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국가경쟁력이란 기업이 다른 나라의 기업들과 세계시장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게 하는 효율적인 사회구조, 제도 및 정책을 제공하는 국가의 총체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지난 7월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세계경쟁력보고서(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에 의하면 1999년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22위로 전년의 19위에 비해 3단계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4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은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5년 연속 하락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최근 수년간 하락세를 보였다는 사실은 비록 외환위기라는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함에 따른 일시적인 경쟁력 약화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싱가포르, 대만 등 경쟁국들이 외환위기를 비켜간 반면에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직접 경험했다는 사실은 구조적으로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회복뿐 아니라 제고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정부는 기업활동에 적합한 최적의 사업환경을 창출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정책, 제도개선 노력만으로는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각 경제주체들의 자발적인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경쟁력의 제고를 위해 ▲ 글로벌 통합추세, 정보기술의 혁신적 발달 등 향후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요인에 대비하고, ▲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최대 취약점으로 지적된 각 부문별 항목을 집중적으로 보완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 국가경쟁력의 시스템 디자이너로서 정부의 역할을 증대하고, ▲ 지속적인 개혁추진을 통해 대외신뢰도를 제고시켜야 하며, ▲ 정부의 제도개선 상황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의 전략적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최근 수년간 하락세를 보였다는 사실은 비록 외환위기라는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함에 따른 일시적인 경쟁력 약화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싱가포르, 대만 등 경쟁국들이 외환위기를 비켜간 반면에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직접 경험했다는 사실은 구조적으로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회복뿐 아니라 제고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정부는 기업활동에 적합한 최적의 사업환경을 창출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정책, 제도개선 노력만으로는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각 경제주체들의 자발적인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경쟁력의 제고를 위해 ▲ 글로벌 통합추세, 정보기술의 혁신적 발달 등 향후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요인에 대비하고, ▲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최대 취약점으로 지적된 각 부문별 항목을 집중적으로 보완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 국가경쟁력의 시스템 디자이너로서 정부의 역할을 증대하고, ▲ 지속적인 개혁추진을 통해 대외신뢰도를 제고시켜야 하며, ▲ 정부의 제도개선 상황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의 전략적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of the WEF
Yunjong Wang·Dongwha Shin·Hyongkun Lee
National competitiveness may be defined as a country's ability to create an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policy and support systems and by possessing a stable and effective social structure, which allows a company, from that country, to hold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published by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in July of this year, Korea ranked 22nd in 1999, down three places when compared to last year's ranking. In addition to this, in April,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announced that Korea's competitiveness has continually de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is sluggishness and decline in Korean competitiveness was brought about by the adverse economic conditions created by the 1997 financial crisis. However, while Korea suffered through this crisis, some of its competitors, such as Singapore and Taiwan, did not.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Korea's diminished competitiveness may have, in fact, at least indirectly contributed to the advent of the crisis.
If this is the case, what should Korea do in order to not only recover but to als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First of all,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reate more favorable optimal business environment. Secondly, every economic body should voluntarily put more effort into improving competitiveness because improving competitiveness only through government policy and institutional reform has limitations.
In addition to improving national competitiveness we should undertake the following strategic measures:-Prepare for influences, such as integration trends in the global market and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easily affect national competitiveness -Put more effort and focus into intensivel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each item identified as a weakness i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Increase the role of government as a system designer for national competitiveness.-Improve external credibility through continued reform-Publicize the ongoing Korea's structural reform process
Yunjong Wang·Dongwha Shin·Hyongkun Lee
National competitiveness may be defined as a country's ability to create an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policy and support systems and by possessing a stable and effective social structure, which allows a company, from that country, to hold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published by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in July of this year, Korea ranked 22nd in 1999, down three places when compared to last year's ranking. In addition to this, in April,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announced that Korea's competitiveness has continually de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is sluggishness and decline in Korean competitiveness was brought about by the adverse economic conditions created by the 1997 financial crisis. However, while Korea suffered through this crisis, some of its competitors, such as Singapore and Taiwan, did not.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Korea's diminished competitiveness may have, in fact, at least indirectly contributed to the advent of the crisis.
If this is the case, what should Korea do in order to not only recover but to als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First of all,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reate more favorable optimal business environment. Secondly, every economic body should voluntarily put more effort into improving competitiveness because improving competitiveness only through government policy and institutional reform has limitations.
In addition to improving national competitiveness we should undertake the following strategic measures:-Prepare for influences, such as integration trends in the global market and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easily affect national competitiveness -Put more effort and focus into intensivel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each item identified as a weakness i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Increase the role of government as a system designer for national competitiveness.-Improve external credibility through continued reform-Publicize the ongoing Korea's structural reform process
Ⅰ. 서론
Ⅱ. 국가경쟁력의 개념과 WEF의 평가방법
1. 국가경쟁력의 개념
2. WEF의 국가경쟁력 평가방법
Ⅲ.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현황
1.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 추이
2.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구조: 강점과 약점
Ⅳ. 향후의 국가경쟁력 결정요인
1. 미시적 역량
2. 혁신역량
3. 세계경제 흐름파악 역량
Ⅴ. 국가경쟁력 제고 방안
1.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향
2. 전략적 제고방안
3. 정책적 제고 방안
參考文獻
Executive Summary
Ⅱ. 국가경쟁력의 개념과 WEF의 평가방법
1. 국가경쟁력의 개념
2. WEF의 국가경쟁력 평가방법
Ⅲ.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현황
1.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 추이
2.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구조: 강점과 약점
Ⅳ. 향후의 국가경쟁력 결정요인
1. 미시적 역량
2. 혁신역량
3. 세계경제 흐름파악 역량
Ⅴ. 국가경쟁력 제고 방안
1.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향
2. 전략적 제고방안
3. 정책적 제고 방안
參考文獻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89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환율과 기초여건 간 괴리에 대한 연구: 시장심리를 중심으로
2021-12-30
Policy Analysis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Won in the Light of the RMB Internationalization
2022-02-25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연구보고서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분석: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2020-12-30
연구보고서
대외부문 거시건전성 정책 10년의 성과와 개선방안
2020-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2020-12-30
연구보고서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2019-12-30
연구자료
외화예금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2019-08-26
연구보고서
금융불안지수 개발과 금융불안 요인 변화 분석
2018-12-31
연구보고서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축통화 보유 여부를 중심으로
2018-12-28
Working paper
Exchange Rates and Firm Exports: The Role of Foreign Ownership and Subsidiaries
2018-08-31
연구보고서
환율변화가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2017-11-30
Working paper
What Explains Current Account Surplus in Korea?
2016-12-16
연구보고서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태동과 한국의 대응방향
2016-12-30
Working paper
The Effe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Productivity of Korean Manufacturing Plants: Market Average Rate Regime vs Free Floating
2016-10-10
Working paper
A Short-term Export Forecasting Model using Input-Output Table
2016-05-27
연구보고서
주요 통화대비 원화 환율 변동이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2014-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불균형의 조정 전망과 세계경제적 함의
2014-12-30
연구보고서
금융개방의 확대와 환율의 영향 변화 분석
2013-12-30
Working paper
Real Frictions and Real Exchange Rate Dynamics: The Roles of Distribution Service and Transaction Cost
2012-12-31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