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축통화 보유 여부를 중심으로 통화정책, 환율

저자 윤덕룡, 김소영, 이진희 발간번호 18-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12.28

원문보기(다운로드:4,61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통화를 가지지 못한 소규모 개방경제의 통화정책과 기축통화국의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경제학 이론에서는 이러한 구분 없이 모든 국가에서 동일하게 이론에서 제시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먼저 본 연구에서 비기축통화국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규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비기축통화국의 환율 특성을 상술하였다. 이를 통해 왜 기축통화국과 비기축통화국을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안정기 등으로 나누어 환율의 상대적 변동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위기 기간의 상대적 변동성이 기축통화국보다 비기축통화국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무위험 이자율 차이에 대한 통계적 특성도 살펴보았다. 기축통화국에서는 무위험 이자율 차이의 평균이 0에 가까웠고 변동성도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율평가도 검정하였지만 여기서는 두 집단간 차이를 특정하기는 어려웠다.
   제3장에서는 구조 다변수 자기 회귀 모형(Structural VAR Model: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기축통화국과 비기축통화국에서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충격 반응함수에 부호제약을 부가하는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하여 각국의 통화정책 충격을 식별하였다. 6대 기축통화국 중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인 영국, 캐나다, 스위스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비기축통화국 중에서는 아시아권의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들인 한국,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을 대상으로 최근의 인플레이션 타기팅 기간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축통화국인 영국, 캐나다, 스위스에서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환율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이론의 예측과 많이 다르지 않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이론이 예측하는 것처럼 금리인상 충격은 환율을 유의하게 절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ornbusch(1976)의 예측과 같이 환율이 오버슈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Dornbusch(1976)의 예측과 약간 달리 환율이 즉각적으로 최대효과가 나타나지는 않았고 몇 개월 후에 최대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대부분의 비기축통화국들에서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이론의 예측과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태국과 인도네시아에서는 금리인상 충격 후 환율이 절상되지 않고 절하되는 ‘환율 퍼즐’이 나타났다. 필리핀에서는 환율의 반응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환율 절상이 지나치게 오랫동안 유지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외적으로 한국의 경우는 금리인상 충격 후 환율의 반응이 상대적으로 덜 유의하게 나타나기는 하나 환율이 절상되고 환율이 오버슈팅 되고 충격 후 두 번째 월에 최대효과가 나타났다는 면에서 선진국들의 결과와 비슷하게 이론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화정책 충격 시 축적된 리스크 프리미엄은 종종 유의하게 0과 다르다고 나타났는데, 축적된 리스크 프리미엄의 반응이 기축통화국과 비기축통화국 간에 명확히 다르다고 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 오차 분산 분해 결과, 통화정책 충격은 이들 국가에서 약 10~15% 정도의 환율변동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정책 충격이 환율변동성을 설명하는 비중도 기축 통화국과 비기축통화국 간에 명확히 다르다고 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제4장에서는 한국의 통화정책이 환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사건연구(event study)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의 통화정책이 환율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활용한 모형은 주식시장의 위험조정모형(market-and-risk adjusted returns model) 중 시장모형(market model)에 속하는 것으로 특정사건이 추세를 벗어나는 초과수익을 발생시키는지를 측정하는 방식의 모형이다. 이를 적용하여 통화정책적 충격이 환율을 추세에서 벗어나게 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초과수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인지의 여부를 t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건연구를 위해 4개의 사건을 선정하였는데 3개의 사건은 미국의 금리가 동결된 상황에서 한국의 금리변화가 있었던 시기로 구성하였고 다른 하나의 사건은 현재의 상황과 유사한 시기를 선정하여 향후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환율은 신흥국 통화지수보다는 달러 인덱스를 기준으로 더 유의하게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연구의 결과는 4개 사건 중 하나의 사건에서는 이론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환율이 변화하였고 나머지 3개의 사건에서는 이론과 부합하게 환율이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사건의 결과가 지속되는 시기가 길지 않고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한 사건은 하나에 그치고 있어서 한국의 통화정책이 항상 이론에서 제시하는 방향으로 환율을 변화시킨다고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의 상황과 유사한 사건의 경우에는 한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미국이 같은 수준으로 금리를 인상해도 환율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미치는 한계영향력이 감소하였고 한국은 금리인상을 미국보다 더 장기적으로 지속할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 사건은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원화의 국제화가 필요하다. 한국의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과정에 대한 예측이 제한적인 이유는 원화가 국제화되지 못한 것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장의 투명성 제고나 통화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도 원화를 국제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는 소국개방경제적 특성 때문에 통화정책 결정 시 미국의 통화정책과 양국간 금리의 변동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통화정책이 한국의 통화정책보다 영향력이 커서 양국이 상치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경우 정책효과가 약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셋째, 통화정책의 운용방식 확대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기준금리조정을 중심으로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명목금리만이 아니라 실질금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용수단의 개발이 필요하다. 개방경제적 환경이 국내외적 여건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 통화정책 운용기법을 개발하는 노력을 더욱 요구하고 있다.
   넷째,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대외적 영향력이 제한적이므로 환율정책이 필요한 경우를 위해 다양한 간접적 정책수단의 개발이 필요하다. 물론 우리나라 중앙은행에 명시적으로 주어진 역할은 물가관리와 금융안정이다. 그러나 환율을 비롯하여 여타 거시경제지표들도 금융안정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중앙은행의 역할을 보다 포괄적인 범위에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금과 같이 한·미 금리가 역전되어 있고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원/달러 환율에 대한 한국의 통화정책 충격의 영향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미국의 금리상승이 야기한 달러화 강세의 한계영향력이 낮아져 있고, 한국이 금리를 상승할 수 있는 여력도 더 높은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monetary policy of small open economy that does not have international currency and monetary policy of small open economy that has international currency have a different effect on exchange rate. This is because general economic theory explains that the same effect will occur in all countries without explicit distinction between these distinctions.
   Chapter 2 defines the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currency and details its exchange rate characteristics. This allowed us to see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between international currency and non-international currency. Next, the relative volatility of exchange rates was measured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stabilization period. As a result, the relative volatility of the crisis period was higher in the non-international currency than in the international currency. We then looked at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vered interest differentials. In the international currency, the average of the covered interest differentials was close to zero and the variability was relatively lower.
   In Chapter 3,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exchange rate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VAR) models with sign restrictions. The target countries are the international currency countries (British, Canada, Switzerland) and Asian non-international currency countries (Korea, Thailand, the Philippines, Indonesia, Malaysia) among small open economies, and we investigate the inflation targeting periods.
   The responses of exchange rates to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in international currency of Britain, Canada and Switzerland was not much different from predictions of theories in general. As most theories predict, interest rate hikes have significantly lowered the exchange rate. It was also shown that exchange rates were overshooting, as predicted by Dornbusch (1976).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exchange rates in most non-international currency countries has been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at of theory. In Thailand and Indonesia, ‘exchange rate puzzles’ appeared.  In the Philippines, the currency exchange rates were not significant. Malaysia’s exchange rate decline tends to stay too long. Exceptionally for Korea, the impact of interest rate hikes on the currency exchange rate was relatively less significant, but the rate fell, the exchange rate was overshooted and the maximum effect was in the second month after the impact.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s of the accumulated risk premium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However, it was not clearly different between the international and non- international currencies. 
   Chapter 4 used event studies to identify the excess rate of return from monetary policy impacts and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Four cases were selected, which consisted of three incidents of interest rate changes in Korea under the freeze of U.S. interest rates, and another one wanted to pick a similar time to the current situation to get suggestions for future situations.
   The study found that the Korean exchange rate fluctuates more significantly on the basis of the dollar index than on the emerging countries index. The outcome of the case study was that one of the four events changed the exchange 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eory, while the other three events showed that the exchange rate changed in line with the theory. But the impact of the incident did not last long.  And there was only one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t. Therefore, Korea’s monetary policy was limited to changing the exchange rate in the direction presented in the theory. In case of an incident similar to the recent situation, the exchange rate has been shown to fall even i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aise interest rates to the same leve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U.S. rate increase has reduced its marginal influence on the Korean currency and it could last longer than the U.S.  However, this event does not have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ollowing ar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e need to internationalize Korea won. The reason why Korea’s monetary policy has limited predictions about how it affects the exchange rate is that the won has not been globalized.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market and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should be made to internationalize the won.
   Second, Korea needs to consider the U.S. monetary policy and the fluctuations in interest ra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its monetary policy decisions because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opening. Because the U.S. monetary policy has more influence than Korea’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effect of the policy will be weakened if the two countries implement it in a different dire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perational instruments of monetary policy. Until now, Korea’s monetary policy has focused on adjusting the benchmark interest rat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operational instruments that can change not only nominal interest rates but also real interest rates.
   Fourth, since monetary policy has limited external effects,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direct policy means is necessary in case exchange rate policy is necessary. Of course, the role explicitly given to the central bank is inflation and financial stability. However, the role of the central bank should be interpreted more comprehensively, as the exchange rate and other macroeconomic indicators are closely linked to financial stability.
   Fifth, it is possible that the impact of South Korea’s monetary policy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ill increase. As interest rates have reversed and the exchange rate has continued to rise, the U.S. rate hike has lowered its marginal impact on the dollar. It is also because there is more room for future interest rate hikes in Korea.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비기축통화국의 환율 특성
1. 비기축통화국 고려의 필요성
    가. 기축통화 여부의 고려
    나. 기축통화국의 분류
2. 환율의 통계적 특성 비교
3. 이자율평가
4. 기축통화 여부에 따른 이자율평가 검정
    가. 자료 및 실증분석 결과
    나. 추정식과 검정결과
5. 소결


제3장 SVAR 모형을 이용한 통화정책의 환율에 대한 영향 분석
1. 분석 모형 및 방법론
    가. 충격 반응함수에 부호제약을 부가한 구조 VAR 모형
    나. 실증분석 모형 및 자료
    다. 이슈
2. 미국
3. 소규모 개방경제 국제통화 보유국
4. 아시아 소규모 개방경제 국제통화 비보유국
5. 강건성 확인
6. 소결


제4장 한국의 통화정책과 환율 관계: 사례분석
1. 통화정책의 환율변동 경로 관련 이론
2. 통화정책과 환율관계 실증연구
3. 우리나라 통화정책에 따른 환율변동: 사례분석
    가. 우리나라 환율제도 및 통화정책의 변화
    나. 우리나라 통화정책과 환율 간의 관계
4. 우리나라 통화정책 충격이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가. 분석 목적
    나. 방법론
    다. 분석 사건의 선정
    라. 분석 모형
    마. 분석 결과
5. 요약과 시사점


제5장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1. 주요내용
2. 정책적 시사점
3.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충격반응함수:  VIX를 외생변수로 추가
2.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충격반응함수:  외생변수 시차 6개
3. 6개월 부호제약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54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환율과 기초여건 간 괴리에 대한 연구: 시장심리를 중심으로 2021-12-30 Policy Analysis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Won in the Light of the RMB Internationalization 2022-02-25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연구보고서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분석: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2020-12-30 연구보고서 대외부문 거시건전성 정책 10년의 성과와 개선방안 2020-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2020-12-30 연구보고서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2019-12-30 연구자료 외화예금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2019-08-26 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의 국제전이: 뉴스와 노이즈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2019-06-30 연구보고서 금융불안지수 개발과 금융불안 요인 변화 분석 2018-12-31 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자본유출입 안정화방안 2018-12-28 Working paper Exchange Rates and Firm Exports: The Role of Foreign Ownership and Subsidiaries 2018-08-31 연구보고서 환율변화가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2017-11-30 연구보고서 국제금융시장 통합이 한국 통화정책과 장기금리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 시사점 2017-12-27 Working paper What Explains Current Account Surplus in Korea? 2016-12-16 연구보고서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태동과 한국의 대응방향 2016-12-30 Working paper The Effe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Productivity of Korean Manufacturing Plants: Market Average Rate Regime vs Free Floating 2016-10-10 Working paper A Short-term Export Forecasting Model using Input-Output Table 2016-05-27 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출구전략 효과 및 시사점 2015-12-30 연구자료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US Monetary Policy on China's Capital Market Stability and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2015-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