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기본적으로 미국의 대외통상정책 규제에 대한 권한은 의회에 있다. 즉, 외국과의 통상을 규제하는 법률제정권이 의회에 있으며, 의회가 행정부에 권한을 위임하지 않는 한 대통령은 외국과의 통상에 관한 새로운 법률을 제안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규정 때문에 미국 통상정책의 최종적인 권한은 의회에 있으며 의회가 전권을 행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로 인해 미국의 의회선거 여부에 따라 미국의 경제정책은 물론 대외통상정책이 변화하며, 전세계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줌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각국은 미국의 의회선거는 물론 대선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생략)
Basically, the U.S. trade policy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gress. Therefore, depending on the dynamics of the congress election, economic and trade policy of the U.S. is greatly influenced by its majority party. The Democratic Party won a majority of the state governorships and the U.S. House and Senate seats each last Nov. 7 2006, ending 12 years of Republican rule.
By the way, members of the Democratic and Republican Congressional leadership led by the Speaker of the House Nancy Pelosi joined with key Administration officials on May 10 2007 to announce an agreement on a new trade policy for America. The agreement announced was a fundamental shift in U.S. trade policy. (The rest is omitted.)
By the way, members of the Democratic and Republican Congressional leadership led by the Speaker of the House Nancy Pelosi joined with key Administration officials on May 10 2007 to announce an agreement on a new trade policy for America. The agreement announced was a fundamental shift in U.S. trade policy.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민주당 경제정책 및 주요 대선후보의 정책 비교
1. 민주당의 비전 및 공약
2. 주요 대선 후보의 정책 방향
제3장. 민주당과 공화당의 주요정책 비교
1. 대외통상정책
가. 무역 및 투자 현황
나. 양당의 정책기조
2. 재정정책
가. 재정수지 및 소득불평등 현황
나. 양당의 정책
3. 환경 및 에너지 정책
가. 미국의 에너지소비 현황
나. 양당의 정책기조
다. 기후변화에 대한 미국 의회의 최근 움직임
4. 의료제도 개혁
가. 미국의 의료제도 현황
나. 양당의 입장 차이
제4장. 민주당의 향후 경제정책 기조와 통상정책 방향
1. 해밀턴 프로젝트
가. 해밀턴 프로젝트의 기본원칙
나. 주요 정책제안
2. 미국의 신통상정책
가. 합의 내용
나. 각계의 반응
제5장. 110차(2007~2008) 의회 주요 의결 사안
1. 최저임금 인상법안
2. 이라크 철군 조건 전비법안
3. 무역증진권한 연장 여부
제6장. 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
1. 최근 한ㆍ미 경제 현안 및 전망
가. 한ㆍ미 교역 및 투자 현황
나. 한ㆍ미 FTA 협상 결과 및 최대 현안
2. 대응방향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민주당 경제정책 및 주요 대선후보의 정책 비교
1. 민주당의 비전 및 공약
2. 주요 대선 후보의 정책 방향
제3장. 민주당과 공화당의 주요정책 비교
1. 대외통상정책
가. 무역 및 투자 현황
나. 양당의 정책기조
2. 재정정책
가. 재정수지 및 소득불평등 현황
나. 양당의 정책
3. 환경 및 에너지 정책
가. 미국의 에너지소비 현황
나. 양당의 정책기조
다. 기후변화에 대한 미국 의회의 최근 움직임
4. 의료제도 개혁
가. 미국의 의료제도 현황
나. 양당의 입장 차이
제4장. 민주당의 향후 경제정책 기조와 통상정책 방향
1. 해밀턴 프로젝트
가. 해밀턴 프로젝트의 기본원칙
나. 주요 정책제안
2. 미국의 신통상정책
가. 합의 내용
나. 각계의 반응
제5장. 110차(2007~2008) 의회 주요 의결 사안
1. 최저임금 인상법안
2. 이라크 철군 조건 전비법안
3. 무역증진권한 연장 여부
제6장. 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
1. 최근 한ㆍ미 경제 현안 및 전망
가. 한ㆍ미 교역 및 투자 현황
나. 한ㆍ미 FTA 협상 결과 및 최대 현안
2. 대응방향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08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Working paper
Resilience of Faith: Post-Covid Religious Trends and the Effect of Ecclesiastic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2023-12-29
연구보고서
빅데이터 기반의 국제거시경제 전망모형 개발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30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