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국 중부지역의 생산기지 활용가능성 연구 해외직접투자

저자 정지현 발간번호 11-2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05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 연해지역에서 불과 몇 시간 되지 않는 거리에 위치한 중부 내륙지역은 임금수준, 노동공급 안정성 등 다양한 생산환경에서 연해지역과 큰 차이를 보인다. 연해지역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큰 타격을 입었을 때도 중국경제의 건재함을 과시하도록 해준 것이 내륙지역의 고속성장이었다. 그 중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중부지역은 3억 6,000만 명을 보유한 거대시장이자, 지리적으로 중국 주요 도시들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연해지역과도 가깝고, 일정 수준의 산업인프라 및 저임금의 풍부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내에서 노동집약적 산업 및 수출가공업의 이전지역으로 중부지역이 부각되고 있으며 관련 정책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한편 노동력 부족, 임대료 상승, 환경규제 강화, 산업고도화 등으로 인해 한국기업의 진출이 집중되어 있는 연해지역의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어 그린필드(green field)형 투자기업들의 생산기지 이전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용절감 및 수출가공을 목적으로 중국 연해지역에 진출한 한국 중소기업들의 생산공장을 중부 내륙지역으로 이전할 수 있는지, 가능하다면 어느 지역인지, 이전 유망업종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중국 중부지역의 생산기지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조업 위주 한국 중소기업의 진출이 가장 많은 연해 3개 도시(칭다오, 톈진, 쑤저우)와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면서도 역내 수출환경이 양호한 중부 5개 도시(정저우, 쉬창, 허페이, 우후, 타이위안)를 선정하여 기업 이전에 따른 비용절감효과를 분석하고 중부 도시의 산업네트워크 환경을 파악하였다. 비용절감효과는 기업 이전 시 발생하는 최대 장점인 노동비용 절감분과 최대 약점인 물류비용 증가분을 고려하여 추산하였으며 산업네트워크 환경은 해당 지역의 주요 공단을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비용절감효과가 가장 큰 도시는 연해의 톈진과 중부의 쉬창 지역이었고, 칭다오의 경우 정저우와 쉬창을 제외한 나머지 중부 3개 도시로의 이전은 오히려 비용증가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중부 각 도시마다 산업클러스터 조성 여부가 상이하였다. 이에 중부 내륙지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을 고려하는 기업은 반드시 비용절감효과와 산업네트워크 환경을 동시에 파악해야 하고, 관련 업종의 중소기업들과 생산체인을 공동으로 이전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내륙 이전을 통한 비용절감분을 기술 및 품질에서 ‘소폭의 우위’를 유지하는 데 재투자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 역시 내륙 이전 가능성을 타진하거나 이전을 원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연해 중소기업과 중부 내륙도시 간 매칭 플랫폼을 구축하고 중부 주요 도시의 산업발전계획 등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중국 지방 관계부처와 기술적인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central China adjacent to the coastal region of China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coastal region in various manufacturing environments, such as wage level, stable labor supply, and land price. When the coastal region was suffering from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land region helped the Chinese economy to display its undiminished strength. In particular, as an area of high population density, the central region serves as a large market composed of 360 million people, possessing an industrial infra of considerable standards as well as an abundant low-income labor force.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major Chinese cities and is also close to the coastal region. In this aspect, the central region is being emphasized as the area for labor-intensive industries and export processing industries in China to move into, the proposition being supported by the presentation of various related policies. On the other hand, the coastal region, an area where many Korean companies have expanded to, presents worsened business environment in relation to lack of manpower, increased rent,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dustrial advancement, thus leaving green field-type investment companies with no other choice but to move their production base.   
Hereupon, this study analyzes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production base of the central region in China by examining whether the production factories of Korean SMEs that have expanded to the coastal region to achieve cost reduction and export processing can be moved to the central inland region and by observing which regions these factories can be moved to and which businesses present good prospe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selected 5 central cities (Zhengzhou, Xuchang, Hefei, Wuhu, Taiyuan) with favorable export environment that are located at a relatively close distance from the 3 coastal cities (Qingdao, Tianjin, Suzhou) that hav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manufacturing SME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cost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company transfer as well as the industrial network environment of central cities. The cost reduction effect was estim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duction of labor cost, the greatest strength generated during company transfer, as well as the increase in transport cost, the greatest weakness. The industrial network environment was analyzed through the main industrial complexes in the relevant reg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cities with the largest cost reduction effect were presented as Tianjin of the coastal region and Xuchanag of the central region. As for Qingdao, cost was increased through moving to the remaining 3 cities in the central region excluding Zhengzhou and Xuchang. And the creation of industrial clust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city in the central region. Hereupon, companies that are considering to move their production base to the central China must analyze both cost reduction effect and industrial network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find a method by which SMEs can transfer in cooperation with the production chain of related businesses. Also, re-investment must be made to maintain the amount of cost reduction gained through moving to inland transfer at a “narrow superiority” in the aspects of technology and quality. In addition, to support companies that wish to transfer to the inland region or are currentl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er, the Korean government must construct matching platforms between coastal SMEs and central inland cities, monitor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industrial development plan of main central cities, and strengthen technical cooperation with relevant local authorities in Chin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중국 중부 주요 도시 개황 
1. 정저우(鄭州)시 
2. 쉬창(許昌)시  
3. 허페이(合肥)시  
4. 우후(蕪湖)시  
5. 타이위안(太原)시  


제3장 중부 및 연해 주요 도시의 생산 및 물류 환경 
1. 생산환경 
가. 노동비용
나. 노동력 공급
2. 물류환경 
가. 교통인프라  
나. 물류비용 및 시간  


제4장 중부 주요 도시의 산업네트워크 환경 
1. 정저우시 
가. 주요 산업 및 발전계획 
나. 주요 개발구 
2. 쉬창시 
가. 주요 산업 및 발전계획 
나. 주요 개발구 
3. 허페이시 
가. 주요 산업 및 발전계획 
나. 주요 개발구 
4. 우후시 
가. 주요 산업 및 발전계획 
나. 주요 개발구 
5. 타이위안시 
가. 주요 산업 및 발전계획
나. 주요 개발구 


제5장 종합 및 시사점 
1. 종합 
가. 비용절감효과 
나. 이전 유망업종 
다. 시뮬레이션 분석 
2. 기업에 대한 시사점 
가. 비용절감효과 및 산업네트워크 동시 고려   
나. 생산체인 공동이전  
다. ‘소폭의 우위’ 유지  
3. 정책적 시사점 
가. 연해 중소기업․중부 내륙도시 매칭 플랫폼 구축  
나. 기술적 협력 강화 
다. 중부 주요 도시의 산업발전계획 모니터링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1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2018-12-28 연구보고서 리쇼어링의 결정요인과 정책 효과성 연구 2018-12-28 연구보고서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2017-11-21 연구보고서 대ASEAN FDI 결정요인의 특징과정책적 시사점 2017-06-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6-12-30 Working paper To Whom does Outward FDI Give Jobs? 2016-09-30 연구자료 신흥국 건설시장 진출 관련 국가리스크와 대응방안 2016-09-23 연구자료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추정 2016-09-25 연구자료 주요국의 대(對)베트남 진출전략과 시사점 2016-09-13 연구보고서 중국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2015-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