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인도 전문인력과 서비스산업 성장 : 한국 지식서비스 산업 발전에 대한 시사점 노동시장, 산업정책

저자 이순철, 송영철 발간번호 09-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9.08.20

원문보기(다운로드:92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인도의 서비스 산업은 그 비중과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으며, 특히 지식기반 서비스는 인도의 경제성장을 이끌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하였다. 인도 서비스 산업이 IT 부문에 강점을 보이게 된 것은 풍부한 양질의 전문인력의 존재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인도는 전반적으로 낮은 교육 수준에도 불구하고 지식기반 중심의 인력을 전문적으로 양성하여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는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인력 양성 정책의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한국도 서비스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인도와 같이 전문인력을 적극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인도의 전문인력이 서비스 산업 성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인도 정부의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지식서비스 산업 육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demand for service industry in India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with rising incomes. Furthermore, its weight and importance have grown and now accounts for 60% of India's GDP. In particular,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has risen as a new engine of development and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n the economy overall, by being used as a factor stimulating production for other industries as well. India's service sector is especially strong in the IT service sector, as made apparent by increase of the proportion of software and business service exports to 65.5% in 2007/8, up from 14.4% in 1980/1. The analysis shows that India's abundant professional manpower has played a key role for the recent development of service sector, including IT.(The rest is omitted)
국문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인도 전문인력 경쟁력과 정부 정책
1. 인도 전문인력의 경쟁력
가. 인도 인력의 국제적 경쟁력과 위상
나. 교육 및 인력양성 정책
다. 해외이민정책 및 Diaspora

제3장 인도 전문인력 활용과 효과
1. 산업발전 및 고용창출
가. IT산업의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
나. 인도 주요 IT기업의 사례
2. 간접적 효과
가. 간접고용
나. 인력자원 개발
다. 연관 및 비연관 산업 성장
3. 인도 인력 해외이주 및 역할
가. 해외이주 및 인도의 국제적 위상 제고
나.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4. 노동생산성 분석
가. 분석방법
나. 자료
다. 분석결과

제4장 정책적 시사점
1. 전문인력의 전문화 및 혁신역량 강화
가. 산업중심의 교육시스템 구축 및 개선
나. 해외전문인력 적극 활용에 의한 경쟁력 강화
2. 인도와의 상호보완적 협력에 의한 국제시장 진출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86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2021-12-27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소득 및 소비 불평등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디지털 전환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 연구보고서 한ㆍ중ㆍ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2021-06-30 연구보고서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제조업 분야 산업정책과 산업구조 변화 연구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식품 무역과 통상분쟁 연구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