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미ㆍ중 경제관계 경제관계, 금융위기

저자 이장규, 나수엽, 여지나, 박민숙 발간번호 10-1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54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보고서는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한 중국의 대응정책과 미ㆍ중 경제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이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정책적 대응은 어떠하였으며 이 경제정책들이 미ㆍ중 경제관계에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ㆍ중 양국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통상 관련 정책, 위안화 환율정책 및 중국의 외환보유액 운용정책 등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시기의 중국의 주요 정책을 분석하였다.
중국정부는 미국발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2008년 9월 중순 이후, 적극적인 경기부양정책으로 전환하였다. 총 4조 위안(5,86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내수부양 계획, 각종 세금인하정책, 가전하향(家電下鄕)정책, 10대 산업 진흥정책, 부동산 경기 활성화 정책, 수출 안정화 조치 등의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중국정부의 투자가 SOC 투자, 지진피해지역의 재건사업, 주택건설 등과 같은 인프라 투자에 집중되어 투자와 소비의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었고, 국유기업의 개혁이 지연되는 ‘국진민퇴(國進民退)’ 현상도 나타났다.
글로벌 경제위기 중 미국의 대중무역 적자비중이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미국 내에서 강경한 대중 통상정책을 요구하는 분위기가 고조되었고, 중국도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게 대응함으로써 양국간 통상분쟁이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가 미ㆍ중 통상분쟁의 직간접적인 여파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미국 및 중국과의 통상이슈를 미리 점검하여 양국의 통상압력 강화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양국이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임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수출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국의 ADㆍCVD 조치에 휘말리는 빌미를 제공하지 않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글로벌 경제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위안화 환율을 사실상 미 달러화에 대해 고정환율제로 전환함에 따라 양국간 통상관계에서 분쟁의 핵심이 되었다. 미 하원은 중국을 겨냥하여 2010년 9월에 환율조작 의심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보복관세를 매길 수 있는 법안인 「공정무역을 위한 환율개혁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위안화 절상 여부에 대한 양국의 첨예한 대립은 지속되고 있다.
중국 내 최근 연구들은 위안화 환율의 저평가가 단지 중국경제의 외부 불균형을 야기하는 다양한 요인 중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민영화, 금융시스템 기능의 정상화, 국유기업 내부 유보를 축소하기 위한 재정제도 및 요소시장 개혁 등의 체제개혁정책이 위안화 절상정책보다 더 효과적으로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를 축소하고 대외 불균형을 해결할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위안화에 대한 절상압력 해소와 내수 중심의 발전전략으로 전환하는 시간을 벌기 위해 미 국채를 적극적으로 매입함으로써 2008년 일본을 제치고 미 국채 최대 보유국이 되었다. 중국이 거대한 외환보유액을 가지고 미 국채를 매각하고 다른 국가 채권으로 스와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중단기적으로 큰 변화 없이 현재의 구도가 유지될 전망이며, 장기적으로는 미 달러화를 대체할 수 있는 강력한 국제통화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한 역할을 담당할 유력한 화폐가 위안화로 지목되고 있고, 경제위기 이후 중국정부는 예상보다 위안화 국제화의 시도를 앞당기고 있다.
향후 양국간 통상분쟁은 첨예한 이해관계에 따라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절충점을 찾기 위한 노력이 병행될 것이다. 한편 위안화 환율정책에 대해서는 양국간 첨예한 입장 대립이 예상된다. 중국 내에서 급속한 위안화 절상은 경상수지 흑자 해소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중국 수출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금번 글로벌 경제위기에 이후 나타난 중국의 대내외 불균형이 향후 더욱 확대될지는 아직 시기적으로 예단하기 어려우며, 중국의 외환보유액 운용은 중단기적으로 현재의 구도를 유지하면서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끝으로 미ㆍ중 간 통상분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리 점검하고 대비해야 하며, 우리 입장에서 향후 중국의 위안화 절상에 관한 이슈의 면밀한 분석과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report analyzes Chinese policy measures to cope with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S. It focuses mainly on China’s policy responses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their effects, followed by the impact on Sino-American economic relationship of policy changes made by China in the direction of economic development for the long term. Especially, it attempts to analyze policies related to trade, Renminbi exchange rate and the foreign reserve operations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present Sino-American relations.
After the explosion of the American financial crisis that engulfed the rest of the globe in mid-September of 2008, the Chinese government opted for a more aggressive economic stimulus policy, setting a goal of 8% economic growth by providing a boost for the domestic market. A 4-trillion yuan (US$586 billion) stimulus package over 2 years was announced on November 9, 2008, subsequently revised and confirmed with detailed expenditures for specific sectors.
In addition, the government continued active efforts to boost domestic consumption by lowering tax rates, expanding the home appliance trade-in policy, developing the 10 Major Industry Plan, invigorating the real-estate market, and taking measures for stabilizing exports etc. These policy measures resulted in the rapid recovery of the economy in terms of GDP growth, industrial production, consumption, investment, exports, employment, etc.
The government investment to overcome the crisis, however, was biased toward the infrastructure investment; including SOC investment, reconstruction of areas hit by the earthquake and housing construction etc. Consequently, growth driven by large-scale public investment intensified the imbalance between investment and consumption, and actually created new problems in the form of redundant facilities and overinvestment in state owned enterprises. Furthermore, bank loans surged as expansionary fiscal policy was implemented simultaneously with a loose monetary policy, and overcapacity became a problem in some industries. Also, the reform of state- owned enterprises fell behind and the real wages of the workers increased.
After the crisis, the trade dispute between China and the US became more intense. The bilateral trade volume was only US$2.4 billion at the time when Sino-American diplomatic ties were established in 1979, but rose sharply to US$409.2 billion in 2008 after China became a member of the WTO. The two countries have remained most important trading partners for each other even after the global recession and the US is the largest export destination and third largest source of imports for China. China has achieved the biggest trade surplus vis-à-vis the US since 2001, and the increasing volume of the bilateral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deepened the trade imbalance in favor of China.
In other words, American deficit in trade with China has widened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reaching its highest level in 2008. Under the circumstances, demands for a strong trade policy against China became much more vocal, which led to trade remedies against China and increasing pressure for Renminbi appreciation. But in responding to such pressures actively and aggressively, China has aggravated the bilateral trade disputes between it and the US.
Meanwhile, the dialogue channel between high-level officials of the two countries has changed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two countries started the U.S.-China Strategic and Economic Dialogue (S&ED) in 2009 to discuss global issues in anti-terrorism,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 culture, and environment & energy (including climate change) as well as economic and trade issues. Though S&ED has not presented obvious solutions to sensitive issues, it is still significant as a comprehensive mechanism to coordinate the various issues intertwined with national interests of the two countries and for maintaining stable bilateral relations. Also, S&ED ingrained the rising status of China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highlighting the fact that a new phase of Sino-American relations have just begun, where the two countries are now ‘equal’ partners leading the global political economic order in the 21st century.
The Chinese exchange regime has been the crux of the bilateral trade dispute even before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especially after Chinese government fixed its exchange rate against US dollar after the crisis.
Some American scholars or policy makers argue that the low exchange rate of Renminbi maintained artificially amounts to de facto subsidies for Chinese export companies that cause harm to China’s trade partners. They claim that the Chinese government's manipulation of the Renminbi exchange rate should be met with the trade sanctions. This prompted a change in China from the fixed exchange rate into the managed floating system in June 2010, but it is argued that the real currency appreciation of the Renminbi has been modest, at best.
Meanwhile, in September 2010, the US Congress passed the “Currency Reform for Fair Trade Act” aimed at China; that enables retaliation with tariff on goods imported from countries suspected of manipulating the exchange rate. Also, the second quantitative easing policy called QE2 was announced in November 3, 2010 and the current account target was presented in Seoul G20 summit in November 2010. The long argument related to the Renminbi exchange rate policy is still continuing.
The Renminbi appreciation issue is at the center of ever-sharpening dispute between the US and China. Some Chinese studies recently assessed that the undervalued Renminbi is one of the various factors causing the external imbalance of the Chinese economy. Therefore, they suggest that the policies for reforming systems such as privatization, normalization of the financial system functions, fiscal reform to minimize the internal reserves of state-owned enterprises and the reform of the factor market etc., are more important than Renminbi appreciation for decreasing the Chinese current account surplus and resolving the external imbalance.
China is actively investing much of its foreign exchange reserve investment into buying US treasury bonds. China’s US Treasury Bond purchase accounts for 33.4% of total foreign exchange reserve as of the end of September 2010 and China surpassed Japan to become the largest holder of US Treasury Bonds in 2008. Though the global economic crisis caused the US dollar to become weak, which created the risk of net loss for China in holding on to US dollar assets, China could not help but continue its purchases of US treasury bonds because it could not find any other place to invest its huge foreign exchange reserve. At the same time, buying US dollar assets has similar effects to the US economy as Renminbi appreciation so that the pressure could be relieved. Even without abrupt exchange rate appreciation, China could secure some time to change it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from an export-and-investment driven economy into one driven by domestic consumption. In the short and medium term, the current trend where China keeps buying US dollar assets is likely to continue, but for the longer term, it is accepted that there is a rising need for a strong international currency that can replace the US dollar. The Renminbi is considered by some as an influential currency which can assume such a role,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accelerating the Renminbi internationalization after the crisis.
The bilateral trade disputes in the future will continue due to the national interests of both the US and China, and attempts to arrive at a compromise will occur at the same time. Meanwhile, a serious confrontation is expected concerning the Renminbi exchange rate policy. A consensus has developed inside China that a too rapid Renminbi appreciation is not the solution to the surplus in current accounts. On the contrary, it may harm its export industries.
Finally, we will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 Sino-American trade dispute on the Korean economy so that Korea can stay prepared, as detailed analysis and strategies on Korea’s position are required in coping with a potential Renminbi appreciation.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론 
가.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나. 연구방법론 


제2장 글로벌 경제위기와 중국의 정책 대응 
1. 경기부양정책 추진방향 
2. 주요 경기부양조치 
가. 10개항 경기부양조치 및 투자계획 
나. 금융완화조치 
다. 내수소비 확대조치 
라. 10대 산업 진흥계획 
마. 부동산 및 주식시장 활성화 조치 
바. 수출둔화 방지 조치 
3. 위기대응책의 성과와 문제점 
가. 위기대응책의 성과 
나. 위기대응책에 따른 문제점 


제3장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미ㆍ중 간 통상관계  
1. 무역 현황 
가. 중국의 주요 수출대상국 
나. 미ㆍ중 간 주요 교역 현황 
다. 양국간 무역불균형 
2. 미ㆍ중 통상분쟁 격화 
가. 반덤핑ㆍ상계관세 제도 개관 
나. 양국간 분쟁 현황 
다. 분쟁의 전개과정 
라. 분쟁의 특징 및 배경 
마. 향후 전개방향 
3. 미ㆍ중 고위급 대화채널의 변화 
가. 미ㆍ중 전략경제대화(SED) 
나. 미ㆍ중 전략 및 경제대화(S&ED) 
다. 미ㆍ중 경제 및 전략대화에 대한 평가 


제4장 위안화 환율정책과 미ㆍ중 관계 
1. 중국 환율 제도 및 정책 
가. 중국 환율정책의 변천 
나. 중국 환율정책의 3대 원칙 
2. 위안화 평가절상 논의의 주요 쟁점
가. 중국의 위안화 환율조작 여부 
나. 위안화 환율의 저평가 여부 
다. 환율의 안정적 유지와 여타 거시경제정책 목표와의 관계 
라. 중국의 위안화 절상과 글로벌 불균형 해소 여부 
마. 위안화 절상에 소극적인 중국 
3. 위안화 환율 관련, 미국의 새로운 전략
가. 미국의 2차 양적완화정책과 위안화 환율
나. 미국의 경상수지 목표제 제안 


제5장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 축소방안
1. 경상수지 흑자 확대요인 
2. 중국의 내부ㆍ외부 불균형 문제 
가. 고(高)저축률의 주요 요인 
나. 경상수지 흑자 축소정책 


제6장 채권국으로서의 중국과 위안화 국제화 
1. 중국의 미 국채 보유 현황 
2.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투자 다변화 시도 
3. 위안화 국제화와 전망 
가.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시도 
나. 위안화 국제화 추진 현황
다. 위안화 국제화 가능성과 전망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내용 요약 
가. 글로벌 경제위기와 중국의 정책 대응 
나.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미ㆍ중 간 통상관계 
다. 위안화 환율정책과 미ㆍ중 관계 
라.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 축소방안 
마. 채권국으로서의 중국과 위안화 국제화
2. 시사점 
가. 미ㆍ중 경제관계에 대한 시사점 
나. 한국경제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5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금융위기 전개 과정 및 요인 분석: 복잡계와 머신러닝 방법론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30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 및 한국의 협력방안 2021-06-21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중남미 협력 방안: 의료 및 방역 부문을 중심으로 2021-06-2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