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해외직접투자

저자 박월라 발간번호 11-2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34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유형을 살펴보고, 주요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사례와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중국기업이 인수한 한국기업의 인수 전후 경영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최근 들어 급증세를 보여 2010년 기준 688억 달러로, 세계 제5위 투자국으로 부상하였다. 중국기업에 의한 해외 M&A도 급증하여 2010년 전체 해외투자액의 42.4%를 차지하였다. 여전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대한 에너지 및 자원 투자 비중이 높지만, 최근에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브랜드, 유통망 획득을 위한 M&A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중국의 대선진국 투자는 해외시장 진출과 기술 도입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자원개발 투자가 중심인 캐나다의 경우는 예외이다.
중국의 대개도국 투자는 자원개발형 투자와 시장진출형 투자가 주류를 이룬다. 중국의 대아프리카 투자는 시장진출형 투자가 많은 남아공을 제외하면 여타 국가들의 경우 자원개발형 투자가 대부분이다. 중국의 대아세안 투자는 자원개발형 투자도 일부 있지만, 현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제품경쟁력을 가진 중국기업의 시장진출형 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중국의 투자는 양국간 무역관계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중국의 업종별 대한국 투자는 제조업이 58.7%, 서비스업이 40.7%이고, 건당 투자규모는 각각 246만 달러, 19만 달러로 소액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해외 자원개발 투자 유형은 첫째, 인도네시아 중남미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인수 및 투자형, 둘째,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계약형, 셋째,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등 저개발 신흥경제국을 대상으로 한 차관개발형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중국의 자원개발 투자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뒷받침된 것으로, 투입 비용에 비해 효율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 유형은 크게 요소비용 절감형, 국내 공급과잉 해소형, 보호주의장벽 우회형, 기술자원 획득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개도국의 상대적 저임금과 시장 개척을 목적으로 한 요소비용 절감형 투자는 주로 섬유, 의류, 신발 업종 등에서 이루어졌으며, 중국보다 소득수준이 낮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과 사하라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을 주요 투자 대상국으로 하고 있다.
둘째, 국내 공급과잉과 경쟁압력 해소를 위한 투자는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경쟁력이 떨어진 제품의 생산라인 이전 형태가 주류를 이루었다. 대형 가전업체인 SVA와 하이신의 남아공 투자가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셋째, 선진국의 보호주의 압력을 우회하기 위한 유형의 투자는 섬유, 의류, 신발 업종의 경우 후발 개도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형 진출이, 가전 업종의 경우 고부가가치 제품은 선진국, 저가 제품은 개도국으로 재배치하는 전략이 이루어졌다.
넷째, 선진기술 및 경영기법,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투자는 주로 선진국 기업의 주식 취득이 해외 M&A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사례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 기업의 경영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아프리카에 진출한 중국기업은 현지의 열악한 환경으로 고전하였고,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한 해외투자에서도 중국 측의 경험 부족과 무리한 M&A로 피인수기업과 인수기업 모두 경영성과가 악화된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사례로 알카텔을 인수한 TCL, 한국의 쌍용차와 하이디스를 각각 인수한 상하이자동차와 징둥팡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업은 해당 업종의 유수 기업이지만, 자신의 기술적 역량은 무시한 채 무리한 대형 M&A를 시도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게다가 상하이자동차와 징둥팡은 모두 피인수기업을 성장시키기보다는 기술이전에만 관심을 보임으로써 결국 피인수기업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저해하였다.
반면 한국의 액토즈소프트를 인수한 샨다는 상대적으로 M&A 규모가 작았고, 지적재산권 확보뿐만 아니라 피인수기업의 한국 내 시장점유율 유지를 위해 노력한 결과 비교적 성공한 사례로 꼽힌다. 샨다의 사례는 중국정부의 장려책과 지원에 힘입어 무리하게 추진한 대형 M&A보다는 중국 모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규모와 기술수준을 가진 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해외투자의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and forms of China’s ever-growing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and provides a case study as well as a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on OFDI of major Chinese companies.
China’s OFDI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making China the World fifth largest investing country in 2010. The outbound M&A by Chinese companies constituted 42.4% of the total OFDI in the same year. Although the majority of China’s OFDI was still concentrated in the energy/natural resources sector of certain Asian and African countries, M&A-based investment in technology, brands, and distribution networks of the US, EU, Japa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has showed an upward trend.
China’s investments in developed countries (except Canada where China’s investments are natural-resource-oriented) are motivated mainly by companies’ market-seeking and technology acquisition strategies. As for investments in developing countries, they are basically aimed at natural resources and market penetration. In particular, while most of China’s OFDI in Africa was in natural resources (except South Africa where market-seeking OFDI prevailed), OFDI in ASEAN countries was mainly oriented towards entering their markets. The level of Chinese investment in Korea is marginal in comparison to bilateral trade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China’s investment here is concentrat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followed by services, and characterized by its small scale.
A case-study on OFDIs of major Chinese companies has revealed that their business performance was below expectation. Chinese companies present in Africa have suffered from poor investment environment there; Outbound M&A aimed at technology acquisitions in developed countries have failed due to the lack of management expertise of Chinese acquirers, resulting in worsened business performance of both Chinese adquirers and acquired companies. Representative examples are: M&A of France’s Alcatel by TCL, and M&A of Korea’s Ssangyong Motors and Hydis by Shanghai Motors and Jingdongfang Hightech respectively. Although those Chinese companies are powerful in their respective sectors, they have been engaged in M&A transactions with no account of their own capacities in technology, size, and management expertise. Moreover, Shanghai Motors and Jingdongfang Hightech were more interested in technology acquirement rather than improvement of the acquired company’s performance, which consequently worsened.
On the other hand, the acquisition of Korea’s Actoz Soft by Shanda, a Chinese online game company, is a success story of a relatively small-scale M&A which focused not only on the acquisition of the local company’s technology (intellectual property), but also the latter’s expansion and growth in the Korean market. Shanda’s case shows that China’s outbound M&A transactions in which size and technology level of acquired companies are modest enough to be controlled by Chinese acquirers tend to be more successful, rather than excessive large-scale M&As with Chinese government support.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1. 해외직접투자 개황
가. 해외직접투자 규모
나. 해외 M&A 현황
2. 국별․산업별 해외직접투자 추이
가. 홍콩 및 조세피난처로의 투자
나. 대선진국 투자
다. 대개도국 투자
라. 대한국 투자
마. 산업별 투자
3. 개도국 및 한국 해외직접투자 경험과의 비교
가. 개도국 해외직접투자에서 중국의 위상 변화
나. BRICs 국가 해외직접투자와의 비교
다. 한국 해외직접투자 경험과의 비교

제3장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유형
1. 자원개발형 해외직접투자 유형
가. 중국의 해외 자원개발 과정
나. 지역별 자원개발 투자 현황
다. 자원개발 투자 전략과 유형
2.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 유형
가. 요소비용 절감형 투자
나. 국내 공급과잉 해소형 투자
다. 보호주의장벽 우회형 투자
라. 기술자원 획득형 투자
3. 서비스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가. 유통
나. 호텔
다. 금융

제4장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사례와 성과 분석
1. 주요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사례 및 성과 분석
가. 롄샹(Lenovo)
나. TCL
다. 하이얼(海爾)
라. 징둥팡(京東方科技集團)
2. 중국기업의 대한국 투자 사례 및 성과 분석
가. 중국기업의 대한국 투자에 대한 설문조사
나. 중국기업이 인수한 주요 한국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평가
2.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14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2018-12-28 연구보고서 리쇼어링의 결정요인과 정책 효과성 연구 2018-12-28 연구보고서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2017-11-21 연구보고서 대ASEAN FDI 결정요인의 특징과정책적 시사점 2017-06-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6-12-30 Working paper To Whom does Outward FDI Give Jobs? 2016-09-30 연구자료 신흥국 건설시장 진출 관련 국가리스크와 대응방안 2016-09-23 연구자료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추정 2016-09-25 연구자료 주요국의 대(對)베트남 진출전략과 시사점 2016-09-13 연구보고서 중국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2015-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