입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인 대외/대내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진국의 경우 대내/대외요인 모두 자본유출입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신흥국에서는 대외요인이 주요 결정변수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흥국 내에서도 네 개의 하위그룹별 자본유출입 패턴이 상당히 상이한 것을 발견하였다. 아시아 신흥국은 대내/대외요인 모두 주요 결정변수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동유럽은 대외요인, 남미 신흥국은 대내요인이 주요 결정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신흥국으로의 자본유입은 미국 금리가 먼저 인하된 후 다음 분기부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파월 의장의 주장(“신흥국으로 대규모 자본유입은 미 연준 기준금리 인하 전부터 시작”)에 대해 재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제4장은 경제구조와 충격의 변동성이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TVP-VAR 모형을 활용하여 미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가 국내 금융시장·외환시장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지표인 미국 신용스프레드 충격은 국내 금융시장과 자금유출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2015년 이후 미국 정책금리 인상 충격의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본 연구는 미국 정책금리, 기간프리미엄, 신용스프레드 등이 동시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이 충격은 국내 장기금리, 신용스프레드 및 원/달러 환율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하지만 금융계정 변수의 경우 외국인 국내투자자금은 이탈하였으나 내국인 해외투자자금이 회수되면서 상쇄되는 모습을 보였다.
   제5장에서는 자본유출 상황에 대응했던 주요국의 거시건전성 정책조치 실제 사례를 정리하였다.
   본 보고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제6장에서 다섯 가지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선진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초래하는 자본유출 등의 외부효과(externality)에 대해 적절한 대응이 필요해보인다. 「자금방출 선진국(source countries) – 자금 도착지 신흥국(recipient counties)」 간 자본흐름이 미칠 경제적 외부효과 부작용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G20 플랫폼을 통해 IMF, OECD, BIS 등에 요구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국내 통화정책 운용 시 종전과 달라진 자금흐름 패턴을 감안해야 한다. 그동안 내외금리 차 확대는 곧바로 자본유출로 이어진다는 우려가 컸으나 2014년 이후 「내국인 해외 증권투자자산 > 외국인 국내 증권투자」 구조 정착 및 내국인 해외투자자금의 환류 가능성 상승 등으로 「내외금리차 확대 → 자본유출 증가」 리스크가 과거보다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경상수지 흑자⇆내국인 해외투자 증가」의 선순환구조 구축이 우리 경제가 대외부문 ‘확대 균형’으로 나아감에 있어 관건이다. 경상수지 흑자가 국내에 머물기보다 내국인의 해외자산투자로 이어지면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배당 등 본원소득)은 다시 경상흑자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원화 강세 압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넷째, 외화 유동성 확보수단으로 제2의 외환보유액 역할을 수행하는 거주자 외화예금의 증대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책금리 경로에 대해 한국은행이 금융시장과의 소통 노력을 배가시켜나갈 시점이다. 미 연준이 금리인상 예상경로를 미리 공표하는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를 통한 소통 노력을 강화해 시장충격을 줄인 것이 좋은 사례다.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S monetary authority (Fed) reduced the benchmark interest rate to 0% and provided massive liquidity through three quantitative easing measures. As a result, the US Fed balance sheet expanded five times ($ 4.5 trillion) from September 2008 ($ 0.9 trillion). Much of the increased global liquidity flowed into emerging economies. The influx of capital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emerging economies, leading to new credit increases such as bank loans. Emerging markets, which supported 63% of global GDP, served as an engine of the global economy at a time when the growth in the US and Europe were subdued.
   While capital inflows have a supporting role in contributing to economic growth, they have also been a potential prompting factors to systemic risk in emerging countries and Korea. Emerging economies actively responded to systemic risks from foreign capital inflows. With the introduction of macro-prudential policy measures, emerging economies have been striving to maintain an external balance by responding to the surge in domestic credit and restraining excessive capital inflows. In order for emerging countries to adopt measures to curb inflows of capital, persuasiveness and legitimacy are secured only if external influences are triggered by external factors.
   Mos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ush factors have had a greater impact on capital outflows in emerging economies than in pull factors. Raghuram Rajan, former central bank governor of India, has pointed out that the monetary policy impact of the US Fed and the developed country central bank is a major external factor (push factor). Meanwhile, in May 2018, the US Federal Reserve Chairman Jerome Powell addressed the controversy over capital movements to emerging economi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Powell said the inflows of capital into emerging economies is unlikely to have been caused by the Fed’s interest rate policy.
   According to the study, the US Fed’s quantitative easing has had the effect of lowering the Fed base rate by a further 4%. This means that normalization of the quantitative easing policy will lead to a policy rate hike of 4 percentage points. This is the reason why the normalization of US monetary policy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At the same time, the squeezing on capital outflows in emerging economies is increasing.
   Powell’s speech contains “implied” warnings that the US monetary policy is not a triggering force of a capital outflow in emerging economies. That’s why Powell’s speech is adding to the difficulty of policy responses in emerging countrie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eterminants of global capital flows. In addition, the impact of US monetary policy on Korea's financial markets and capital outflows needs to be analyzed in depth.
   In this context, Chapter 2 introduced the progress of normalization of US monetary policy and recent issues. In Chapter 3, the discussion of push vs. pull factors in cross-country capital flows were examined using panel data of 47 countries including emerging and developed countri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ternal/ internal factors determining capital flows in developed and emerging countries is different.
   In developed countri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capital inflows and outflows. However, in emerging economies, external factors were found to be a major determinant. We also found that the patterns of capital flows among the four sub-groups in emerging countries are quite different.
   For emerging Asian economi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re main determinants. However, external factors in Eastern Europe and internal factors in emerging Latin America are key determinants. In addition, capital inflows into emerging economies increased from the next quarter after US interest rates were cut first. This suggests that Powell’s argument (“Large capital inflows into emerging economies begins before the Fed’s rate cuts”) need to be reevaluated.
   Chapter 4 analyzes the impact of the normalization of US monetary policy on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and foreign exchange market by using the TVP-VAR model. In TVP-VAR model, the volatility of the economic structure and shock varies with time. Analysis shows that US credit spread shock, which is an indicator of uncertainty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domestic financial markets and capital inflows.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the US policy rate hike after 2015 was limited.
   This study also practiced a simula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 policy rate, term-premium, credit spread are all rise at the same time. The shock caused domestic long-term interest rates, credit spreads, and won/dollar exchange rates to rise. However, residents’ overseas investment funds were returned while the foreigners’ investment funds flowed out. Chapter 5 summarizes the cases of macro-prudential policy measures of major countries that responded to the capital outflow situ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report, Chapter 6 presents the five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an ‘externality’ such as capital outflow caused by normalization of monetary policy in developed countries. Through the G20 platform, the Government could put international institutions like IMF, OECD, BIS in doing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adverse effects of capital flows between “source countries” and “recipient counties”.
   Second, when operating domestic monetary policy, Bank of Korea is necessary to consider a pattern of capital flows that have changed from the past. In the meantime, there was a concern that the expanded gap between the domestic and US interest rates would lead to capital outflows. However, the capital outflows risks from the interest rate gap is expected diminished from the two reasons. ① The capital flow pattern of 「residents’overseas investment > foreigners domestic investment」 is settled down after 2014. ② Residents’ overseas investment could return in the crisis time.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virtuous cycle structure of 「current account surplus ⇆ residents’overseas investment」 is key to the balance in the external sector. If current account surplus does not stay in Korea but leads to overseas investment of Korean investors, the income generated in the form of dividend income etc. will be linked to next round current account surplus and will ease the pressure on the Korean Won appreciation.
   Fourth,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foreign currency deposits of residents which act as ‘the second’ foreign exchange reserves securing foreign currency liquidity. Fifth, it is time for Bank of Korea to double its efforts to communicate with the financial markets on the policy rate path. It is a good case in point for the Fed to persuade market sentiment by strengthening its communication efforts through ‘forward guidance’ vehicle, which announced the path ahead of the expected rate hike.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과 향후 전망
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 연준 통화정책 요약 
2. 미 통화정책 정상화 현황 및 과제


제3장 자본유출입 결정요인 분석
1. 서론
2. 문헌연구
3. 실증분석
    가. 계량모형
    나. 데이터 및 기초통계량
    다. 실증분석 결과
4. 강건성 검증
    가. 국가특성변수를 포함하는 확장모형
    나. 고정효과를 포함하는 패널모형
    다. 종속변수로 총자본유입을 사용한 OLS 회귀분석
    라. 미국 그림자금리 대신 실질금리를 사용한 OLS 회귀분석
    마. 위기기간을 제외한 분석기간에 대한 OLS 회귀분석
5. 소결


제4장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
1. 서론
2. 모형의 추정
    가. 추정방법
    나. 변수의 구성
    다. 구조적 충격의 식별
3. 분석 결과
    가. 충격반응함수 분석
    나. 시나리오별 분석
4. 소결


제5장 자본유출입 대응 주요국 거시건전성 조치 사례
1. 개요
    가. 배경
    나. IMF의 자본이동관리에 관한 제도적 시각
2. 자본유출입에 대한 주요국의 정책대응 사례
    가. 아이슬란드
    나. 브라질
    다. 콜롬비아
    라. 러시아
    마. 페루
    바. 한국
3. 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선진국 통화정책이 초래한 외부효과의 심각성
2. 통화정책은 자본흐름 패턴 변화를 감안할 필요
3. 「경상수지 흑자⇆내국인 해외투자 증가」의 선순환구조 정착
4. 외화유동성 확보의 중요성
5. 향후 정책금리 경로에 대한 소통노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7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대외충격의 자본유출입 효과와 경기안정화 정책 분석 2023-12-29 연구보고서 순대외금융자산이 경제안정과 금융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3-12-29 연구보고서 디지털금융을 통한 아프리카 금융포용성 개선 방안 연구 2023-12-30 연구자료 중국의 녹색금융 발전전략과 주요내용 2022-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기초여건 간 괴리에 대한 연구: 시장심리를 중심으로 2021-12-30 Working paper COVID-19 and the Health of Banking Sector in Japan and South Korea: A Comparative Study 2022-07-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부동산 보유세 논의 방향과 거시경제적 영향 분석 2021-12-30 ODA 정책연구 글로벌 ESG 동향 및 국가의 전략적 역할 2021-12-30 연구보고서 신용공급 변동이 경제성장 및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2020-12-30 연구보고서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분석: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2020-12-30 연구보고서 대외부문 거시건전성 정책 10년의 성과와 개선방안 2020-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2020-12-30 연구보고서 중국 산업, 얼마나 强한가?: 중국 산업경쟁력의 미시적 토대 분석 2020-02-28 연구보고서 개방경제에서 인구구조 변화가 경상수지 및 대외자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중소기업의 국제화 정책방향 연구 2019-12-30 연구보고서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2019-12-30 APEC Study Series Asia-Pacific Stock Market Connectedness: A Network Approach 2019-10-31 APEC Study Series Asia-Pacific Stock Market Connectedness: A Network Approach 2019-10-31 연구자료 외화예금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2019-08-26 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의 국제전이: 뉴스와 노이즈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2019-06-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