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금년 한국의 신정부 출범 이후 적극적인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면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통해 고성장을 이룩한 국가로 알려진 아일랜드의 성공사례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일랜드 사례에 대한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증분석은 국내외 모두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75~2006년간 시계열 자료를 활용, 공적분 검정과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외국인직접투자에 따른 아일랜드의 경제성장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공적분 검정에는 시계열 소표본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최근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한계검정법(bounds test)을 도입하여 분석의 정확성을 높였다. 모형 추정 결과, 외국인직접투자는 장ㆍ단기 모두 아일랜드 경제성장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과관계 검정에서도 외국인직접투자와 경제성장 간 양방향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일랜드의 적극적인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경제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ong-run and the short-run relationships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 Ireland. Using an augmented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growth model, we applied the bounds testing approach to cointegration, which is more appropriate for estimating small sample studies. The data span for the study is from 1975 to 2006. (The rest is omitted.)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reland's Economic Performance
II. Literature Review
III. The Empirical Model
1. Theoretical Framework
2. Econometric Methodology
3. Data
IV. Estimation Results
1. Bounds Tests for Cointegration
2. Long-Run Relationship and Short-Run Dynamics
3. Granger Causality
V. Conclusions
References
I. Introduction: Ireland's Economic Performance
II. Literature Review
III. The Empirical Model
1. Theoretical Framework
2. Econometric Methodology
3. Data
IV. Estimation Results
1. Bounds Tests for Cointegration
2. Long-Run Relationship and Short-Run Dynamics
3. Granger Causality
V. Conclusion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 46 |
---|---|
판매가격 | 2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중ㆍ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2021-06-30
연구보고서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제조업 분야 산업정책과 산업구조 변화 연구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식품 무역과 통상분쟁 연구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계절관리제 관련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 관리 정책 분석 및 한중 협력 방안 연구
2020-12-30
연구보고서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2020-12-30
연구자료
유럽 친환경자동차산업 정책분석과 시사점: E-모빌리티를 중심으로
2021-05-17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경제의 서비스화에 대응한 중장기 통상정책 방향
2020-12-30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Do Korean Firms Respond to the Labor Costs of Host Countries?
2020-09-01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국영기업, 산업보조금, 통보
201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