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동구 경제체제전환의 평가와 북한경제에 대한 시사점 경제개혁, 북한경제

저자 정여천 발간번호 00-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49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1990년을 전후하여 발생한 정치적 변혁의 과정에서 기존의 사회주의 이념과 체제가 부정된 결과, 구동구권 국가들에서는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를 폐기하고 서구적인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면적인 경제체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모든 구동구권 국가들에서는 경제활동의 자유화, 거시경제적 안정화, 국유기업의 사유화 및 시장인프라의 구축이 경제체제전환의 기본방향이 되었으나, 구체적인 체제전환의 전략과 정책은 각국의 정치적 상황 및 경제적 여건의 차이를 반영하여 약간씩 다른 양상을 보였다.

1990년대의 10여 년 동안 구동구권 국가들에서 진행된 경제체제전환은 그 성과에 있어서 국가별, 지역별로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격차를 야기한 요인으로서 체제전환정책의 구체적인 내용과 각국의 정치, 경제적 초기여건의 차이를 들 수 있는 바, 체제전환정책에는 각국 나름의 특수한 초기여건이 반영되어 있었다는 관점에서, 경제체제전환의 과정과 성과에 영향을 미친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결국 초기여건이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중국, 베트남과 같은 아시아 사회주의 국가들의 경험을 같이 고려할 때, 초기여건이 경제체제전환의 과정과 성과에 미친 영향은 더욱 명백해진다.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의 본질적인 결함과, 수입 에너지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제구조는 북한의 경제성장을 가로막는 기본적인 장애요인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북한은 조만간 시장경제의 요소를 받아들이는 방향으로경제개혁과 개방에 착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구체적인 개혁방향을 선택하는데는 정치적인 안정에 대한 보장이 우선적인 제약조건으로 작용할 것이다. 북한경제는 중공업 위주로 편중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격구조의 왜곡은 체제전환 초기의 구동구권 국가들에서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구동구권과 유사한 형태의 전면적, 급진적인 경제체제의 전환은 북한경제를 극심한 혼란에 빠뜨릴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농업의 비중이 비교적 낮고 잘 조직화되어 있는 북한의 경제구조로 인해 농업분야의 유휴노동력을 이용해 경공업을 육성한 중국식 경제개혁 전략 역시 북한에 그대로 적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향후 북한의 경제개혁은 중공업분야에서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을 시행해 나가면서, 서비스업 및 경공업분야에서 존재하는 지하경제 활동을 공식화·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만일 이러한 개혁의 실행이 정권의 안정을 위협하지 않을 경우, 북한 당국은 과거 중국에서보다도 오히려 신속한 경제자유화와 안정화정책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대북한정책이 남북한 체제의 수렴을 통한 점진적인 통일을 지향하는 한, 향후 대북한 경제정책은 북한경제의 시장화와 산업구조조정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ransformation of the Economic System in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North Korean Economy
Yeo-Cheon Jeong

In the early 1990s, every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y (CEECs) which belonged to the former Eastern Bloc started transforming from a socialist planned economy to a capitalist market economy.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preceding revolutionary political changes in CEECs in the process of which old socialist ideology was discarded. As every CEEC pursued the same goal - establishment of a market economy - the basic directions of economic transformation consisted of the same elements: liberalization of economic activities, macroeconomic stabilization, privatization of state enterprises, and introduction of a market infrastructure. However, the strategies and concrete policy measures applied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reflecting each individual country's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Although evolution of CEECs' economies under central planning had been tightly interwined due to structural and systemic factors, and the basic direction of economic reform was the same in every country, the outcomes of 10 years of economic transformation in CEECs during the 1990s show a considerable discrepancy among regions and countrie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On the whole, it could be said that Central European countries such as Hungary, Poland and the Czech Republic show better achievements in market institutionalization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than countries of the former Soviet Union.

Differences in policy measures and initial conditions are regarded as two key factors which caused discrepancies in the outcomes of economic transformation among CEECs. Yet, as policy measures applied in CEECs reflected their initial conditions, the initial condition i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which affected processes and outcomes of economic transformation in CEECs. Taking the experiences of Asian socialist countries such as China and Vietnam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initial conditions on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economic transformation becomes more clear.
Defects inherent to the socialist planned economic system and the structural dependency on imported energy resources are two basic obstacles hampering North Korea's economic growth. Therefore, it seems inevitable for North Korea to reform its economy sooner or later, if it could be normalized and grow. In any case, the direction of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will be bound to introduce market elements into its planned economy. However, prospect for the regime's stability will play a decisive role in choosing concrete reform measures in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economy is heavily distorted. First of all, disproportionate emphasis is placed on heavy industry, and the price structure is more seriously distorted than in CEECs at the beginning of 1990s. Taking these structural distortions into account, an overall economic transformation a la CEECs will definitely lead the North Korean economy into a chaotic situation.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s agricultural sector is more tightly planned and organized, and accounts for a much smaller share of the national economy than in China. Therefore, the Chinese reform strategy of the early 1980s which promoted light industry by using unemployed and chief human resourc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doesn't seem to fully fit North Korea.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is expected to begin with restructuring heavy industry and promoting light industry, especially in export-oriented sectors. In order to meet these goal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uld allow individual state-owned enterprises in heavy industry more initiative in their activities. As a further step, black market activities in the service sector and light industry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flourishing in North Korea since the mid-1990s, could be officially allowed. If these reform measures prove to be unharmful to the regime's stabilit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uld take bolder measures in liberalizing economic activities and correcting macroeconomic disequilibrium than have been taken in China since the late 1970s.

As long as reunification through gradual system convergence between the two Koreas remains a basic principle of North Korean policy,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economic policy toward North Korea should focus on marketizing and restructuring the North Korean economy. Measures such as direct investment in North Korea in the field of export-oriented light indusry and multi-party cooperation projects among South and North Korea and China, Russia or Japan to modernize North Korea's industrial facilities are advisable.
제1장 서론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방법 및 주요 내용

제2장 구동구권 경제체제전환의 과정
1. 경제체제전환의 원인
2. 경제체제전환의 목표와 방향
3. 경제체제전환의 전략과 정책

제3장 동구권 경제체제전환의 성과
1. 경제체제 전환정책의 효과
2. 동구 경제체제전환의 성과
3. 국가별 경제체제전환의 성과

제4장 동구권 경제체제전환의 평가
1. 국가별 경제체제전환 성과의 차이와 그 원인
2. 구동구권 경제체제전환의 평가와 시사점

제5장 북한 경제의 초기여건
1. 북한체제의 변화 가능성과 방향
2. 북한 경제체제전환의 초기여건

제6장 동구 경제체제전환이 북한의 경제개혁에 주는 시사점
1. 초기여건과 경제개혁의 방향
2. 對북한 정책에 대한 시사점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Policy Analysis The Income-led Growth in Korea: Statu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Countries 2020-10-08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연구보고서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 협력의 비전: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2020-11-30 전략지역심층연구 체제전환국의 민간기업 및 기업가 육성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연구: 러시아,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2020-08-31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0-08-03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