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중국은 역사적으로 과학기술이 매우 뛰어났고 특히 중국인의 우주과학에 대한 관심은 기원전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은 경제적으로는 후진국이지만 구소련, 미국, 일본, 프랑스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인공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킨 우주과학의 선진국이 되었다.
1970년 4월에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동방홍 1호가 국산 로켓 장정 1호로 발사된 이래 1990년 4월 장정 4호에 의해 극궤도 기상위성 풍운 2호가 발사되기까지 모두 27기의 로켓으로 30개의 통신, 기상, 자원 및 정찰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1986년부터 중국은 세계의 상업위성발사대행업 추세에 편승하여 국제적 수주경쟁과 홍보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1970년 4월에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동방홍 1호가 국산 로켓 장정 1호로 발사된 이래 1990년 4월 장정 4호에 의해 극궤도 기상위성 풍운 2호가 발사되기까지 모두 27기의 로켓으로 30개의 통신, 기상, 자원 및 정찰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1986년부터 중국은 세계의 상업위성발사대행업 추세에 편승하여 국제적 수주경쟁과 홍보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China has a distinguished scientific technique history, particularly in space science. In spite of its backward economy, China is ahead in terms of space science putting the fifth satellite in orbit in the world, following after the former-Soviet Union, the U.S., Japan and France. China launched its first satellite in 1970, a second satellite in 1990 and 27 rockets fired 30 satellites for communication, weather and eye-in-the-sky satellites. Since 1986, China has participated actively in international order competitiveness and public relation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world agency business of commercial satellite launching.
The rest of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The next section will review the basis and mechanism of China's technology absorption policy. Section III will look at the transition, result and prospect of China's technology absorption. Section IV will deal with the problem and prospect of Sino-Japanese technology cooperation. Finally, based upon their experience, this paper will discuss the Korean policy implications and countermeasures.
The rest of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The next section will review the basis and mechanism of China's technology absorption policy. Section III will look at the transition, result and prospect of China's technology absorption. Section IV will deal with the problem and prospect of Sino-Japanese technology cooperation. Finally, based upon their experience, this paper will discuss the Korean policy implications and countermeasures.
序 言
Ⅰ. 중국의 技術導入政策 배경
Ⅰ.1. 중국의 科學技術 수준
Ⅰ.2. 중국의 과학기술정책과 기술도입
Ⅰ.3. 과학기술개혁정책과 기술도입환경 변화
Ⅱ. 중국 기술도입정책의 基調와 메카니즘
Ⅱ.1. 기술도입정책의 목표와 원칙
Ⅱ.2. 도입기술 선택의 기준
Ⅱ.3. 기술도입정책결정 제도와 과정
Ⅱ.4. 기술도입정책결정의 구조적 특징
Ⅲ. 중국의 기술도입 추이, 성과 및 전망
Ⅲ.1. 공업현대화와 기술도입 문제
Ⅲ.2. 기술도입 推移
Ⅲ.3. 기술도입의 성과와 전망
Ⅳ. 中日기술협력의 문제 및 전망
Ⅳ.1. 일본의 對中 투자 및 기술이전
Ⅳ.2. 중일기술협력의 방법과 내용
Ⅳ.3. 중일기술협력의 문제점: 事例를 중심으로
Ⅳ.4. 중일기술협력의 中長期 전망
Ⅴ. 정책적 시사점 및 대응
Ⅴ.1. 韓 · 中 기술도입의 비교
Ⅴ.2. 한국의 기술도입 문제점
Ⅴ.3. 한국의 정책대응
참고문헌
Ⅰ. 중국의 技術導入政策 배경
Ⅰ.1. 중국의 科學技術 수준
Ⅰ.2. 중국의 과학기술정책과 기술도입
Ⅰ.3. 과학기술개혁정책과 기술도입환경 변화
Ⅱ. 중국 기술도입정책의 基調와 메카니즘
Ⅱ.1. 기술도입정책의 목표와 원칙
Ⅱ.2. 도입기술 선택의 기준
Ⅱ.3. 기술도입정책결정 제도와 과정
Ⅱ.4. 기술도입정책결정의 구조적 특징
Ⅲ. 중국의 기술도입 추이, 성과 및 전망
Ⅲ.1. 공업현대화와 기술도입 문제
Ⅲ.2. 기술도입 推移
Ⅲ.3. 기술도입의 성과와 전망
Ⅳ. 中日기술협력의 문제 및 전망
Ⅳ.1. 일본의 對中 투자 및 기술이전
Ⅳ.2. 중일기술협력의 방법과 내용
Ⅳ.3. 중일기술협력의 문제점: 事例를 중심으로
Ⅳ.4. 중일기술협력의 中長期 전망
Ⅴ. 정책적 시사점 및 대응
Ⅴ.1. 韓 · 中 기술도입의 비교
Ⅴ.2. 한국의 기술도입 문제점
Ⅴ.3. 한국의 정책대응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특허자료를 이용한 중국으로의 지식 확산 경로 분석 연구
2018-12-28
연구자료
한국ㆍ베트남 환경교육협력방안 연구(Ⅰ): 공무원 환경교육 프로그램 작성 및 시범운영
2010-12-30
연구자료
한·중미 IT 산업협력 확대방안
2010-12-30
연구자료
한·중미 중소기업협력 확대방안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서부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북부
2010-12-30
연구자료
인도 권역별 진출환경 평가: 동부
2010-12-30
연구보고서
Challenges for APEC in 1997 : A Canadian Viewpoint
1997-12-12
연구보고서
표준ㆍ적합 및 기술장벽 : EU의 경험과 APEC에의 시사점
1996-12-28
연구보고서
공동연구개발과 국제적 라이센스 계약에 관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1995-11-29
연구보고서
기술표준의 국제적 현황과 정책시사점
1994-12-30
연구보고서
기술장벽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대응방안 : 표준ㆍ기술규정ㆍ인증 등 관련 제도를 중심으로
1991-12-30
연구보고서
韓ㆍ中ㆍ日 IT산업의 戰略的 提携 현황과 향후 전략: 知識連繫를 중심으로
2002-12-30
지역연구시리즈
남북통일에 대비한 정보통신정책 협력방안
2001-12-30
APEC Study Series
Digital Divide in the APEC: Myth, Realities and A Way Forward
2000-12-30
APEC Study Series
Digital Divide in the APEC: Myth, Realities and A Way Forward
2000-12-30
연구자료
한·러 경제교류 10년의 평가와 러시아 경제의 미래
2000-09-27
연구보고서
21세기를 향한 한.일간 기술분업과 기술협력의 기본방향
1993-12-31
Policy Analysis
APEC 역내 과학기술자교류 저해요인 조사연구
1998-10-31
연구보고서
Technology Cooperation in the APEC: Case of the APII
1998-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