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는 한국기업의 경영 세계화를 위한 국경간 제휴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간 기술발달 및 기술공유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보고서는 삼국 강대국에서 벗어나 약소국에게 전망을 제공하려고 한다. 보고서에서 제기된 세가지 주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세계환경이 앞으로 한국 경영시스템과 한국 정부의 무역 및 산업정책에 어떠한 시사점을 가지는지 묻고 있다. 두 번째 정부가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어떻게 참여해왔는지, 한국의 투자환경 자유화가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지적재산권이 충분히 보호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함으로써 기술제휴구조 원활화에 대한 정부 역할을 검토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사업 활동의 국제적 성격이 증가함에 따라 고기술 교역에서 발생하는 양자간 무역마찰에 대처하는데 있어 WTO에서 표명한 국제교역 규칙이 효과적이며 객관적인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ross-border alliances ad catalysts for Korean firms in globalizing their business operations, especially in the Asia-Pacific region, and as strategies for their technology development and technology sharing.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provide a perspective from a small country outside of the Triad powers. The three central questions raised in this paper are: One, I ask what implications the dynamically changing global environment have for the Korean management system and for the trade and industrial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future. Two, an attempt is made to examine the role of the Korean government in facilitation the formation of technology alliances by asking how it has participated in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the firm, and whether it has liberalized Korea's investment climate and properly protec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a sufficient degree. Finally, due to the increasingly global nature of business activities, I question whether the rules of international trade manifested in the WTO are effective and objective in coping with bilateral trade disputed occurring in high-technology trade.
Contents
Section I. Introduction
Section II. Growing Asia-Pacific Markets in the World Economy
Section III. Globalization and Technology Alliance in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Section IV. Semiconductors and Trade Disputes Search for a Multilateral Re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