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中國 石油化學産業의 現況과 展望 에너지산업

저자 홍익표 발간번호 97-1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7.12.30

원문보기(다운로드:83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의 石油化學産業은 改革 開放이 본격화된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높은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생산설비 및 시장규모가 급속히 팽창하고 있으며, 선진기술 도입을 통해 기술과 설비수준에 있어서도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 중 대형 규모의 에틸렌공장과 합성수지를 비롯한 계열공장 등이 건설, 가동됨에 따라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설비건설과 생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석유화학제품의 자급률은 60% 수준에 불과함으로써, 여전히 심각한 수급불균형과 함께 높은 수입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급불균형 문제 외에도 ▲歐美 先進企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소한 에틸렌 공장규모 ▲높은 에너지 소비 및 원자재 소비의 과다 ▲市場競爭體制의 미확립 ▲流通 및 輸入市場의 무질서 ▲석유화학의 원료부족 ▲노후한 생산설비와 환경보호시설의 미비 등은 현재 중국의 석유화학산업이 안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석유화학산업의 당면 과제들을 해결하고 중국경제를 지속적인 발전시키기 위해 Ə차 5개년계획(1996-2000년) 기간 중에 석유화학산업을 支柱産業으로 선정하였다. 이 기간중 중국은 석유화학제품에 대한 생산능력 확대, 기존 설비의 改 補修, 外資誘致 확대 및 先進技術 도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중국 정부가 외국으로부터 資本 및 技術 도입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日本, 美國, 유럽 등의 선진 석유화학기업들도 중국 現地進出을 통한 시장개척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계의 최대 수출대상국이자 제 1의 투자대상국이다. 그러나 중국 석유화학산업의 계속적인 설비증설에 따른 국내공급의 확대와 아세안국가들의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시장 진출 그리고 歐美와 日本의 선진 석유화학기업들의 對中投資 확대 등으로 향후 우리 기업들의 對中 輸出이나 현지진출 전망이 그리 밝은 편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에게는 이제 21세기를 대비하여, 對中 輸出 및 投資를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정립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A Study on China's Petrochemical Industry: Status and Prospects Ihkpyo Hong The petrochemical industry is key in that it has a great effect on other industri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industrial structure. In the 1980s, China's petrochemical industry developed rapidly due to the country's becoming economic growth.

However, despite increased petrochemical complex and production, China's rate of self-sufficiency in petrochemical goods remains only 60%. China's petrochemical market continuously remains in short supply and depends heavily on imports. In addition, China's petrochemical industry faces serious obstacles such as small-sized ethylene factories, an unsettled free market system, disordered circulation of goods, worn-out plants and equip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China's government plans to actively develop its petrochemical industry through the 'Ninth Five-year Plan' (1996-2000), which entails expanding production, attracting foreign capital, and drawing in advanced technology.

China is currently the largest recipient of exports and investment from Korea's petrochemical enterprises. But the future for these exports and investment into China bodes uncertainty as China's petrochemical industry increases petrochemical complex and production, ASEAN's low-cost petrochemical goods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EU, US, and Japan's petrochemical enterprises expand investment into China. In response, Korea's government and petrochemical enterprises must devise new directions in approaching China.
序 言
國文要約

Ⅰ. 序 論

Ⅱ. 中國 石油化學産業의 政策과 發展過程
1. 石油化學産業 政策
2. 石油化學産業의 發展過程

Ⅲ. 中國 石油化學産業의 現況과 展望
1. 設備 및 技術現況
2. 製品別 需給現況
3. 石油化學産業의 課題와 展望

Ⅳ. 中國 石油化學産業의 外資誘致政策과 韓國企業의 進出方向
1. 中國 石油化學産業의 外資誘致政策 및 現況
2. 韓國企業의 對中 進出方向

Ⅴ. 要約 및 結論

參考文獻

附錄
1. 中國의 주요 石油化學 Complex
2. 中國의 主要 石油化學製品 生産能力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2024-03-27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2023-06-08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탄소 중립 대응 정책과 한국의 그린뉴딜과의 협력 방안 2022-03-3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자료 유럽 주요국 녹색당의 성공 및 실패 요인 분석 2021-12-30 연구보고서 에너지전환시대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세계 주요국 탄소중립 전략과 중국의 저탄소 전략의 비교 분석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국제 에너지 시장 변화와 한ㆍ중동 에너지 협력 다각화 방향 2020-05-28 세계지역전략연구 라틴아메리카 에너지정책의 변화와 협력방안: 안데스 국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 투자와 한국의 정책과제 2018-12-3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