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한국은 2014년 말부터 수출실적의 격감을 경험하고 있다. 2015년에는 12개월 동안 한국의 총 수출액이 경상가격 기준으로 전년대비 8% 감소하였다. 이러한 한국수출의 격감요인으로 지난 수년간 진행되어온 일본 엔화의 평가절하와 2015년에 있었던 중국의 경기하락, 그리고 그에 따른 위안화의 평가절하를 지적할 수 있다. 환율변동의 효과와 해외수요의 감소가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rmington(1969)과 같은 부문특정적이고 지역특정적인 무역모형이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무역모형은 부가가치와 고용효과를 추적할 수 없으므로 우리는 Armington형 모형을 투입산출표에 연결하는 연쇄모형 (linkage model)을 이용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화의 실질실효환율 상승이 단기에서는 한국의 실질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장기에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의 평가절하가 명목 변수를 사용한 실증분석에서는 한국의 수출에 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엔화 평가 절하가 오히려 한국의 수출을 단기와 장기에서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역 상대국 GDP가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장기 탄력성 추계치(0.067)는 명목변수를 이용한 단기 탄력성 추계치(0.755) 및 실질변수를 이용한 단기 탄력성 추계치(0.462) 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역상대국의 GDP가 증가하더라도 장기적으로 한국 수출의 증가 폭이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수출의 지역별?품목별 다변화뿐 아니라 기술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망된다.
Korea’s export performance has exhibited a remarkable downturn since the end of 2014, declining over the 12 months of 2015 by about eight per-cent in nominal terms. Conjecturing this to reflect depreciation of the Jap-anese Yen and, during the second half of 2015, of the Chinese Yuan cou-pled with a sudden decline in China’s import demand, we apply an Armington (1969)-type trade model to match international trade data with input-output tables in order to identify the sources of export variation in Korea and, as a bridge between the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input-output table, to analyze the effect of income (GDP) and exchange rate vari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three-fold. First, the estimated long-run elasticity (0.067) of trading partners’ GDP on Korea’s export is a lot smaller than the static short-run elasticity (0.755) of their GDP in nominal terms and the estimate of static short-run elasticity (0.462) of GDP in real terms. Second, we find that Korean Won’s real deprecia-tion helps boost Korea’s real exports in the short-run but its effect turns out to have a slightly negative effect in the long-run which implie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real depreciation of the Won may not last long. Third, we also find that a depreciation of Japanese Yen and Chinese Yuan in nominal terms has negative effects on Korean exports in the short-run, but the Jap-anese Yen’s real depreciation facilitates increases in Korea’s real exports consistently in both the short-run and long-run. The effects of the ex-change rate variation cannot be unidirectional in both short-run and long-run because the variation affects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of imported intermediate goods. According to our findings, Korean exports, given a positive income shock in trading partner countries, tend to be replaced by foreign alternatives which reflects a tightening of technology as well as price competition in the global market, and suggests as an optimal export promotion strategy for Korea the pursuit of technological progress and a diversification policy that encompasses both destination and export prod-ucts.
Contents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A Trade Model with Armington Elasticities
III. Data: Direction of Trade Statistics and Input-Output Tables
IV. Estimation and Simulation Results in a Static Model
1. Estimates of Armington Elasticities in a Static Model with Nominal Variables
2. Estimates of Armington Elasticities in a Static Model with Real Variables
V. Estimation of Armington Elasticities in a Dynamic Model
1. A Dynamic Error Correction Model of Armington Elasticities
2. Estimates of Armington Elasticities in a Dynamic Model
VI. Summary and Policy Implications
판매정보
분량/크기 | 48 |
---|---|
판매가격 | 3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