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무역·통상 부문에서부터 정치·외교 분야에 이르기까지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은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다자주의 체제가 위협을 받고 보호무역주의가 대두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양국간 갈등은 더욱 격화될 개연성이 있다.
중남미 지역도 미·중 갈등의 이슈에서 예외가 아니다. 더욱이 중남미 지역과 미국의 지리적 근접성을 고려한다면, 안보 측면에서도 미국은 중남미 지역 내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중남미 지역 내에서 미·중 경쟁 또는 갈등의 양상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남미 지역에서 나타나는 미·중 경쟁의 양상을 조사하고 이것이 중남미 국가들에 미치는 영향을 다방면에서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대중남미 정책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고 트럼프 정부에서 추진한 구체적인 대중남미 정책을 정리하였다. 미국 대중남미 정책의 기본방향은 소위 당근과 채찍을 통해 중남미 지역 패권국으로서의 위치를 점하는 것이었다. 그에 따라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다양한 부문에서 중남미를 압박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반면 중국의 대중남미 정책은 구체적 내용이 부재한 상태에서 중남미 국가들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제3장에서는 중남미 지역에서 관찰되는 미·중 갈등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갈등은 주로 인프라 부문에서 두드러졌는데, 갈등 상황에서 미국은 중남미 국가들을 압박하고 중국을 관련 프로젝트에서 배제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났다.
제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는데, 2018년에 일어난 미·중 통상갈등, 즉 양국 사이의 보복관세 조치에 초점을 맞추어 이것이 중남미 주요국의 대미국 및 대중국 수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CGE: 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을 통해 동 통상갈등이 중남미 국가들의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보완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브라질의 대중 수출액은 관세부과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한 후 시간이 지나면서 그 효과가 사라지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브라질 이외 다른 국가들의 경우 일관된 추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CGE를 활용하여 분석한 미·중 통상갈등이 중남미 주요국 후생수준에 미치는 영향도 그 크기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남미 내에서 발생하는 미·중 간 갈등은 우리나라 기업에 중남미 진출의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 미국의 압박에 직면한 중남미 국가들이 해당 분야, 특히 인프라 부문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의도하지 않았던 기회가 주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중남미 국가들의 정치적 입장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향후 중남미 진출 기회를 모색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Conflic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been appearing in various forms across many regions; it can be seen in trade, commerce, politics, and diplomacy. In addition, it is likely that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tensify as the multilateralism would be threatened and protectionism would emerge in the post-COVID 19 era.
Latin America is not an exception to this issue of the US-China conflict. In terms of national security, the United States has only option to react sensitively to the growing influence of China in Latin America,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proxim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Latin America. For this reason, varied conflic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occur in Latin Americ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US-China rivalry that appeared in Latin America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is rivalry on Latin American countries in multifaceted ways. In Chapter 2, we examined how the US and Chinese foreign policies against Latin America have changed. Furthermore, we summarized specific policies against Latin America that were implemented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fundamental goal of the US policy was to occupy a regional hegemony in Latin America by giving them incentive and pressure. In particular, the Trump administration tended to weigh on Latin America in many sectors such as immigration, infrastructure, and so on. By contrast, Chinese policies against Latin America aim at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Latin America in the absence of specifics.
In Chapter 3, we presented several examples of the US-China conflict that were observed in Latin America. This conflict was mostly prominent in the infrastructure sector, in which the United States was likely to press Latin America in order to exclude China from related projects.
In Chapter 4,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y focusing on the trade disput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at occurred in 2018.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retaliatory tariffs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exports of major Latin America countries to United States and China. In addition, we complementarily examined the effect of the trade dispute on the welfare of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with the CGE (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 model.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Brazil’s export to China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imposition of the tariffs, and then the effect has disappeared over time. In contrast, there was no consistent pattern for countries other than Brazil. The impact of the US-China conflict on the welfare of the countries in Latin America was trivial.
Th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at occurs in Latin America could be an opportunity for Korean companies that seek to advance into Latin America. The companies may be given an unintended chance as Latin America is faced by US pressure to rule out China from infrastructure sector.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monitor the political position of Latin American countries in terms of seeking opportunities to enter Latin America in the futur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미국과 중국의 대중남미 정책
1. 미국의 대중남미 정책
2. 중국의 대중남미 정책
3. 중남미 지역 내 미·중 경쟁의 양상
제3장 중남미 지역 내 미·중 경쟁의 사례
1. 멕시코의 테우안테펙 횡단열차 프로젝트 외자 배제
2. 주파나마 중국대사관 부지를 둘러싼 미·중 갈등
3. 파나마-다비드 철도 프로젝트 취소
4. 파나마·중국 FTA 협상 중단
5. 칠레 해저 광케이블 프로젝트
6. 아르헨티나 네우켄 주 우주기지
7. 멕시코 통신 인프라 공유 네트워크와 AT&T
8. 브라질 5G 구축사업 국제입찰 연기
제4장 미·중 통상갈등이 중남미 주요국에 미친 영향
1. 미·중 통상갈등
2. 미·중 통상갈등이 중남미 주요국의 대미·대중 수출에 미친 영향
3. 미·중 통상갈등이 중남미 주요국의 후생에 미친 영향
4. 소결
제5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40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