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상하이 시 문화산업 현황과 시사점 산업정책, 외국인직접투자

저자 노수연 발간번호 13-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3.09.24

원문보기(다운로드:3,02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전 세계적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부가가치가 높고 친환경적이며 고용창출효과 또한 높은 문화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역시 경제성장을 견인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문화산업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2015년 중국은 미국, 일본과 함께 세계 3대 문화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최근 우리 문화기업의 중국 진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상하이 시는 현재 중국에서 문화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이자, 향후 성장 가능성과 인근 지역으로의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하이 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중국 및 상하이 시 문화산업 진출을 추진하는 우리 기업과 이를 지원해야 하는 우리 정부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배경과 목적, 선행연구, 연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상하이 시의 문화산업 현황과 특징, 한국과 상하이 시 간의 교류현황을 분석하였다. 상하이 시 문화산업은 첫째, 상하이 시 정부가 문화산업체제의 개혁을 다양하게 시도해 왔고, 둘째, 업종별로 기업 소유제가 특화되어 있으며, 셋째, 문화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3장에서는 상하이 시 정부의 문화산업 육성정책과 상하이 시 현지 기업 및 외국계 기업의 사례를 글로벌 협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상하이 시 정부는 자금지원과 문화산업기지 건설, 문화 인프라 구축 등의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또한 SMG, CMC, Shendi, Shanda, SFG, SSCEG 등 각 업종의 대표적인 로컬 기업은 글로벌 협력에 적극적이다. 외국 기업 역시 제한적이기는 하나, 주로 로컬기업과의 합자 형태로 상하이 시 문화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마지막 4장에서는 상하이 시 문화산업의 육성 현황과 방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우리 정부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상하이 시 및 중국의 문화산업에 진출하려는 우리 기업은 첫째, 중국 문화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복수(複數)의 진입 전략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둘째, 중국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간의 정책 시행에 차이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셋째, 입지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정책적 우대를 기대하기보다는 지역시장의 산업 환경과 성장 가능성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넷째, 현지 시장에서 영향력 있는 로컬 기업을 파트너로 선택해야 한다. 다섯째,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진출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상하이 시의 유망지역과 유망업종을 적극 공략해야 한다. 일곱째, 지적재산권 보호와 관련해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여덟째, 단기적인 수익이 아닌 장기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중국 문화시장에 진출해야 한다. 
상하이 시 및 중국에 진출하는 우리 문화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첫째, 정부 차원의 협력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한․중 문화기업 간의 협회 및 기관을 설립해 상호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중국에 이미 진출해 있는 문화관련 기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한․중 양국 국민의식을 전환해 양국 문화산업의 동반성장을 유도해야 한다.

As “green growth” becomes more important, interests in the culture industry which is highly value-adding, eco-friendly, and job-creating have increased. China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culture industry as a new engine of the sustainable growth. As China is expected to stand with U.S. and Japan as a big market for culture industry, Korean firms have stronger interests in entering China’s culture industry.
Specifically, Shanghai is one of the regions that have witnessed rapid growth in culture industry. The city’s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has generated extensive economic and social spillover effects to nearby regions and the potential for further growth in Shanghai seems to continue in the future. Examining the experience of Shanghai, our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Korean firms which have prepared for entry into China (including Shanghai) as well as for the Korean government which supports Korean firms.
This manuscript is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1, we provide research background, motivation, summary of prior research, and research methodology. In Chapter 2, we introduce the current snapshot for culture industry in Shanghai and analyze what is ongoing between Korea and China (Shanghai). The dynamic growth for culture industry in China has been explained broadly by three reasons. First, Shanghai municipality has attempted to restructure the culture industry with varying approaches; second, specific types of ownership are dominant in each sub-industry and; third, Shanghai residents have been strongly interested in consuming the cultural goods. In Chapter 3, we analyze the policies to promote culture industry, which were designed by Shanghai municipality, and examine cases on cooperation between the local firms and foreign firms. Shanghai municipality has been active in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through financial supports, construction of culture industry complex, and building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addition, the leading Chinese firms in Shanghai such as SMG, CMC, Shendi, Shanda, SFG, or SSCEG highly welcome global cooperation. Foreign firms have entered the culture industry in Shanghai by establishment of joint venture, although few joint ventures are found.
Finally in Chapter 4, we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direction for culture policy in Shanghai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Korean firms and government. We also address limitations for this study.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가. 연구 배경과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 방법과 구성 


제2장 상하이 시 문화산업의 현황 
1. 상하이 시 거시경제와 문화산업의 성장 
2. 중국에서 차지하는 비중 
가. 전체 
나. 세부업종 사례: 방송‧영화산업 
3. 상하이 시 문화산업의 특징 
가. 문화산업체제의 다양한 개혁 시도 
나. 업종별로 특화된 기업 소유제 
다. 문화소비에 대한 높은 관심 
4. 한국과의 교류 현황 
가. 무역 
나. 투자 


제3장 정부의 육성정책과 기업의 글로벌협력 
1. 정부의 육성정책 
가. 12·5계획 기간(2011~15년) 육성계획 
나. 자금 지원 
다. 문화산업기지 건설 
라. 문화 인프라 구축 
2. 기업의 글로벌 협력 
가. 로컬 기업의 글로벌 협력 
나. 외국 기업의 진출 


제4장 결론 
1. 상하이 시 문화산업의 종합평가 
2. 시사점 
가. 정부에 대한 시사점 
나. 기업에 대한 시사점
3. 후속 과제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3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연구자료 국내 전략산업 투자유치 인센티브 개편 방향 2023-12-08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