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연구브리핑

발간물

권율

  • Post-2015 개발재원 확대 논의와 한국의 대응방안

    ■ 밀레니엄개발목표(MDG: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달성 시한을 1년 남겨 두고, 국제사회는 2015년 이후의 개발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 ■ Post-2015 개발 프레임워크는 인권·평등·지속가능성의 3대 기본 원칙하에 “지속가능..

    정지원 외 작성일 2015.01.13 조회수 2,556

    다운로드

  • 다자원조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통합추진전략

    ■ 한국은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 등을 계기로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다자원조에 대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이고 통합된 전략이 부재한 상황임.- 2010년 10월 국제개발협력위원회에서 채택된 ‘..

    권율 외 작성일 2014.01.29 조회수 2,902

    다운로드

  • 동남아의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안

    ■ 동남아시아 지역은 국별로 경제규모와 경제발전단계가 상이하고, ASEAN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경제통합이 본격화되면서 역내 개발격차 완화와 성장기반 확충을 위한 개발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음. - 동남아 국가 중에서 미얀마, 라오스, 캄..

    권율 외 작성일 2013.01.15 조회수 3,541

    다운로드

  • 최빈개도국 개발과제와 한국의 ODA 정책방향

    ■ 그동안 국제사회는 2015년까지 절대빈곤층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새천년개발목표(MDG)를 설정하고, 최빈개도국의 빈곤퇴치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음.   ■ 그러나 최빈개도국의 절대적 빈곤, 낙후된 경제구조..

    권율 외 작성일 2013.01.15 조회수 4,307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