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경제협력, 에너지산업

저자 서정민, 서상현, 김경하, 노다솔, 최이슬 발간번호 22-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2.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50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기후변화에 이어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탈탄소정책은 이제 글로벌 이슈가 되었다.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물론 자원 수출국인 중동 및 북아프리카 주요 국가도 미래의 위기를 준비하는 장기적인 신재생에너지 녹색전환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 환경부는 녹색산업 분류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산업 분야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도 전력 인프라, 전기차, 금융, 수소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주요 국가도 탈탄소화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풍력, 태양광, 수소 등 자신들의 여건에 적합한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장기적인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중장기적 성장전략으로서 신재생 녹색전환전략을 채택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현재 석유 및 천연가스와 같은 전통 에너지에 의존하고 있던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주요 국가가 최근 수소・태양광 등 녹색산업에 집중적인 투자를 추진하는 배경을 조망하고, 해당 지역이 이를 위해 해외 국가 및 기업과 어떠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더욱이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4개국을 선정하고, 해당 국가의 녹색전환 산업 현황과 정책을 조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4개국의 녹색전환 산업역량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 기업과의 협력방안을 도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녹색전환 정책 추진 배경과 현황을 조망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국가전략으로서 한국형 뉴딜이 추진되었고, 이 중 녹색전환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이 포함되었다. 궁극적으로 탄소배출 제로를 달성하고 저탄소 녹색경제로 전환을 가속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제2장은 또 주요국의 녹색전환 현황과 정책을 EU와 미국,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선진국도 모두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욱이 그린경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2장의 3절은 EU와 미국, 그리고 일본, 한국,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4개국 간의 협력현황을 설명하였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EU가 중동 및 북아프리카 국가와의 협력에서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상호 핵심 파트너로서 특히 유럽의 수소수요에 중요한 공급처로 주요 중동 및 북아프리카 국가가 떠오르고 있다.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도 중동 및 북아프리카 국가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2021년 개최된 미국 기후정상회담에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터키, 그리고 이스라엘 정상을 초청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미국은 민간 기업들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 녹색전환 산업 진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미국 산업용 가스 및 화학회사인 에어 프로덕츠(Air Products)는 사우디아라비아 및 오만과의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을 위해 적극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도 UAE 등 중동 국가와 수소 및 수소 암모니아 생산과 운송을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중동의 원유에 의존하고 있는 일본은 이 관계를 녹색전환 분야로 확대하려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사우디와 UAE, 이집트 등과의 협력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가장 활발하게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는 UAE이다.

제3장은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주요 4개국의 녹색전환 산업을 분석하였다. 우선 이집트, 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그리고 UAE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배경과 현황을 조망하였다. 위 4개국도 기존의 화석연료에 의존하던 생산 및 소비 패턴에서 탈피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역량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저산유국 혹은 비산유국인 북아프리카 2개국은 태양광, 풍력 등 저렴한 신재생에너지원을 미래 세대의 에너지원으로 육성하고 있다. 화석연료 자원이 풍부한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태양광 등을 이용해 경제적인 그린수소 생산지로 부상하고 있다. MENA 지역은 태양광 복사량과 풍속이 풍부하여 그린수소 생산비용이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지역에 속하기에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장은 중동 및 북아프리카 4개국의 녹색전환 산업 경쟁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제성지수를 성장성, 특화, 그리고 잠재성으로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정책지수도 법률적 제도와 재정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모든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모로코, 이집트 순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적인 지수를 살펴보면 권역별로 강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먼저 막대한 석유 수출・수입에 기인한 국내 투자의 재원이 풍부한 사우디아라비아와 UAE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이집트와 모로코에 비해 경제성지수에서 비교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국내 투자재원이 부족한 모로코와 이집트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산업 투자에 유리한 제도적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국내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제4장에서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의 거점 국가 선정, 그리고 유망 협력 분야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분야 업계 종사자와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착순 100개의 설문 답변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의 관계성, 교역 대상국의 영향력 등을 기반으로 하는 계층별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외교력, 교역량, 민간교류, 물류 인프라, 입지 및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국내 MENA 전문가와 산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을 활용 거점 후보 국가 선정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과의 관계성과 대상국의 영향력과의 관계에 있어 우리나라와의 관계성이 대상 국가의 영향력 대비 5배 정도 높은 가중치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MENA 전문가들은 대상국의 영향력보다 우리나라와의 관계성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외교력이 교역량 및 민간교류 대비 5배의 가중치를 보였으며, 물류 인프라가 경쟁력 및 지정학적・정치적 안정성 요인보다 7배 정도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음을 보였다.

더불어 100건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국과 협력 가능성이 큰 분야와 제품을 평가하였다. 북아프리카 2개국과 관련된 협력 가능성이 큰 분야는 일조량과 열에너지가 풍부하다는 지정학적 장점을 바탕으로 태양광 및 태양열 사업이 유망 협력사업으로 평가받았다. 해당 지역에서 가장 저평가받은 것은 바이오 분야이다. 유망 친환경 에너지 제품은 태양전지 분야로 나타났다. 태양전지를 제외하고 2차전지, 수소전지, ESS 등은 5점대로 평이한 점수를 보였다. 중동 2개국 사우디아라비아와 UAE에 있어서도 태양광과 태양열 사업이 가장 유망 협력 분야로 선정되었다. 위의 2개국에서 협력이 유망한 녹색전환 관련 제품은 스마트 그리드, 태양전지 그리고 ESS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주요국 녹색전환 정책 및 산업분석, 주요 4개국 해당 산업 경쟁력 분석, 그리고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망 협력 분야 및 제품을 바탕으로 MENA 주요국이 추진하고 있는 산업다각화 노력과 우리의 탈탄소 산업화 전략에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 제언은 1)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중장기 전담 TF 구성 2) 해당국과 포괄적 상생협력모델 구축 3) 선진국 혹은 업체와 동반진출 모색 4) 정상외교의 Top-Down 접근법 확대 5) 녹색전환 (역)로드쇼 정례적 추진 그리고 6) 유관 분야 네트워크 구축 및 전문인력 양성이다.
In coping with the energy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he Ukraine crisis, decarbonization policies have now become a global issue. Korea, which imports a large part of its energy, as well as majo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which are resource exporters, are establishing long-term renewable energy green transformation strategies to prepare for future cris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has established a gree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and is preparing standards for various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ies.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are also striving to increase our competitivenes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wer infrastructure, electric vehicles, finance, and hydrogen industries.

 Majo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re also pursuing long-term plans to intensively foster industries suitable for their conditions, such as wind power, solar power, and hydrogen, in order to transform into a decarbonized economy. The region has also adopted a green transformation strategy as a mid- to long-term growth strategy while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y major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countries, which have relied on traditional energy such as oil and natural gas, have recently conducted intensive investment in green industries such as hydrogen and solar power, and to find out how the region is seeking cooperation. Moreover, this study selected fou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rough a survey,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of the green transformation industry of the selected countries. Finally, the green conversion industry capabilities of the above four countrie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cooperation strategies with Korean companies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Chapter 2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Korea's green conversion policy. As a new national strategy in the post-corona era, the Korean New Deal was promoted, and the green transformation became an important factor. The ultimate goal is to achieve zero carbon emissions and accelerate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green economy. Chapter 2 also analyzed the status and policies of green transformation in major countries, focusing on the EU,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ll of these developed countries are also aiming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crisis and transform themselves into a sustainable society. Moreover, it can be seen that a large-scale investment program is being implemented to promote the green economic transition.

Section 3 of Chapter 2 explains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hree major countries above, Korea, and fou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European countries, which are adjacent to the Middle East geographically, are the most active in cooperation with Middle East and North African countries. Major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countries are emerging as key mutual partners, especially as important suppliers for European hydrogen demand.

The Biden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is also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e United States invited the leaders of Saudi Arabia, the United Arab Emirates, Turkey and Israel to discuss ways to cooperate at the 2021 U.S. climate summit. In the United States, private companies are particularly active in entering the green transformation industry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ir Products, a U.S. industrial gas and chemical company, is actively cooperating with Saudi Arabia and Oman for hydrogen and ammonia production.

Japan is also accelerating efforts to produce and transport hydrogen-free ammonia in Middle Eastern countries such as the UAE. Historically reliant on Middle East crude oil, Japan is working on a strategy to expand this relationship to green areas. Korea is also preparing various measures for cooperation with Saudi Arabia, UAE, and Egypt at the government and corporate level, and the country that is most actively promoting cooperation is UAE.

Chapter 3 analyzed the green conversion industries in four majo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Egypt, Morocco, Saudi Arabia, and UAE. The above four countries are also pursuing strategies to secure eco-friendly and sustainable industrial capabilities by breaking away from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that relied on existing fossil fuels. Two North African countries, low or non-acid oil countries, are fostering inexpensive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as energy sources for future generations. Saudi Arabia and the UAE in the Middle East, which are rich in fossil fuel resources, are emerging as green hydrogen production sites using solar energy. The MENA area is rich in solar radiation and wind speed, presenting favorable conditions to secure competitiveness as one of the cheapest areas in the world for green hydrogen production.

Chapter 3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the green transformation industry in fou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economic index utilized in this quantitativ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growth, specialization, and potential, and the policy index was also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legal systems and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onsidering all aspects comprehensively, potential i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is high in the order of Saudi Arabia, UAE, Morocco, and UAE. However, looking at the detailed index,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trengths by region. First of all, Saudi Arabia and UAE, which are rich in domestic investment due to huge oil exports and imports, were evaluated to have a comparative advantage in economic index over Egypt and Morocco. On the other hand, Morocco and Egypt, which relatively lack domestic investment resources, seem to be actively attracting domestic and foreign investment by creating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favorable to investment i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Chapter 4 analyzes surveys to select base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nd to derive promising cooperation fields with statist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in related fields at home. 100 survey answers were analyz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The survey adopted a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AHP) method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Korea and the influence of trading partners. Considering diplomatic power, trade volume, private exchange, logistics infrastructure, location and stability, the market was subdivided. An analysis of the selection of candidates for bases using the AHP was conducted on domestic MENA and industry exper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relationship with Korea has a weight about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target count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influence of the target countr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Korean MENA experts focus more on relations with Korea than on the influence of the target country. It also showed that diplomatic power weighed five times more than trade volume and private exchange, and that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was evaluated seven times more important than competitiveness, geopolitical, and political stability factors.

In addition, based on 100 questionnaires, fields and products with high potential for cooperation with Korea were evaluated. The solar heat and light fields were evaluated as promising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the geopolitical advantages of abundant sunlight and thermal energy in areas with high potential for cooperation with two North African countries. The area's most undervalued area is the bio sector. Promising eco-friendly energy products have emerged in the solar cell sector. Except for solar cells, secondary batteries, hydrogen cells, and ESSs showed normal scores in the 5-point range. In Saudi Arabia and the UAE, two Middle Eastern countries, solar and solar projects were also selected as the most promising areas of cooper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products related to green transformation, which are promising to cooperate in the above two countries, are smart grids, solar cells, and ES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green transformation policies and environments in major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analysis of industry competitiveness of the major countries, and the extraction of possible fields and products of cooperation via survey questionnaires, this research has presented some suggestions which may contribute to mutual benefits towards MENA's industrial diversification efforts and our decarbonization strategy. The main suggestions are 1) forming a mid- to long-term dedicated TF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win-win cooperation model with the countries, 3) seeking to advance together with advanced countries or companies, 4) expanding top-down approaches of summit diplomacy,  5) holding regular green transformation (reverse) roadshows, and 6) building networks and training professionals in the related field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3. 연구 방법
4.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2장 녹색전환 산업의 이해
1. 한국의 녹색전환 정책 추진 배경과 현황
2. 주요국의 녹색전환 정책 현황 분석
3. 주요국과 MENA 지역 4개국 ‘그린딜 협력’ 현황 및 사례

제3장 MENA 지역 녹색전환 산업 현황 및 전망
1. MENA 지역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대두
2. MENA 지역 4개국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현황
3. MENA 지역 4개국 녹색전환 산업 경쟁력 분석

제4장 한-MENA 녹색전환 협력방안
1. 설문조사 분석: 협력 거점국 선정 및 유망 협력 분야 도출
2. 한-MENA 지역 4개국 분야별 협력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