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Working paper
Trade Liberalization, Intra-Industry Reallocation of Labor and Trade Adjustment Assistance
노동시장, 자유무역
저자 장용준 발간번호 11-02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1.10.05
무역자유화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고전학파 모형은 비교우위이론을 통해 생산 요소의 산업 간 이동의 중요성을 주로 다루는 반면에, Melitz(2003)를 기점으로 하는 최근의 무역이론은 산업 내부에서 이질적 생산성을 가지는 기업 간의 생산요소 이동 또한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Riordan and Staiger(1993) 등 무역조정지원제도 (TAA: Trade Adjustment Assistance)의 경제적 효율성 근거를 분석하는 연구들은 고전학파의 비교우위이론을 바탕으로 무역자유화 이후 노동의 산업간 이동에서 TAA의 역할에 대해 주로 논하고 있다.
무역자유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서는 노동의 산업간 이동뿐만 아니라 산업내 이동 또한 중요한 요소임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무역자유화 이후 발생하는 노동의 산업 내 재배분(intra-sectoral redistribution of labor) 과정에서 TAA의 효과적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제무역모형에서 독점적 경쟁시장 내 기업의 이질적(heterogeneous) 특성을 다루는 Melitz(2003)의 이론에 대해 Riordan and Staiger(1993)의 TAA 모형을 접목 시켰다.
현실적으로 노동시장 내에서 노동자들의 능력에 대해 기업과 노동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함에 따라 무역자유화 이후 산업 내 기업 간에도 노동 분배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TAA가 노동시장 내 정보의 비대칭성에 따른 기업의 비용을 줄여주고, 무역자유화 이후 생산성이 낮은 기업에서 퇴출된 노동자들이 생산성이 높은 기업에 더 많이 고용되는 유인을 제공 함을 보인다. 또한 퇴출 후 재취업 시 기존 업종 내에서 재취업할 경우의 임금이 다른 업종 전환 시보다 더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무역자유화 이후 산업내 노동의 재분배에서 TAA의 효과적 운용은 TAA의 사회적 형평성 근거 확보 차원에서도 필요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산업간 재취업에 중점을 두고 있는 미국 TAA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산업내 기업간 재취업 훈련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무역자유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서는 노동의 산업간 이동뿐만 아니라 산업내 이동 또한 중요한 요소임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무역자유화 이후 발생하는 노동의 산업 내 재배분(intra-sectoral redistribution of labor) 과정에서 TAA의 효과적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제무역모형에서 독점적 경쟁시장 내 기업의 이질적(heterogeneous) 특성을 다루는 Melitz(2003)의 이론에 대해 Riordan and Staiger(1993)의 TAA 모형을 접목 시켰다.
현실적으로 노동시장 내에서 노동자들의 능력에 대해 기업과 노동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함에 따라 무역자유화 이후 산업 내 기업 간에도 노동 분배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TAA가 노동시장 내 정보의 비대칭성에 따른 기업의 비용을 줄여주고, 무역자유화 이후 생산성이 낮은 기업에서 퇴출된 노동자들이 생산성이 높은 기업에 더 많이 고용되는 유인을 제공 함을 보인다. 또한 퇴출 후 재취업 시 기존 업종 내에서 재취업할 경우의 임금이 다른 업종 전환 시보다 더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무역자유화 이후 산업내 노동의 재분배에서 TAA의 효과적 운용은 TAA의 사회적 형평성 근거 확보 차원에서도 필요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산업간 재취업에 중점을 두고 있는 미국 TAA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산업내 기업간 재취업 훈련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paper analyzes how TAA for workers plays a role on intra-sectoral redistribution of labor in response to trade liberalization by placing Riordan and Staiger’s (1993) TAA model within Melitz’s (2003) framework of international trade with heterogeneous monopolistically competitive firms. Due to the existence of asymmetric information of worker quality between firms and workers, high-productivity firms abstain from rehiring workers laid-off from low-productivity firms when the average quality of those workers is relatively low. Hence a job training program of TAA can have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unemployment and income deterioration in low productivity firms, and raise efficiency in high-productivity firms within a sector in response to trade liberalization. In addition, the job training program is more necessary with respect to the process of intra-redistribution of production factors when trade opens at a low level, and also when a sector has comparative advantage, skill-intensive technology and a large portion of low quality labor in the labor market.
I. Introduction
II. Model Setup
1. Basic Assumptions
2. Demand
3. Production
4. Cutoff Levels of Productivity and Worker Quality
III. Effects of Trade Openness on Unemployment: Second Period
1. New Cut-Off Levels of Worker Quality
2. Comparison of Worker Quality Between Groups
3. Structural and Frictional Unemployment
IV. Role of TAA in the Process of Intra-redistribution of Production Factors
1. The Need for a TAA Job Training Program Within a Sector
2. Sectoral Characteristics
V. Conclusion
References
II. Model Setup
1. Basic Assumptions
2. Demand
3. Production
4. Cutoff Levels of Productivity and Worker Quality
III. Effects of Trade Openness on Unemployment: Second Period
1. New Cut-Off Levels of Worker Quality
2. Comparison of Worker Quality Between Groups
3. Structural and Frictional Unemployment
IV. Role of TAA in the Process of Intra-redistribution of Production Factors
1. The Need for a TAA Job Training Program Within a Sector
2. Sectoral Characteristics
V.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 46 |
---|---|
판매가격 | 3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2021-12-30
Working paper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national Production on Global and Domestic Value Chains Following Trade Restructuring and Corresponding International Economic Policies
2022-08-26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2021-12-27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소득 및 소비 불평등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디지털 전환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국가의 FTA 활용 인프라 분석 및 협력 방안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
Working paper
Consumer Responses to Price Shocks of Wine Imports in Korea
2021-07-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경제의 서비스화에 대응한 중장기 통상정책 방향
2020-12-30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Do Korean Firms Respond to the Labor Costs of Host Countries?
2020-09-01
Working paper
Defined Contribution Funded Social Security and Labor Supply: Focus on Mexican Social Security Reform in 1997
2020-07-03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분쟁해결제도
2019-12-31
중국종합연구
중국 디지털 기술 발전과 고용관계:한중 기업사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 근로장려금 제도의 영향평가 및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비교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2019-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