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신기후체제하에서의 국제 탄소시장 활용방안 에너지산업, 환경정책

저자 문진영, 정지원, 송지혜, 이성희 발간번호 16-14 발간일 2016.12.30

원문보기(다운로드:5,64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5년 12월 UN기후변화협약 제21차 파리 당사국총회(COP)는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여, 2020년 신기후변화체제 출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선진국과 개도국을 포함하는 모든 당사국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를 강조한 파리협정은 1992년 UN기후변화협약의 채택 이후 가장 중요한 국제사회의 환경부문 합의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37% 감축을 목표로 최종 결정하고, 이를 각국이 정한 기여(INDC)에 포함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해 국내 감축분 25.7%에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분 11.3%p가 추가되었다.
  우리나라가 INDC에 언급한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은 국제적으로 아직 용어조차 정립되지 않은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국제사회의 탄소시장 메커니즘 논의 경과 및 주요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정부가 해외 감축사업을 통한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활용을 고려하고 있는바, 본 과제는 국제사회의 탄소상쇄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탄소상쇄사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탄소상쇄사업 추진에 있어 국제사회에서 강조되는 주요 원칙을 살펴보고, 탄소감축협력지수(MCI)를 개발하여 탄소상쇄사업 유망 분야 및 지역 선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민간기업의 해외 탄소상쇄사업 참여를 제약하는 요인을 살펴보고, 민간 참여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는 선진국에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여한 바 있다. 당사국은 자국 내에서의 감축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음에 공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연성을 부여한 청정개발체제(CDM), 공동이행(JI), 배출권거래제 등의 교토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2007년 발리 당사국총회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시장을 포함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고려할 것을 언급하고, 기존 교토메커니즘 외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는 시장기반 메커니즘의 설립이 합의되었고, 2011년 제17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시장기반 메커니즘으로 다양한 접근법과 신규시장기반 메커니즘의 개념이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시장 메커니즘의 개념 및 포함 요소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도 전에 신기후체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2015년 파리협정이 체결되었다. 향후 국제사회는 파리협정 제6조 시장 메커니즘의 새로운 개념(협력적 접근법, 지속가능발전메커니즘)에 대한 후속 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개념 및 범위 등을 정립해나가야 할 것이다. 신기후체제하에서의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 합의 이전의 기존 체계에서 완전히 탈피하기 보다는, 기존의 체계를 활용하면서 세부 포함요소 및 감독 수준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대표적 사례인 CDM은 교토메커니즘의 하나로 선진국이 개도국에서 감축활동을 추진하여 얻은 감축분을 자국의 감축 실적에 반영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2016년 6월까지 총 8,000여 건에 이르는 감축 사업이 등록되었고, 현재까지 누적된 CER은 17억 톤에 달한다. CDM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개도국에 상당한 규모의 투자와 기술전수 효과가 이루어졌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높은 거래비용 및 복잡한 사업절차, 특정 지역 및 사업분야에 대한 편중,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가 미흡했던 점 등은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다.
  사업 분야와 절차 등, 제도적인 측면에서 CDM과 매우 유사한 일본의 JCM은 일본과 협력국 정부가 참여하는 공동위원회의 의사결정을 따르는 체계이다. 현재 15개의 사업이 등록되어 감축량 검증 및 크레딧의 발행을 기다리고 있다. JCM을 통해 발행된 크레딧 규모가 약 200톤 수준에 불과하며 아직 국제 승인을 얻지 못하였다는 점은 현재 JCM의 거래가 불가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향후 크레딧 발행이 증가하고 국제 협상에서 JCM 크레딧 인정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크레딧의 거래 또는 감축목표에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탄소거래제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캘리포니아 탄소상쇄제도(California Compliance Offset Program)는 하향식 접근방안을 취함으로써 담당 정부기관의 행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사업개발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발적 크레딧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VCS (Verified Carbon Standard)는 국제 표준(ISO 14064, 14065)을 토대로 국제 온실가스 감축활동에 기준을 제시하고, 요건에 부합하는 사업에서 발생한 감축량을 크레딧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탄소상쇄 사업 추진에 유망한 국가를 발굴하기 위해 탄소감축협력지수를 고안하였다. 우리나라와의 협력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협력국가의 온실가스 배출환경 및 국제협력 의향, 우리나라와의 경제교류현황, 해당 국가의 개발 역량을 세부 지수화(배출환경지수, 경제교류지수, 국가역량지수)하였다. 그리고 이들 세부 지수간의 가중치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0과 1 사이의 탄소감축협력지수를 산정하였다.
  배출환경지수 측면에서 인도, 이란, 카자흐스탄, 몽골, 베트남 등이 협력대상국으로 분석되었으며, 상위 30개국 중에서 아시아가 9개국으로 가장 많았다. 경제교류지수에서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미얀마 등 아시아권 국가가 상위에 포함되었다. 국가역량지수 측면에서는 UN기후변화협약체제에서 개도국으로 분류되나 소득 수준이 높은 국가들(싱가포르, 이스라엘, 칠레, 카타르 등)이 상위권에 포함되면서 아시아 국가의 상위권 포함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MCI 분석을 통해 잠재적 협력국가들이 지역별로 상이한 환경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개발 역량을 지원하는 동시에 탄소배출 감축에 협력할 경우 가장 효과가 높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편 CDM에 등록된 사업 유형별 CER 발행량을 조사한 결과, 수소불화탄소(HFCs), 아산화질소(N2O), 수력, 풍력, 매립가스, 에너지 효율 부문 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2020년 이후에는 풍력과 수력 부문에서의 CER 발생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파리협정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향후 저탄소 청정에너지 산업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감축목표 달성 및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저탄소 산업의 육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간담회를 통해 면담한 민간 기업들은 해외 감축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있으나, 패키지형 사업개발을 위한 네트워크 부재, 초기 진출 작업에 필요한 역량 부족 등을 애로사항으로 지적했다. 따라서 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적·정책적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해외 감축사업 추진 시 ODA 활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일본은 CDM과 JCM 사업 추진에 ODA를 활용하고 있으며 마라케시 결정문과 OECD DAC 역시 ODA 사용을 허용한다. 따라서 ODA의 사용 가능 여부의 타진보다는 한정된 ODA 예산의 효과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저탄소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투자 제약요인과 우리 기업이 직면한 특수한 상황들을 감안할 때, ODA는 초기 진입장벽을 낮추고 이후 민간자금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효과를 거두는 수준에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민간재원 동원을 위해 ODA를 활용하는 것과 더불어 다자개발은행을 중심으로 한 국제기구의 탄소금융 이니셔티브에 적극 참여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탄소상쇄사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정부는 기후변화를 새로운 성장 기회로 활용하고자 하는 민간을 지원하기 위해, 중장기적인 지원방향을 수립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실행해나가야 한다. 각 부처가 수립한 실행계획을 국무조정실이 취합 및 조정하는 현재의 수준을 넘어서서 실행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보다 강력한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해외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사업에 민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기업의 해외 녹색산업 진출을 위한 원스톱 지원 기관을 설치하여, 기존 국내기업들이 해외 사업 진출에서 직면하게 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해소해나가야 한다. 또한 국내기업들이 계획된 11.3%의 해외 탄소감축분보다 더 많은 크레딧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제도적으로 이를 인정해주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민간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고,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즉 국내 기업들이 국내시장에서 먼저 관련 사업을 수행하면서 역량과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해외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
  효과적인 재원활용 측면에서 ODA와 연계한 기후변화 사업 지원을 고려할 수 있다. ODA를 가장 취약한 국가와 민간투자가 이루어지기 힘든 분야에 집중하되, 한편 보다 많은 민간기업이 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데에도 ODA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도국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기후변화 관련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그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가 사무국을 유치한 GCF를 적극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이 ADB를 통해 자국 기업을 우회적으로 지원하듯이, 우리나라도 보다 전략적으로 GCF를 활용하여 기업의 해외 감축사업 참여를 돕고, 기업들의 사업역량을 축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국제 탄소협력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협력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주요 국제기구 및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는 논의해 참여하면서 선진국, 개도국, 국제기구 등 주요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실제 사업 과정에 관여함으로써 우리 나름의 역량을 배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작업을 통해 향후 독자적으로 또는 관심 있는 개도국과의 사업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Adopted at the UNFCCC COP21, the Paris Agreement is recognized as the most significan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 since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1992.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ost-2020 climate regime, the Paris Agreement emphasizes GHG mitigation efforts by all parties, including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Korea decided to cut the na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 by 37% in 2030 compared to the business-as-usual emission estimate and included the statement in its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In achieving the target, Korea stated that 11.3%p of greenhouse gas reduction will be achieved through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while the remaining 25.7% will come from domestic source.
  Nevertheles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consensus around the details of trans-boundary carbon market mechanism that is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enough to be recognized under the Paris Agreement.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present ways for Korea to properly respond to the issue by observing the progress in the climate discussions and analyzing major carbon programs. Particularly since the Korean government is considering the use of cross-border carbon offset programs, the study comprehensively reviews a number of international carbon offset programs and thus seeks to provide implication for Korea. The study considers key principles highlight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evelops a Mitigation Cooperation Index (MCI), applicable to identifying prospective regions and fields for carbon offset programs. The study also looked at constraints to private participation in implementing international carbon projects and suggests ideas to increase private participation.
  In order to identify potential carbon partner countries for Korea, the study devised a set of index, namely ‘Mitigation Cooperation Index.’ The study deemed the following elements as essential: GHG emission level and intent for international carbon transfer, economic ties with Korea, and national development potential. By sub-categorizing and indexing the above-mentioned elements (emission level index, economic exchange index, and national capacity index) and varying the weight among the elements, the study induced values between 0 and 1, with 0 being less prospective and 1 being more prospective.
  When placing most weight on emission environment, India, Iran, Kazakhstan, Mongolia, and Vietnam were analyzed as the most potential partners. Nine out of thirty most potential partners were Asian countries. In terms of economic exchange, Vietnam, Indonesia, the Philippines, Bangladesh, Cambodia, Myanmar and several other Asian countries were included in the more prospective group. In regards to national development capacity, countries with higher income levels while classified as developing countries in the UNFCCC (i.e. Singapore, Israel, Chile, Qatar, etc.), were in the top tier. However, through a MCI analysi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it is most effective when national capacity support is provided along with cooperation in carbon reduction in a number of Asian countries.
  On the Korean side, while private companie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overseas reduction projects, many of them lack local network and capac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private sector competitiveness through adequate institutional and policy design. In terms of finance, Korea must seek a linkage between ODA resources and international carbon reduction programs. Given the financial constraints of low-carbon projects, ODA resources can be linked to lowering entry barriers and inducing private capital inflows. Also, active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carbon finance initiatives by multilateral bank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to facilitate Korea’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GHG reduction.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et up and implement a mid- to long-term plan to assist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There is a need for a powerful inter-agency control tower beyond the current level to perform and coordinate relevant action plans established by each ministries.
  Secondly,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needed to promote private participation in climate change projects overseas. For example, establishing a one-stop support organization for Korean companies to successfully launch business in overseas green industry sector, building a system for companies to transfer overseas carbon credits to domestic reduction, and supporting private sector competency and experience through domestic institution building.
  In addition, resource mobilization must be considered. In this respect, Korea may consider supporting GHG mitigation projects in connection with ODA, multilateral funds, and various other financial instruments. Particularly, enhanced efforts to access the Green Climate Fund is necessary. Access to the Fund can be highly potential through a well-devised project plan.
  Finally, efforts are needed for Korea to engage and collaborate in various international carbon partnership program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discussions with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donors and recipients, Korea will be able to access first-hand information and also cultivate climate capabilities while engaging in actual business. Engagement in such activities will also increase business opportunities and partnership with interested partie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  논의 경과

1. 교토의정서하의 메커니즘
   가. 탄소상쇄 프로그램: CDM 및 JI의 도입
   나. 배출권거래제
2. 2012년 이후의 새로운 접근
   가. 논의배경 및 주요 경과
   나. 신시장 메커니즘 논의: NMM 및 FVA 
3. 2020년 신기후체제를 위한 논의
   가. INDC와 탄소시장 메커니즘 활용
   나. 파리협정에서의 시장 메커니즘 의미 및 특징
   다. 후속 논의 경과 및 주요 쟁점
4. 소결


제3장 국제 탄소상쇄 프로그램 분석

1. CDM 경과 및 교훈
   가. CDM 경과
   나. CDM을 통한 교훈
2. 해외 탄소상쇄 프로그램 사례
   가. 일본: Joint Crediting Mechanism
   나. 미국 캘리포니아: California Compliance Offset Program
   다. 자발적 프로그램: Verified Carbon Standard
3. 소결 


제4장 탄소상쇄 프로그램 유망 국가 및 분야분석

1. 탄소상쇄 프로그램에서 고려사항
   가. 환경건전성
   나. 지속가능성
2. 유망 국가 및 분야 분석
   가. 유망국가 분석 체계 및 자료
   나. 유망국가 분석 결과
   다. 유망 분야 분석
3. 제약요인 및 공공재원의 활용
   가. 해외 감축사업의 제약요인
   나. 감축사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재원의 활용


제5장 결론

1. 요약 및 시사점
   가. 탄소상쇄 프로그램 사례 및 함의
   나. 해외감축 활용을 위한 국제협력
2. 탄소상쇄사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
   가. 기본 추진방향
   나. 민간 참여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
   다. 효과적인 재원활용
   라. 국제사회의 탄소협력 프로그램 참여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연구보고서 기후클럽 형성에 대한 통상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2024-03-27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ESG 추진 현황과 한·중 정책 비교 및 대응방향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탄소중립과 그린성장전략에 관한 연구: EU, 미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2023-06-08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환경 상품·서비스 시장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