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본 연구는 국가산업 차원의 투입 산출자료를 고정효과 계량모형에 적용하여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와 위치의 부가가치 창출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1년간 OECD 국제투입산출표에서 제공하는 64개국(21개 APEC 회원국과 43개 비회원국), 35개 산업(농림수산업, 3개 광업, 16개 제조업 및 15개 서비스업)의 투입 산출자료를 이용한다. 정성분석 결과 APEC 회원국과 비회원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활동은 현격한 차이가 없었으나, APEC 회원국의 경우 전방참여율에 비해 후방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의 정량분석 결과에 따르면 APEC 회원국과 비회원국 모두 후방참여에 비해 전방참여의 국내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는 APEC 회원국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글로벌 가치사슬의 위치와 관련하여 생산 과정의 초기 또는 최종 단계보다는 중간 단계에 위치한 산업의 생산 활동이 더 높은 단위당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역시 APEC 회원국의 경우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생산활동의 성격으로 구분한 기업차원의 자료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위치와 부가가치 간에 도출되는 U자 형태의 ‘스마일 곡선 가설’이 국가산업 차원의 분석에서는 분명하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APEC 개발도상 회원국 경제발전의 중심축인 주요 제조산업이 글로벌 가치사슬의 중간 단계에 위치함에도 경제발전에 여전히 중요한 추진 동력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APEC 회원국들이 국내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바람직한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와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호 경쟁적일 수밖에 없는 글로벌 가치사슬 내 다른 회원국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국내 부가가치 사슬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할 것을 권고한다.
We analyze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VC participation by applying a standard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 analysis with economy-wide country-industry data. We use OECD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s covering 64 countries (21 APEC members and 43 non-APEC members) and 35 industries (1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3 Mining, 16 Manufacturing, and 15 Service) between 2005 and 2015. We find that APEC member economies’ participation in GVC activities is not distinct from non-APEC member economies b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VC participation and created domestic value-added is much stronger in APEC member economies. More specifically, from the qualitative evaluation on statistical data, we find that backward linkage has been stronger than forward linkage and both have been recently decreasing. The APEC industries’ upstream positions in production line have been slightly more distinguished than non-APEC industries. From the econometric regression analysis, we find that forward participation in GVCs is more desirable than backward participation in terms of creating domestic value-added. We also find that the industry position in middle stages of production line in contrast to earlier and later stages creates higher domestic value-added per output unit. This implies that the firm-specific conventional U-shaped “Smile Curve Hypothesis” is not applicable at the economy-wide country-industry level, especially in APEC member economies. This finding supports that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still a major driving force for less developed APEC member economies to move up the development ladder. Considering that gains from GVC participation are diversified across industries and upgrading country-industry positions in GVCs is competitive among the interconnected countries, we strongly recommend for APEC member economies to construct effective domestic value chains and coordinate with other members during their process of upgrading GVC participation.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Measuring Industry Participation and Position in GVCs 2.1. Industry Participation in Vertical Specialization Linkage: Backward and Forward Participation Rates 2.2. Industry Position in Production Line: Upstreamness and Downstreamness Indices Ⅲ. Industry Participation and Position in GVCs: Statistical Observations from APEC Member Economies 3.1. Forward and Backward Participation Rates 3.2. Upstreamness Index Ⅳ.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VC Participa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for APEC Member Economies 4.1. Model Specification 4.2. Data and Summary Statistics 4.3. Empirical Results 4.4. Policy Implications Ⅴ. Summary and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
판매정보
분량/크기 | 50 |
---|---|
판매가격 | 3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