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국의 에너지산업 현황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에너지산업

저자 최의현 발간번호 97-09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7.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2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中國은 방대한 국토에 다양한 에너지源을 보유하고 있으며, 양적인 면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12억이 넘는 인구로 인해 막대한 자원매장량에도 불구하고 一人當 에너지 賦存量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더구나 經濟成長으로 인한 에너지수요의 급증으로 1993년부터 石油純輸入國으로 전환되는 등 에너지 需給不均衡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中國 정부는 에너지 수급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생산시설을 증설하고, 새로운 유전이나 탄광을 개발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외국자본을 유치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기업이 對中 에너지산업 분야에 진출할 여지는 충분하다.

최근 우리 경제는 상당한 어려움에 처해 있는바, 이러한 시기에 막대한 投資資金이 필요한 에너지산업 진출은 일면 부적절한 방법으로 치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에너지산업에 대한 진출방식은 直接投資, 資本財輸出 등 하드웨어적인 진출과 設計, 技術諮問 등 소프트웨어적인 진출이 모두 가능하며, 직접투자방식에 있어서도 컨소시엄 구성 등 우리 기업의 자본투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旣進出 기업의 경험을 토대로 우리기업의 對中 에너지산업 진출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長期的인 眼目의 투자가 필요하다. 둘째, 자금조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셋째, 중국측과의 戰略的인 提携도 고려할 수 있다. 넷째, 사업기간의 長期化 및 再協商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 다섯째, 적정 수준의 技術移轉이 필요하다. 여섯째, 合作 또는 協商 대상을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
The Current Status of the Energy Industry in China and Suggestion for Korea Euihyun Choi The Energy industry, as a leading industry, supports economic growth, and makes up a large portion of the national economy. Particularly for a rapidly growing, developing country like China, the energy industr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is respect, cooperation in the energy sector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promote mutual economic development.

As a geographically large country, China is endowed with diverse and enormous energy resources. However with a population exceeding 1.2 billion people, China's per capita energy resources are relatively small. As China's economy expanded, so too did its demand for energy. Total energy demand in China in 1993 was the third highest in the world, nearly double its 1978 level. In an effort to underpin its future economic growth, China today is embarking on a major energy development program that will likely present tremendous opportunities to foreign companies in coal mining, electric power generation, oil production, refining and distribution, and supplying the required equipment for constructon.

At present, there already appear to be opportunities galore for foreign firms interested in China's energy industry. With strong economic growth seemingly a given, Chinese government authorities and foreign companies have already negotiated a variety of cooperative deals, and more are in the works.

This report studies the status of the energy industry, related systems, and policies on FDI in China, and based on the reports conclusion, makes suggestions for Korean companies interested in the energy industry in China.
序 言
國文要約

Ⅰ. 序 論

Ⅱ. 中國의 經濟成長과 에너지
1. 經濟成長과 에너지需要
2. 에너지 需給 現況과 展望

Ⅲ. 中國 에너지産業의 現況과 發展 展望
1. 石炭産業
2. 石油 및 天然가스 産業
3. 電力産業

Ⅳ. 中國의 에너지産業 관련 政策 및 制度
1. 에너지産業政策 및 관련 機構
2. 에너지産業 관련 制度
3. 外資導入政策

V. 外國企業의 에너지産業 進出現況과 特徵
1. 主要國의 進出現況 및 特徵
2. 韓國企業의 進出現況 및 特徵

VI. 韓國企業에 대한 示唆點
1. 韓國企業의 進出可能性
2. 韓國企業의 進出方案

參考文獻

附錄
1. 中國의 에너지政策
2. 에너지産業 관련 주요 事業計劃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2024-03-27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2023-06-08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탄소 중립 대응 정책과 한국의 그린뉴딜과의 협력 방안 2022-03-3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자료 유럽 주요국 녹색당의 성공 및 실패 요인 분석 2021-12-30 연구보고서 에너지전환시대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세계 주요국 탄소중립 전략과 중국의 저탄소 전략의 비교 분석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국제 에너지 시장 변화와 한ㆍ중동 에너지 협력 다각화 방향 2020-05-28 세계지역전략연구 라틴아메리카 에너지정책의 변화와 협력방안: 안데스 국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 투자와 한국의 정책과제 2018-12-31 연구보고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사회의 탄소가격제 도입과 경제영향 분석 2017-12-27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장거리이동 대기오염 대응사례와 시사점 2017-12-13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