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포스트교토체제하에서 한국의 대응전략: 탄소배출권시장의 국제적 연계를 중심으로 다자간협상, 환경정책

저자 서정민, 김영귀, 박지현, 김정곤, 금혜윤 발간번호 10-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73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포스트교토체제는 한동안 교토체제에 비해 느슨한 수준의 다자협약 형태를 띠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감안하였을 때, 이러한 느슨한 수준의 합의는 양자간 협상이라는 보완과정을 거치면서 점차로 포괄적인 수준의 국제규범으로 진화해 갈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도기적 기간 혹은 다자규범의 형성과정에서 전개될 기후변화에 관한 양자적 협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배경으로 한다.
본 연구는 여러 기후변화정책들 중에서 국제적 협력수단으로 탄소시장의 연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2장에서는 탄소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아직 국내에 본격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관련 개념, 현황, 그리고 이론들을 소개하였다. 특히 연계의 기본적인 특징, 그리고 각 연계 종류별 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연계는 배출권거래시장의 확대라는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배출권 거래 대상기업들로 하여금 감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는 일차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배출권시장이 상호 연계된 국가들 간에는 탄소누출 및 경쟁력문제로 인한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정책 측면뿐 아니라 무역정책 측면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대외전략이라 할 수 있다.
연계는 형태 측면에서 직접연계와 간접연계로 구분될 수 있다. 직접연계는 상대 배출권시스템에서 통용되고 있는 배출권의 사용을 직접 인정하는 방식으로서 EU ETS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간접연계하에서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배출권시장이 특정 배출권시스템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되며, 이에 따라 서로의 배출권 가격이 사실상 대체재 관계에 놓이게 된다. 일례로, 현재 CDM 시장이 공통적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스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비용절감 차원에서 일반적으로 간접연계보다는 직접연계가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지만, 간접연계는 연계의 일방향성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직접연계에서 위협받을 수 있는 연계국의 정책주권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새로운 국제기후변화규범의 형성초기단계에 급변하는 정책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정책자율성이 확보되는 간접연계의 중요성이 더욱 높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환경협력 및 국가감축비용 최소화를 위해 국제적 연계전략을 활용할 경우, 단기에는 연계로 인한 충격 최소화와 경험축적을 위해 간접연계를, 중간기에는 연계로 인한 편익 최대화를 위해 직접연계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장에서는 간접연계의 대상이 될 국제탄소시장의 기본구조를, 4장에서는 직접연계의 대상이 될 주요국 배출권시장의 구체적 내용들을 연계와 관련된 주요 설계변수별로 비교ㆍ설명하고 있다. 특히 협상전략으로 연계의 활용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기 위해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을 병행하였는데, 3장과 4장에서는 배출권시장에 초점을 맞춘 부분균형분석을 활용하여 정책적 시사점들을 도출하고 있다.
3장의 간접연계와 관련하여서는 Flachsland et al.(2009a)의 모형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한계저감비용이 높고 감축목표는 낮은 국가들에 대한 연계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보고서는 공통 오프셋시장에서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한계저감비용이 높거나 감축목표가 낮은 국가들과 탄소 크레디트 시장을 공유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보였으며, 따라서 현재 일원화되어 있는 CDM 등의 국제오프셋 시장을 선진국과 개도국에 따라 접근성을 차별화하는 ‘국제오프셋 세분화’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의무감축국 재분류 논의에 있어 개도국 세분화 압력에 대한 대응논리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젝트의 지역적 편재성 등의 지적을 받고 있는 CDM 제도의 개혁방안으로 활용가능하다는 의의가 있다.
4장의 직접연계전략 분석에서는 Rehdanz and Tol(2005)의 모형을 기반으로 직접연계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이 모형을 소개하는데서 한발 더 나아가, 수입배출권에 대한 할인 등과 같은 질적 제한조치의 효과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 자국의 감축노력과 제한조치의 관계를 해석함으로써 향후 관련조치의 도입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5장에서는 배출권시장 이외 상품시장에서의 교역조건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일반균형분석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CGE 모형인 GTAP-E 모델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와 간접연계 및 직접연계에 적합한 국가들을 모색하였다. 이때 연계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이익이 되는 국가군을 찾는 동시에, 게임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상대국도 우리나라와의 연계가 이익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감축목표(202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0% 감축)의 일부를 주요 개도국에서의 크레디트를 통해 감축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하였는데, 자국내 감축비중을 낮추고 크레디트 감축비중을 높일수록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양을 감축해도 우리나라에서보다는 개도국에서 감축할 때 저비용으로 감축목표 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국내 산업부문의 생산활동이 위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연계대상으로는 ASEAN보다는 경제규모가 큰 인도나 중국이 바람직하나, 인도의 경우 우리나라와 연계할 때보다는 연계하지 않을 때 실질GDP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인도는 우리나라와의 연계에 소극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연계는 양국에 상호이익을 가져오므로 현실성이 높은 시나리오라고 판단된다.
직접연계의 경우, 감축목표의 설정과 감축의지가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Annex 1국가들 가운데 배출권거래제 도입이 가시적이며, 자국의 높은 한계저감비용으로 인해 적극적으로 연계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Annex 1국가들과의 연계는 우리나라에 경제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낮은 한계저감비용을 가지고 있어서 선진국들에 배출권을 판매하는 입장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국내 산업부문들은 생산을 통한 이윤보다는 배출권 판매를 통한 이윤을 선호하게 되어 생산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및 교역조건 악화 등으로 실질GDP와 후생수준이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포스트교토체제가 정착되어 나가는 각 단계별 연계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대한 도입이 여전히 논의 중인 시점에서 국제적 연계는 너무 요원한 주제가 아닌가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토 메커니즘의 하나인 국제배출권거래제(International Emission Trading)가 개별국가의 국내 배출권거래제를 전제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국제배출권거래제의 거래주체는 일차적으로 회원국이며, 국제배출권거래제의 일차적 목표는 각 회원국의 감축목표 달성수단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국가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수단의 하나로서 배출권시장의 국제적 연계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교토체제가 당분간 느슨한 다자협약 형태로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기초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본 가정이 배출권거래제의 국제적 연계의 중요성과 효과를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포스트교토체제가 교토의정서와 같은 포괄적인 합의의 형태일 경우에도 시장예측성으로 인한 연계의 활성화를 예상할 수 있다. 포스트교토체제의 법적 형태와 연계 간의 관계는 Jaffe and Stavins(2008)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동학적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 더욱 적절할 것이다.


 

There can be various views about what a concrete form of the post-Kyoto regime will look like. However, in any cases, we may anticipate we will experience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it is completely settled down as a comprehensive legal form. This research presumes that the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policy architecture will evolve into comprehensive level of international norm, but gradually. And in the meantime, the multilateral agreement will be in a loose-shape compared to Kyoto Protocol and it will be complemented by bilateral treaties.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bilateral cooperation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of multilateral norm formation. In this study, one of such bilateral cooperations we focus on is ETS (Emission Trading Schemes) linkage between at least two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ETS linkage is attractive to policy makers in that the linkage expands the size of permit market which leads the reduction of total abatement costs in both markets. Such a cost reduction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persuasion of interest groups against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cap and trade system. In addition, by equalizing carbon price among linked schemes, linkage can weaken carbon leakage problem and competitiveness concern.
In terms of direction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linkage; direct and indirect linkage. If the only concern is abatement cost reduction, linking between two schemes is more effective than sharing a common scheme between two separated schemes. The advantages of indirect linkage is from its one-way directional property. When a link is one-way directional, it is easier to be disconnected whenever a linkage brings an undesirable consequence, such as a huge volatility of  carbon price in the linked scheme.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s of formation of a new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agreement, it is required to respond flexibly to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policy environment. In short run, from this reason, indirect linkage is preferable to ensure the policy sovereignty. And direct linkage is suitable to a long run policy.
In discussion of a short-run linkage strategy, we suggest offset market differentiation; breaking down common credit systems by country' abatement technology level. When several ETSs share a common credit system, like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fits from the linkage are distributed into each country unevenly. A bigger share of linkage benefit goes to a country which has a higher marginal abatement cost or a higher reduction target. International offest market segmentation may eliminate such an uneven distribution of linkage benefit. As well as it makes developing countries easier to participate in  reduction efforts, it would be consistent with a fundamental principle of UN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common but differentiated principle.’
For a long-run linkage strategy, we examine both partial and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In our partial equilibrium model, we found that cost containment measures such as imported permit discount may help a country to maintain its environmental policy autonomy in some degree. 
To investigate the economic effect of linkage on overall economy beyond permit market, we use a 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specifically GTAP-E. In case of indirect linkage, we consider a part of Korea’s national reduction target (BAU 30% by 2020) to be implemented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which may describe mutual recognition by bilateral agreement as well as purchasing CERs in UN framework. The bigger portion of reduction target is implemented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the less economic burden on Korea. It is because mitigation cost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lower than those in Korea to reduce the same emission, which enables Korea to avoid the necessity of production reduction to reach the target. The result shows that both ASEAN and China are suitable linkage partners of Korea meaning that both Korea and linked countries get better off by linkage. In case of indirectly linking to India, we may expect India would be reluctant to link since India suffer a slight real GDP loss by linkage, though Korea gets better off.  
In case of direct linkage, we consider Annex 1 countries which have already introduced or will introduce ETS in near future. In general, Korea will experience both real GDP and welfare loss by such direct linkages to countries with a higher marginal abatement cost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at of partial equilibrium analysis but the reasons are more complex. Besides decrease in production activity to sell out permits, terms of trade effect and inefficiency in resource allocation interrupted.
Finally, it is considered that regional linkage betwee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in East Asia. Specifically, combinations of Korea-China-Japan, Korea+Japan+ASEAN, ASEAN +3 are considered. The result shows us that Korea-China-Japan and ASEAN+3 are preferable to Korea and Japan. In those cases, China experience decrease in real GDP but welfare gain. It implies that likelihood of climate change cooperation in East Asia through ETS linkage will depend on how much China consider change in social welfare compared to that in real GDP.



 

서언 
국문요약 
약어 표기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다극화되는 기후변화체제 
2.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협상전략으로서의 탄소시장 연계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탄소시장의 국제적 연계 의미 
1. 기본개념 
가. 배출권거래제 
나. 본 연구에서의‘국제탄소시장’개념 
다. 탄소시장의 연계 
2. 국제적 연계의 일반적 장단점 
가. 연계의 장점 
나. 연계의 단점 
3. 연계의 종류와 효과 
가. 연계방식별 종류와 효과 
나. 연계대상별 종류와 효과 
4. 연계추진에서 유의점 
5. 포스트교토체제 형성과정에서 연계의 역할 
가. 연계의 역할과 한계 
나. 연계의 의의: 다자간 규범의 협상준거 
다. 연계 촉진을 위한 다자간 규범의 요소 


제3장 단기연계전략: 간접연계 
1. 국제탄소시장의 기본구조  
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나. 주요 배출권 수요국의 배출 현황 및 감축목표 
다. 교토 메커니즘과 국제배출권거래제도 
라. 탄소배출권 수요ㆍ공급 전망 
2. 간접연계의 대상: 국제오프셋 
가. 오프셋과 연계의 관계 
나. CER: 중국의 CDM 정책을 중심으로 
다. 동구권 국가와 AAU 
라. 기타 국제오프셋시장 
3. 간접연계의 전략  
가. 개요 
나. 단기연계전략으로서의 간접연계 
다. 간접연계에 관한 이론적 분석틀 
4. 전략적 시사점: 국제오프셋의 세분화 
가. 한국과 국제오프셋 
나. 개도국 세분화 논의 
다. 세분화 압력의 전략적 활용 
라. 소결 


제4장 중장기 연계전략: 직접연계 
1.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변수  
가. MRV(Measurement, Reporting, Verification Provisions) 
나. 이월 및 차입 
다. 등록 및 신규 진입퇴출자 규정 
라. 이행기간 차이 
마. 배출권 할당방식  
바. 대상 온실가스 종류 및 대상 산업 
사. 감축목표의 상대적 엄격성 
아. 강제의 엄격성 
자. 오프셋(offset) 허용 범위 
차. 집약도 사용여부 
카. 비용억제수단(cost containment measures) 
2. 유럽의 배출권거래제  
가. 제도현황 
나. 국제적 연계 가능성 및 전망 
3. 미국의 배출권거래제  
가. 연방안  
나. RGGI(Regional Greenhouse Gas Initiative) 
다. 전망 및 시사점 
4. 일본의 배출권거래제 
가. 자발적 배출권거래제도
나. 의무적 총량제한방식 배출권거래제도 
다. 전망 
5. 뉴질랜드와 호주의 배출권거래제 
가. 뉴질랜드의 배출권거래제 
나. 호주의 배출권거래제 
다. 전망 
6. 직접연계의 전략  
가. 개요 
나. 직접연계에 관한 이론적 분석틀 
7. 소결  
가. 직접연계전략의 기본방향  
나. 직접연계 평가기준: EU ETS의 경우
다. 시사점 
라. 한계 


제5장 연계적합 상대국의 모색 
1. 개요 
2.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모형 
가. 기후변화정책 효과분석 선행 연구  
나. 분석에 사용된 GTAP-E 모형구조 
3. 연계상대국별 연계효과분석 
가. 분석을 위한 전제조건 
나. 분석 시나리오 
다. 온실가스 감축과 국제배출권 거래의 경제적 효과 
라. 직접연계 적합상대국 모색 
마. 간접연계 적합상대국 모색 
바. 지역연계 적합상대국 모색 
4. 소결 
가. 요약 및 시사점 
나. 결언 


제6장 결론 
1. 요약 
2. 연계전략 추진 로드맵  
3. 결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7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ESG 추진 현황과 한·중 정책 비교 및 대응방향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탄소중립과 그린성장전략에 관한 연구: EU, 미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환경 상품·서비스 시장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미중 전략경쟁 내 중국 탄소중립 대외전략과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자료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 평가와 시사점 2022-10-25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기후금융의 현황과 발전방향: 녹색채권을 중심으로 2022-06-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탄소 중립 대응 정책과 한국의 그린뉴딜과의 협력 방안 2022-03-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유럽 주요국 녹색당의 성공 및 실패 요인 분석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2060 탄소중립 추진전략 연구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