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MDB를 활용한 ODA 활성화 방안: PPP를 중심으로 ODA, 대외원조

저자 강인수, 박성훈, 송유철, 이호생 발간번호 23-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3.12.29

원문보기(다운로드:33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아시아의 인프라 수요는 2030년까지 연간 최소 1조 7,000억 달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해당 국가나 다자개발은행(MDB)의 재원으로는 이 수요의 절반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유로 국제적으로도 신흥국 인프라 개발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민간자본 활용이 가능한 민관협력사업(PPP)의 중요성이 커졌다. 우리나라도 국내기업의 수원국 인프라 개발 참여를 활성화하고 수원국의 재정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PPP 사업 지원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MDB나 개발금융기관(DFI)과 같은 국제금융기구 네트워크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직접 사업 발굴이 어려운 지역으로 진출 기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PPP 관련 ODA 정책과 사례, 그리고 MDB의 PPP 운영방식과 사례를 심층분석하여 한국의 PPP를 중심으로 한 MDB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MDB의 PPP 운영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PPP의 유형과 사업구조, 이해관계자 분석을 토대로 PPP 사업에서 MDB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MDB가 PPP 추진환경 조성과 개도국의 PPP 역량 확충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살펴보고, 지분투자와 대출을 통한 PPP 프로젝트 직접 참여 및 신용위험과 정치적 위험을 낮추는 보증업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였다. ADB와 세계은행그룹을 중심으로 살펴본 MDB의 PPP 운영 방식 및 절차에 관한 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PPP 프로젝트 사이클의 전 과정에 걸쳐 정책적 관심을 확대해야 한다. MDB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PPP 관련 활동을 살펴보면, 특정 PPP 프로젝트가 일정한 절차·과정에 의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PPP 프로젝트 사이클이 있는 것이다. 업스트림(upstream)으로 불리는 PPP 형성 이전단계부터 다운스트림(downstream)이라 칭해지는 실제의 협조융자·지분투자·보증 서비스 제공에 이르기까지 대체로 5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PPP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한국의 민간기업들이 단순히 입찰공고에 반응하는 매우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프로젝트 사이클의 전 과정에서 관련 정보를 입수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둘째, ADB의 아태지역 프로젝트 준비기금(AP3F) 및 세계은행그룹의 글로벌인프라펀드(GIF) 등 신탁기금 출연을 확대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프로젝트 사이클의 전 과정에서 상세한 프로젝트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서는 MDB가 개도국의 PPP 사업 추진을 도와주기 위해 운영하는 다양한 신탁기금 출연을 통해 PPP 사업의 전 과정에서 발언권을 강화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신탁기금은 재정을 출연한 국가들이 ‘이사회’를 구성하여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일반적인 운영방식이다. ADB에서 운영하는 AP3F 신탁기금의 경우 일본, 호주, 캐나다 등 전통적인 기금출연국에 더하여 2023년부터 우리나라도 500만 달러의 기금을 출연하여 동참하고 있어, 향후 AP3F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기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은행그룹의 경우 GIF를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도국들의 PPP 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바, 한국정부도 GIF에 대한 기금출연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국적의 MDB 정직원 수를 대폭 확대하여 프로젝트 영향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또한 MDB 내에서 한국기업의 참여사업 발굴을 담당하는 각 MDB의 한국사무소에서도 인프라 및 PPP 담당인력 확충이 필요하다. 한국은 MDB에의 재정출연에 비하여 우리 국적의 정직원 수가 많이 부족한 나라로 손꼽힌다. MDB의 특성상 매우 잘 설계된 분업관계에 의해 직원들의 업무영역이 정해지는바, 한국 국적의 직원 수가 증가할수록 PPP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한국의 영향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넷째, MDB와의 공조를 통한 해외 PPP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가칭) PPP Focal Point’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MDB와의 공조를 통해 해외 PPP 사업에 대한 한국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의 집중, 특정 PPP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전략 설계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정책 브레인 집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PPP Focal Point’를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Focal Point는 세계 여러 지역의 경제·정치 상황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처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연구기관 또는 유사한 업무를 처리해 온 기관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로서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또는 KOTRA, KOICA 등이 가장 바람직한 기관으로 보인다.

제3장에서는 MDB와 주요 공여국의 PPP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공 개발협력사업에 MDB와 혼합금융(co-financing)을 활용한 현황을 살펴보고, 이 가운데 기후변화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MDB의 PPP 사례를 분석하였다. 수력발전,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폐기물 에너지화, 녹색 에너지 전송망 개선 사례 등을 통해 각 사업이 형성된 배경과 목적, 사업구조와 재원조달, 사업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프랑스 개발금융기관(DFI)인 Proparco의 코트디부아르 바이오매스 발전소 지원사례를 통해 프랑스 기업이 어떻게 이 PPP 사업을 수주하게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MDB의 PPP 사례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시사점은 한국이 MDB PPP 사업에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혼합금융 방식의 개발협력사업에 동원되는 민간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민간 기업 및 금융이 참여하는 PPP 개발협력사업은 MDB가 주도하는 사업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향후 PPP 개발협력사업에 민간재원을 동원하는 데 양자간 개발협력기관(US DFC, Proparco, BII, FMO 등)의 역할이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MDB가 개발협력사업을 주도하는 경우, 사업 형성 이전부터 MDB가 오랜 기간 수원국 정부의 사업 분야 마스터플랜 및 개발계획 작성을 지원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업구조, 재원조달 방안, 위험 경감 방안 등이 도출되고, 민간 및 공공 부문의 사업 참여 여지에 대한 정보가 MDB 주도의 개발협력 커뮤니티에 공유된다. 한국의 원조 및 개발협력 기관도 사업 형성 이전 및 초기 단계부터 참여해야 사업의 방향, 구조, 참여기관 등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십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단계에서 획득한 사업 참여 기회에 대한 정보가 민간부문과 공유된다면 민간기업의 사업 참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세계은행그룹이 Scaling Solar 프로그램에서 자문, 투자, 보증 등을 원스톱 패키지로 묶어서 지원한 것이 사업 기획, 민간투자 유치, 유리한 전력요금 확보 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한국의 개발협력기관이 PPP 사업에 참여할 경우에도 여러 지원수단을 패키지로 묶어서 제공하는 시스템을 중장기적으로 구축한다면 지원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선진국의 양자간 개발협력기관은 특수목적법인(SPC)에 대출을 제공함으로써 PPP 사업에 활발하게 참여한다. 한국이 PPP 개발협력사업을 촉진하고 한국기업의 SPC 및 설계·조달·시공(EPC)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경협증진자금(EDPF)의 기능 및 역할 강화와 더불어 양자간 개발협력기관 설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제4장에서는 한국의 PPP를 통한 ODA 활성화 필요성과 지원 현황, MDB 협조융자 활성화 방안과 한계, 협조융자와 PPP 활용 사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의 개발금융 확대 필요성과 경제협력기금(EDCF), 경협증진자금(EDPF), 해외 인프라 펀드 등이 한국기업의 개도국 PPP 참여 촉진에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정부가 제시한 MDB 협조융자 활성화 방안을 소개하고, 이 방안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특히 PPP 유형별로 EDCF와 연계하여 지원한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의 PPP를 활용한 ODA 사례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EDCF를 활용하려는 민간사업자는 개도국 관점에서 EDCF의 진행절차를 이해하여 적절한 시기에 EDCF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금융조달 단계에서 EDCF를 접촉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사업발굴 단계부터 EDCF를 염두에 두고 사업을 구조화하여야 한다.

둘째, EDCF와 연계 가능한 유망 PPP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EDCF를 중심으로 관계부처·기관과의 정보공유 및 협력 채널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EDCF-MDB 협조융자 체계를 활용하여 지원 가능한 대규모 PPP 사업 발굴을 협의하여야 한다. MDB 연례협의 등을 통해 정책 관련성, 우리 기업의 참여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PPP 후보사업 파이프라인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제기구들의 우선순위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넷째, EDCF 정책협의 연계 등을 통해 수원국과의 협력 채널을 강화하여 수원국 내 PPP 후보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중장기 사업 풀(pool)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EDCF 현지 사무소를 통해 수원국 PPP 정책, 후보 사업 등을 조기에 파악하고, 수원국 원조 총괄부처 및 PPP 주무청 등과 협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PPP 사업이 최근 대형화·전문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수원국의 역량 강화를 위한 유기적인 유·무상 협력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무상기관 자체 마스터플랜(M/P)·사업타당성 조사(F/S) 재원과 EDCF F/S 재원을 매칭하여 PPP 사업 적합형 F/S를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PPP와 관련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각 단계별 리스크에 대한 적절한 사전 평가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고, 각 위험별 부담을 누가 담당할 것인지 미리 정해 두어야 한다. 또한 MDB에서 이자율 스와프와 환리스크 헤징, 정치적 위험에 대한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MDB의 PPP 사업 참여는 국내 경험에 기반한 기술능력이나 경영능력을 충분히 보유한 한국 공기업들의 누적적자 해소나 새로운 사업 창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주요 공기업들은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국제적인 PPP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고, 수출입은행도 단순한 사업보증 단계에서 벗어나 사업 발굴을 추진해야 한다. PPP 분야의 전통적인 강자가 글로벌 회계법인이나 로펌이라는 점도 고려하여, 이들이 발굴하는 PPP 사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아직 한국기업들은 국제적 PPP 사업 참여 경험이 많지 않아 현금 흐름 통제(cash flow control)나 채권보전장치들에 대한 전문성이 높지 않다. 따라서 경험을 축적하고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력 양성도 필요하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MDB의 PPP 운영방식(2장)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과 MDB의 PPP 사례(3장), 한국의 PPP를 활용한 ODA 사례(4장)의 시사점을 토대로 한국이 MDB의 PPP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첫째, 개발금융기관(DFI) 설립이 필요하다. 우리의 경우 유상원조와 무상원조의 분절화 문제가 아직도 크게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조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조집행 과정과 구조를 과감하게 바꿔야 한다. 무상원조와 차관뿐만 아니라 지분 참여, 보증 등 다양한 개발금융수단을 유기적으로 활용해 개도국 개발사업에 대한 참여를 늘려나가야 한다. 분절화 문제를 극복하고, 대규모 개도국 해외 인프라 사업 수주 기회를 늘리며, MDB 사업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형 DFI 설립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의 지원을 체계화해야 한다. 우리의 경우 부처별 개발협력자금, MDB 신탁기금 등 다양한 ODA 자금이 개별적으로 집행되기 때문에 전략적 방향성을 찾기 어렵고, 그 결과 ODA 자금이 MDB 사업 수주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MDB와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협력을 체계화해 나가야 한다.

셋째, MDB 사업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MDB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에 대한 장기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수주를 위한 입찰 참여 단계에만 집중하지 말고, 프로젝트 사이클 전 단계에 걸쳐 정보를 수집하고 주요 관계자를 파악해서 마케팅을 해야 한다. 또한 민간기업과 공기업 모두 사업 수주 실패 경험이 축적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정보공유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민간기업과 정보를 공유하고 쌍방향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 채널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의 민간위원에 기업인 비중을 의미 있는 수준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Asia’s infrastructure needs are estimated to exceed $1.7 trillion annually by at least 2030. However, the country’s or MDB’s financing is unlikely to meet even half of this demand. For this reason, PPP projects, which can leverage private capital to finance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emerging market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ternationally. In the case of Korea,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support for PPP projec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participation of domestic companies in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ies and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n recipient countri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leverage the expertise of the network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MDBs and DFIs to secure opportunities to enter reg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find direct business. In this study, we analyzed Korea’s PPP-related ODA policies and cases, as well as the PPP operation methods and cases of MDB, and derived MDB utilization plans centered on Korea’s PPP.

Chapter 2 examined how MDBs operate PPPs. Based on the analysis of PPP types, business structures, and stakeholders, the role of MDBs in the PPP business was analyzed in depth.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 services that MDBs provide to create an enabling environment for PPP promotion and to build PPP capacity in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how they participate directly in PPP projects through equity investments, loans, and guarantees to reduce credit and political risks are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PPP operations of the MDBs, such as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and the World Bank Group (WBG), provides some important lessons.

First, this report finds that the MDBs operate their PPP programs and specific projects based on exactly defined procedures and processes. More specifically, it is found out that the MDBs develop and operate PPP projects through five stages that can be divided into upstream and downstream stages. Therefore, it is one of most important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that the Korean government, related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PPP projects must pay policy attention to the entire project cycle of PPP programs, and not only to specific PPP projects tendered by the MDBs.

Second,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Korean government to more ativiely participate in the trust funds established by the MDB, such as the AP3F of the ADB and the GIF of the World Bank Group, as they often function as a vehicle for transferring relevant information on PPP projects. Countries that provides financial contribution to such trust funds can have a seat in the steering committee, where relevant information flows and important decisions are made. More active participation will lead to an increase in Korean voice and influence. After committing USD 5,000,000 to the AP3F in 2023, the Korean government is well advised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of financiallly contributing to the GIF, as well.

Third, the Korean government is recommended to make every possible effort to increase project influence by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regular Korean staff in MDBs. Indeed, Korea is counted as a country with a comparatively large gap between the financial contributions and the number of regular staff of Korean nationality. It is also important to strengthen the human capacity and capabilities of the local offices of MDBs established in Korea, as they are the first point of contact for private-sector actors when interested in international PPP projects tendered by the MDBs.

Fourth, by establishing a ‘PPP Focal Poin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policy efforts to increase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PPP projects can be strengthened substantially. The PPP Focal Point, which can be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related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KIEP, the KOICA and the KOTRA, should serve as a center for gathering PPP-related information and for formulating operational strategies related to international PPP projects, with the ultimate goal of stimulating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on.

Chapter 3 analyzes the cases of MDBs and PPPs in major donor countri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DB and co-financing in public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nd analyzed the PPP cases of MDBs with a focus on climate change-related project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hydroelectric power, solar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waste-to-energy, and green power transmission upgrad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each project, business structure and financing,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the case of Proparco, a French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 (DFI) that supported the biomass power plant in Ivory Coast, was used to analyze how a French company won the PPP project. The following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MDB PPP cases will help Korea derive ways to participate more effectively in MDB PPP projects.

First, the amount of private finance mobilized for blended development finance projects is steadily increasing. Most PPP development finance projects involving private finance are led by MDBs. In the future, the role of bilateral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s (US DFC, Proparco, BII, FMO etc) in mobilizing private finance is expected to increase.

Second, when an MDB leads a development finance project, the MDB assists the recipient country’s government in preparing a master plan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project area well in adavance of the project. Based on this, the project structure, financing plan, and risk mitigation plan are derived. Korea’s aid and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ies need to be involved from the pre- and early stages of project formation, which will help Korea’s private companies get more opportunities for project participation.

Third, in the World Bank Group’s Scaling Solar program, the one-stop package of advisory services, investment and guarantee played a decisive role in attracting private investment and securing favorable electricity rates. Korea’s aid agencies and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s could adopt the one-stop package approach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PPP projects in which they participate.

Fourth, bilateral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s in developed countries actively participate in PPP projects by providing loans to SPCs. Korea need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EDPF and establish a bilateral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 that will help Korea promote PPP projects and support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SPCs and EPCs.

Chapter 4 focuses on the need for and support status of ODA through PPPs in Korea, the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of co-financing with MDBs, and the cases of co-financing and PPP. We have examined the need to expand development finance in Korea and how the Economic Cooperation Fund (EDCF), the Economic Cooperation Fund (EDPF), and the Overseas Infrastructure Fund are being used to promote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PPPs in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we introduced the government’s proposal to revitalize co-financing with MDBs and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is plan. In particular, the cases supported under the EDCF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PPP type.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case of ODA using PPP in Korea.

First, private companies that want to use EDCF need to understand the EDCF process from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and consider introducing EDCF at an appropriate time. However, in Korea, most private companies contact EDCF at the financing stage. Therefore, companies need to consult with EDCF from the business discovery stage.

Second, to identify promising PPP projects that can be linked to the EDCF,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channels with relavent ministries and agencies need to be expanded.

Third, the EDCF-MDB cooperative financing system should be utilized to discover large-scale PPP projects. It is necessary to list up the candidate PPP project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olicy relevance and the possibility of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through annual consultations with MDB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ere the prioriti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e.

Fourth, cooperation channels with recipient countries should be strengthened by linking them to EDCF policy consultations. The mid- to long-term project pool should be expanded by actively identifying candidate PPP projects in recipient countri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for the EDCF local office to identify the recipient country’s PPP policies and candidate projects and strengthen consultations with the recipient country’s aid ministry and PPP management office.

Fifth, as PPP projects have recently become larger and more specialized, there is a need to promote grant and aid cooperation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recipient countries. An F/S suitable for the PPP project needs to be supported by matching the grant agency’s own master plan (M/P) and business feasibility study with the EDCF F/S resources.

Sixth, risk management related to PPP needs to be strengthened. A proper preliminary assessment of risks at each stage and countermeasures must be prepared, and who will bear the burden for each risk must be determined in advance.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obtain coverage from MDBs for interest rate swaps, foreign exchange risk hedging, and political risks.

MDB’s participation in the PPP project can provide important opportunities in terms of resolving the accumulated deficit or creating new business for Korean public enterprises. Major public enterprises should form a task forc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PPP projects, and the Korea Eximbank should also pursue business exploration beyond the simple business guarantee. Considering that the traditional powerhouses in the PPP field are global accounting firms and law firms, interest in the PPP projects they discover is also necessary. In addition, Korean companies do not yet have much experience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PPP projects, so their expertise is not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human resources to accumulate experience and secure expertise.

based 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MDB’s PPP operation (Chapter 2) and the implications of the MDB’s PPP case (Chapter 3) and Korea’s ODA case (Chapter 4), Chapter 5 presents the necessary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to expand MDB participation in PPP. In order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in the MDB PPP projec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following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 (DFI). In our case, the problem of the fragmentation of concessional loans and grants has not yet been significantly improved, so we need to drastically change the governance of aid proces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id. In addition to grant and concessional loan, various development finance instruments such as equity participation and guarantees should be organically utilized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projects of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fragmentation, increase opportunities for overseas infrastructure projects in large-scale developing countries, and revitalize participation in MDB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Korean-style DFI.

Second, government support needs to be systematized. In our case, it is difficult to find a strategic direction because various ODA funds, such as the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and the MDB Trust Fund, are being implemented individually, and as a result, ODA funds have not been used effectively to win MDB projects. We also need to systematize cooperation with MDBs through selection and focus.

Third, in order to expand participation in the MDB project,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MDB project and establish a long-term strategy for it. Instead of focusing only on the bidding participation stage to win the contract, it is necessary to collect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cycle and identify key stakeholders for market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formationsharing platform so that both private and public companies can accumulate and share the experience of failing to win business orders.

Fourth, we need to strengthen channels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nd enhance two-way communic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meaningfully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ivate sector entrepreneurs among th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ommission.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MDB의 PPP 운영방식
1. PPP의 개념 및 유형
2. MDB의 PPP 관련 기능 및 역할 개요
3. 세계은행그룹의 PPP 관련 활동
4. ADB의 PPP 관련 활동
5. MDB PPP 운영방식 분석의 시사점

제3장 MDB 및 개발협력기관의 PPP 사례 분석
1. 공공 개발협력사업의 혼합금융 활용 현황
2. MDB의 기후변화 관련 PPP 사례
3. MDB PPP 사업의 기타 사례
4. MDB PPP 사례의 시사점
5. 프랑스 개발금융기관의 PPP 사례: 코트디부아르 바이오매스 발전소

제4장 한국의 PPP를 활용한 ODA 현황과 성과
1. 한국의 PPP를 통한 ODA 활성화 필요성
2. PPP 촉진을 위한 재원 지원
3. 정부의 MDB 협조융자 활성화 방안과 한계
4. 협조융자 및 PPP 활용 사례: 성과와 문제점
5. 한국의 PPP를 통한 ODA 사례의 시사점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