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경제성장, 무역정책

저자 김남석, 이재호, 신민금, 김제국 발간번호 24-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4.10.11

원문보기(다운로드:1,00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교역 상대인 동남아시아 5개국(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의 경제성장 경로에서 무역이 갖는 의미를 실증적으로 추정하고, 5개국의 수출주도성장전략을 평가하여 한국의 무역 및 투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의 제2장은 동남아시아 5개국의 경제성장 경로를 경제성장 수렴 (economic growth convergence) 현상의 관점에서 추정한다. 이를 통해 5개국의 경제성장 경로가 갖는 일반성과 특수성을 성장 수렴 속도와 규모 차원에서 파악하고, 5개국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를 구조적 변화(structural change)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전 세계 국가를 표본 대상으로 한 분석과 동남아시아 5개국만을 표본 대상으로 삼은 분석을 서로 비교하면, 동남아 5개국에서 관찰되는 경제성장 수렴의 규모와 속도가 전 세계에 걸쳐서 일어나는 수렴보다 훨씬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개국 각국에 대하여 개별 추정을 실시하면, 동남아시아 5개국 중에서는 말레이시아와 태국에서 수렴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다. 중진국 함정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한 두 국가에서 수렴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동북아시아 3국(한국, 일본,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이미 고도 성장기를 경험한 한국과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에서는 경제성장 수렴 현상이 관찰되었지만, 고도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과 베트남의 경우 수렴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한국 및 일본의 경우와 다르게 말레이시아와 태국은 고소득 국가에 진입하기 이전의 상황에서 수렴 현상이 유의하게 관찰된다. 베트남과 중국만큼의 고도성장은 아니지만, 동남아시아 내에서는 비교적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도 경제성장 수렴 현상은 아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지 않는다.

경제성장 수렴 현상을 경제성장 둔화와 직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없는바, 본 연구의 제2장에서 구조적 변화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생산성이 높은 산업 부문이 지속적으로 높은 고용 비율을 흡수해야 성장 유발형 구조적 변화(growth- enhancing structural change)가 일어나면서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이 발생한다. 하지만 자료 접근이 가능한 4개국(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에 대해서 계량경제학적 추정을 실시한 결과, 4개국 모두 성장 유발형 구조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제3장에서는 2장의 이해를 바탕으로, 5개국에서의 수출과 경제성장 간 관계를 직접적으로 추정한다. 이를 위해 학계에서 통용되는 수출생산성 지수를 구축하여 수출생산성이 각국의 경제성장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지금까지 동남아시아 5개국의 경제성장 경로를 살펴보면, 수출의 생산성이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축적된 국가는 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은 수출 품목의 구성이 경제성장에 기여하지 못하는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각국은 중진국 함정을 극복하고 고소득 국가 진입을 앞당기기 위해 적극적인 수출주도성장전략을 입안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각국의 수출주도성장전략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성공적이었던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들에 대한 평가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제5장은 4장에서 분석한 각국의 수출주도성장전략 역사의 연장선상에서, 각국이 최근에 도입한 수출주도성장전략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한다. △말레이시아의 신산업 정책 2030, 국가교역 청사진 2021~2025, △베트남의 수출입 전략 2030, △인도네시아의 Making Indonesia 4.0, RPJMN 5개년 계획, △태국의 제13차 NESDP 전략, Thailand 4.0 전략, 상공부 이행계획, △필리핀의 필리핀 개발계획 2023~2028, 필리핀 수출개발계획 2023~2028 등 5개국은 각국이 직면한 대외경제 여건과 자국의 비교우위를 감안하여 차별화된 수출주도성장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제5장의 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① 5개국별 맞춤형 경제협력, ② 광물/식량 공급망 협력, ③ 미래 전략 산업 협력의 세 가지 차원에서 한국의 무역·투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먼저 ① 5개국별 맞춤형 경제협력에 있어서 말레이시아 신산업 정책 2030이 5개국 중 유일하게 명시한 항공우주 관련 정책 패키지와 필리핀 수출개발계획 2023~ 2028이 언급한 IT-Business Process Management 차원의 콜센터/건강정보 관리 등의 노동집약적 서비스 산업 육성계획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말레이시아의 항공우주 산업 육성방안은 2024년 우주항공청을 설립하며 관련 산업 외연 확장에 적극적인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며, 필리핀의 노동집약적 서비스 산업 육성계획은 구조적인 저출산, 국내 실질임금 상승, 산업구조 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 민간 부문에 좋은 협력 대상이 될 수 있다.

② 광물/식량 공급망 협력에서 한국이 선제적인 협력 확대를 위해 주목해야 할 각국의 정책 기조는 다음과 같다. 말레이시아는 21대 핵심 업종으로 광업과 팜유 산업을 포함했고, 베트남 수출입 전략 2030은 별도의 식품 산업 전략 패키지를 통해 식품 산업 수출 증대를 위한 위생검역 절차 개선, 품질 표준 선진화 계획을 명시했다. 인도네시아는 「신광업법」에 기반하여 핵심광물 수출통제 전략을 국익에 초점을 맞추어 탄력적으로 구사하고 있으며, 필리핀의 수출개발계획은 금, 구리, 니켈 산업 육성방안을 담고 있다.

③ 미래 전략 산업 협력과 관련한 한-아세안 협력은 5개국의 수출주도성장전략이 모두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탄소 감축을 포함한 녹색전환 관련 기술, 반도체 관련 사업, 고부가가치 전기/전자 산업, 디지털 전환 기술 등을 중심으로 구상해볼 수 있다. 해당 분야에서 한국은 5개국에 대한 비교우위가 명확하고, 아세안 현지 진출 성공 사례들이 있어 아세안 시장에 친화적이다. 그리고 아세안 국가들로서는 미국-중국 간 전략경쟁 상황 속에서 양자택일의 문제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는 한국과의 협력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role of international trade in the economic growth paths of five Southeast Asian nations (Indonesia, Malaysia,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We evaluate the export-led growth strategies of the five nations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Chapter 2 elaborates on the economic growth paths of the five 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growth convergence. Introducing the comparative approach with growth convergence analysis allows the authors to delineate how the economic growth paths of these five Southeast Asian nation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speed and magnitude of the convergence. We find that the speed and magnitude of growth convergence in the five Southeast Asian nations are faster and more prominent compared to the world average. Country-specific estimations confirm that economic convergence is significantly explicit in Malaysia and Thailand, resonating with “middle-income trap” diagnoses on both nations.

We extend discussions by comparing growth convergence in these five Southeast Asian nations to that in the three East Asian nations of China, Japan, and Korea. Growth convergence is significantly identified in four nations: Japan, Korea, Malaysia, and Thailand. These four nations have already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Malaysia and Thailand followed convergent growth paths before joining the high-income group, and this is marked as a big difference compared to Japan and Korea, where growth convergence started after they had become high-income nations.

In nations currently undergoing accelerated economic growth, such as China and Vietnam, economic growth converg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also could not find evidence of growth convergence in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As growth convergence cannot be directly linked to growth slowdown, we analyzed the dynamics of structural change in four nations (Indonesia, Malaysia,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that have accessible sectoral data. We ascertained whether a sector with higher productivity attracts more labor share within a national economy. If this productive labor reallocation is shown to occur, we can say that a country is going through growth-enhancing structural change, which is a critical factor for long-run rapid growth. According to our estimations, neither of these four nations is going through growth-enhancing structural change.

Chapter 3 clarifies how exports in the five nations are related to their economic growth. We obtain country-level export productivity measures following existing literature and estimate how export productivity can explain the economic growth of each nation. In Indonesia, Thailand, and Vietnam, export productivity has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However, in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export productivity has not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The five nations are actively implementing export-led growth strategies to overcome the “middle-income trap” and accelerate their entry into a high-income economy. Chapter 4 comprehensively reviews and evaluates the history of export-led growth strategies in the five nations.

Chapter 5 extends the discussions in Chapter 4 by focusing on recent export-led growth strategies in the 2020s. Indonesia’s Making Indonesia 4.0 project and National RPJMN five-year plan, Malaysia’s New Industrial Master Plan 2030, National Trade Blueprint 2021-2025, the Philippines’ Philippine Development Plan 2023-2028 and Philippine Export Development Plan 2023-2028, Thailand’s 13th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Plan (NESDP), Thailand 4.0 Strategy and MoC Action Plan, and Vietnam’s Strategy on Exports and Imports and expansion of its trade promotion agency (VIETRADE) are introducing export-led growth strategies under the goals and constraints that these five nations are facing. All strategies target the maximized utilization of their respective comparative advantages to promote export growth and job creation.

Based on the recent export-led growth strategies of the five nations outlined in Chapter 5, we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n trade and investment in the areas of ① country-specific optimized cooperation, ② critical minerals/food supply chain cooperation, and ③ cooperation in future strategic industries. First, in the first area, country-specific optimized cooperation, some of the flagship projects in Chapter 5 could provide mutually beneficial business opportunities with Korea. For example, Malaysia clarifies its goals in aerospace industries in its New Industrial Master Plan 2030. Korea established the Korea Aerospace Administration (KASA) in 2024, which is poised to expand its activities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Philippine Export Development Plan 2023-2028 suggests how the Philippines can utilize comparative advantages in labor-intensive sectors to attract investment. This can provide incentives for Korean businesses concerned about labor costs in Korea and its low fertility rate issues.

In the second area, critical minerals/food supply chain cooperation, we focus on national strategies provided by Indonesia, Malaysia, and Vietnam. As a net importer of critical minerals and food, Korea can proactively suggest cooperation packages through which it can contribute to the economic security of Korea and export promotion of the five Southeast Asian nations. For the third area, cooperation in future strategic industries, Korea can collaborate with all five nations in green transiti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which are commonly mentioned in each nation’s national strategies in Chapter 5. Working with Korean businesses allows these nations to avoid a dichotomous choice issue between the US and China. Also, as Korean businesses have already attained considerable local networks in ASEAN economies, they can serve as key contributors in constructing an ASEAN-friendly global value chain in future strategic industr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각국의 경제성장 개관
3. 연구의 구성

제2장 동남아 주요 5개국의 경제성장 경로
1. 경제성장 수렴 현상: 이론적 배경과 실증분석
2. 5개국의 경제성장 수렴 현상
3. 5개국의 경제성장과 구조적 변화

제3장 동남아 주요 5개국의 수출과 경제성장 경로
1. 수출과 경제성장
2. 5개국의 수출생산성과 경제성장

제4장 동남아 주요 5개국의 수출주도성장전략 경과
1. 말레이시아 수출주도성장전략의 경과
2. 베트남 수출주도성장전략의 경과
3. 인도네시아 수출주도성장전략의 경과
4. 태국 수출주도성장전략의 경과
5. 필리핀 수출주도성장전략의 경과

제5장 동남아 주요 5개국의 2020년대 수출주도성장전략 추이
1. 말레이시아 2020년대 수출주도성장전략의 추이
2. 베트남 2020년대 수출주도성장전략의 추이
3. 인도네시아 2020년대 수출주도성장전략의 추이
4. 태국 2020년대 수출주도성장전략의 추이
5. 필리핀 2020년대 수출주도성장전략의 추이

제6장 한국의 통상·협력 전략에 대한 시사점 및 결론
1. 결론
2. 한국의 대5개국 경제협력 방향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33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2024-11-20 APEC Study Series Evolving Agendas in APEC Ministerial Meetings: Tracing the Changing Focus of Economic Cooperation in Asia-Pacific Region 2024-10-02 APEC Study Series Evolving Agendas in APEC Ministerial Meetings: Tracing the Changing Focus of Economic Cooperation in Asia-Pacific Region 2024-10-02 ODA 정책연구 Assessing Vietnam’s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2023-12-29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빅데이터 기반의 국제거시경제 전망모형 개발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