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구 발간자료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76/287
-
WTO SPS 분쟁 사례 연구
세계화는 병해충과 질병의 세계화를 동시에 수반한다. 외래종 동식물 및 식품 검역을 소홀히 할 경우 외래 병해충 및 각종 질병이 국내로 유입되어 이에 취약한 국내 생태계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하여 경제적·사..
강민지 발간일 2016.09.13
무역장벽,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내용과 구성
제2장 WTO SPS 분쟁의 이해1. WTO SPS 협정의 이해
가. SPS 협정의 도입 배경
나. SPS 협정의 주요 내용
다. SPS 협정과 다른 협정과의 관계
2. WTO SPS 조치 관련 분쟁 해결제도
가. SPS 조치 관련 WTO 논의 과정
나. WTO 분쟁해결절차
3. WTO SPS 분쟁 데이터 분석
제3장 WTO SPS 판례 정리1. 서론
2. SPS 협정 관련 분쟁 사례
가. EC-Hormones 분쟁
나. Australia-Salmon 분쟁
다. Japan-Agricultural Products 분쟁
라. Australia-Salmon(21.5) 분쟁
마. Japan-Apples 분쟁
바. Japan-Apples(21.5) 분쟁
사. EC-Biotech Products (“GMOs”) 분쟁
아. Canada/U.S.-Hormones Suspension 분쟁
자. U.S.-Poultry 분쟁
차. Australia-Apples 분쟁
카. India-Agricultural Products 분쟁
타. U.S.-Animals 분쟁
파. Russia-Pigs 분쟁
3. SPS 분쟁의 소결
제4장 쟁점별 SPS 분쟁 주요 판례 분석1. SPS 조치
2. 과학적 증거 및 위험평가
3. 국제기준과의 조화
4. 자의적이거나 부당한 차별 금지
5. 필요 이상의 무역제한 금지
6. 지역화 인정
7. 잠정조치
8. 동등성
제5장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WTO SPS 분쟁 해결 요청 사례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세계화는 병해충과 질병의 세계화를 동시에 수반한다. 외래종 동식물 및 식품 검역을 소홀히 할 경우 외래 병해충 및 각종 질병이 국내로 유입되어 이에 취약한 국내 생태계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하여 경제적·사회적 피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온전히 국가주권하에 속한다고 생각되던 위생검역조치의 정당성 판단이 무역자유화의 흐름에 따라 국제무역규범하에 놓이게 되면서 WTO 체제하에서는 위생검역조치의 정당성을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의 적용에 관한 협정(SPS 협정)’에 따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SPS 협정은 이해가 상반된 국가들간의 타협의 산물로 모호하게 규정되어 있어 협정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SPS 분쟁 사례 연구를 통해 SPS 협정이 어떻게 해석·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SPS 협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국내 위생검역정책 및 국제통상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WTO 분쟁해결기구에서 다룬 SPS 협정 관련 분쟁 사례를 검토하여 WTO SPS 협정 규범의 해석 및 적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S 조치 관련 쟁점 및 동향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위생검역 및 관련 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C-Hormones 분쟁(1998), Australia-Salmon 분쟁(1998), Japan-Agricultural Products 분쟁(1999), Australia-Salmon(21.5) 분쟁(2000), Japan-Apples 분쟁(2003), Japan-Apples(21.5) 분쟁(2005), EC-Biotech Products(“GMOs”) 분쟁(2006), Canada/U.S.- Hormones Suspension 분쟁(2008), U.S.-Poultry 분쟁(2010), Australia?Apples 분쟁(2010), India-Agricultural Products 분쟁(2015), U.S.-Animals 분쟁(2015), Russia-Pigs 분쟁(2016)을 다루었다.
지금까지의 SPS 분쟁에서는 주로 조치가 위험평가에 기초하고 있는지 여부(제5.1조), 적정보호수준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범위 내에서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제5.6조), 상이한 상황에서의 SPS 위험에 대해 자의적이거나 부당한 구별이 있는지 여부(제5.5조) 등이 문제가 되었다. 최근 분쟁에서는 국제기준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기초하였는지(제3.1조) 및 위험에 대한 지역의 SPS 특성을 고려하여 병해충 안전지역(비발생지역) 및 저발생지역을 인정하였는지 여부(제6조) 등이 특히 문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국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WTO SPS 분쟁의 가장 주된 패소 원인은 조치가 위험평가에 기초하지 않았기 때문이므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위험평가에 근거하여 SPS 조치를 취했다고 인정받기 위해서는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필요하며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위험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전문 장비를 마련하는 등 체계적으로 위생검역 분야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화, 동등성 개념 등 최근 새롭게 대두되는 SPS 협정상 의무에 대비해야 한다. 최근의 India-Agricultural Products 분쟁, US-Animal 분쟁, Russia-Pigs 분쟁에서는 관련 국제기준에 기초하였는지 여부와 함께 그간 SPS 분쟁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지역화 인정이 다루어졌다. 따라서 관련 국제규범을 숙지하고 한국의 지역화 인정 규정의 범위 및 절차의 운영 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등성 인정 요청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법제 마련 및 외국의 검역 실태 모니터링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국제기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중요 국제기준의 한국어 번역본을 마련·업데이트하는 것에서부터 국제기준 협상시 국가간 공조노력을 통해 적절한 국제기준이 세워지도록 협력하고, 교역 상대국과의 무역 마찰을 줄이기 위해 국제기준과의 조화를 이룬 SPS 정책이 발전되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최근 Mega FTA SPS 챕터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TPP SPS 챕터에서는 최근의 WTO 판시 내용과 유사한 SPS 위원회의 지침을 상당 부분 명문화하여 WTO SPS 플러스 규범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대한 동향 파악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PS 협정을 통해 각국의 불합리한 식품 위생 기준이 완화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SPS 협정은 각국의 검역제도가 위장된 보호주의로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립되었기 때문에 과학주의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국가가 위생검역제도를 수립·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 위생검역에 관하여 소극적인 대처가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건강 보호를 가장 최우선시하는 태도로 검역제도를 선진화하고 개선함으로써 교역 자유화의 물결 속에서도 국민과 동식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객관적이고 정당한 위생검역조치를 취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주요국의 대(對)베트남 진출전략과 시사점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베트남은 성장세의 둔화를 경험했다. 최근 FDI 유입 증가, 양자·다자 FTA의 확대 체결,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등 대외경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조성되면서 베트남의 성장 잠재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곽성일 외 발간일 2016.09.13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의 구성
제2장 베트남 경제 현황 및 투자 여건1. 베트남의 거시경제 현황: 경제성장, FDI, 수출
2. 베트남의 투자여건
3. 베트남 정치·경제에 대한 SWOT 분석
제3장 한국, 미국, 일본의 베트남 주요 산업 투자 변화와 베트남의 대응1. 개황
2. 한국, 일본, 미국의 對베트남 투자 변화
가.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 현황과 특징
나. 일본의 對베트남 투자 현황과 특징
다. 미국의 對베트남 투자 현황과 특징
3. 베트남의 대응
제4장 주요국의 對베트남 진출전략 분석1. 일본의 對베트남 진출전략
가. 일본의 對베트남 진출 개요
나. 일본기업의 투자진출 사례 연구
2. 미국의 對베트남 진출전략
가. 미국의 對베트남 진출 개요
나. 미국기업의 투자진출 사례 연구
제5장 요약 및 시사점1. 요약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베트남은 성장세의 둔화를 경험했다. 최근 FDI 유입 증가, 양자·다자 FTA의 확대 체결,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등 대외경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조성되면서 베트남의 성장 잠재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정치적 안정과 풍부한 저임 노동력, 그리고 1억에 육박하는 인구규모 등 긍정적인 대내여건의 개선은 베트남에 대한 주요 투자국의 관심을 증가시켰고, FDI 유입 또한 크게 증가했다. 특히 2015년에는 사상최대인 145억 달러의 FDI가 유입되었고, 경제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인 6.68%를 기록했다. 반면에 부정부패, 숙련인력 부족, 국영기업 비효율 등의 부정적인 요소가 상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베트남의 사업환경이 긍정적인 것만도 아니다. 국가별 비즈니스 환경을 비교분석하는 Doing Business 평가는 베트남의 비즈니스 환경을 189개국 중에서 90위권 수준으로 평가했다. 다만 최근 들어 투자법 및 노동법의 개정을 통해 투자절차 및 인력고용상의 편의를 개선하면서 베트남의 투자환경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한국기업도 베트남을 전략적인 생산기지로 채택하고 대동남아 투자액의 40% 이상을 투자했다. 향후 베트남에서 주요 투자국과 한국 기업간 경쟁심화가 예상되므로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전략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주요 투자국인 미국과 일본의 대베트남 투자전략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기업에 맞는 투자전략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의 경제성장 및 산업화는 1986년 개혁·개방 노선의 채택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1994년 미국의 경제제재가 해제되면서 베트남으로 대규모 FDI가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를 기반으로 베트남은 산업화와 고도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다. 1990년대 베트남에 대한 FDI는 주로 일본, 한국,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의 노동집약적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투자 업종이 기존 노동집약산업에서 기계, 전자 등 기술 및 자본집약산업으로 변화하면서 산업구조 또한 점차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노동집약산업이 주를 이루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는 다국적 대기업에 의한 전기·전자 중심으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는 초도투자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나, 2014년부터 점차 추가투자 비중이 증가하고, 점차 그 분야도 다각화하고 있다.
일본의 대베트남 투자는 2007년 베트남의 WTO 가입, 2009년 베·일 EPA 체결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증가했다. 이에 일본은 주요 경제단체를 중심으로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운영해왔으며, 일본 전용공단을 설치·운영하는 형태로 일본기업들의 편의를 개선해왔다. 반면 미국과 베트남의 경제교류는 대규모 투자보다는 교역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2015년 베트남의 TPP 체결로 양자간 교역 및 투자 환경의 개선이 예상된다. 미국이 아시아균형 전략을 통해 중국을 견제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루어진 미·베 정상의 교환 방문은 TPP 발효, 남중국해 문제 논의 등 주요 사안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베트남은 이와 같은 일본, 미국 등 주요국들의 대베트남 진출에 대응해 FDI 유치를 기반으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로의 편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숙련노동자 및 인프라 부족과 같은 문제점들이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로의 편입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으며, 베트남 정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협의체를 운영하면서 물리적·제도적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대베트남 투자는 기존 태국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으로 인한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태국+1’ 형태로 베트남을 주요 투자국으로 채택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FDI 이외에도 최근 M&A 투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베트남에 진출한 일본기업들의 투자 형태는 크게 앵커기업(Anchor Firm) 중심 클러스터형 진출, 현지 파트너십 활용(OEM, Licensing, Joint Venture), 기존진출 일본업체 활용(Line Gari, Nokisaki)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일본기업들의 진출형태는 초기 단독진출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동반 혹은 기존 진출업체의 인프라와 노하우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대규모 ODA 사업, 정부 및 유관기관의 해외진출 정책 등 간접적인 지원책을 적극 활용하는 성향도 강하다. 반면 미국기업들은 1994년 경제제재 해제 이후부터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2007년 베트남의 WTO 가입 후 본격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미·베 경제교류는 여전히 투자보다는 교역관계 개선에 중점을 두고 양자간 개방이 진행 중이며, 미국은 정부나 유관기관의 지원보다는 개별 기업 차원에서 투자전략을 수립·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이나 일본과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제도는 활성화되지 못한 반면 미국의 경우 미국상공회의소(AmCham)를 통해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미국기업의 이익을 적극 대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베트남 시장에 진출한 미국, 일본 기업의 투자전략 분석을 통해 우리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한국기업의 진출이 클러스터 진출로 이어지도록 산업단지 건설에 관심을 두고, 이를 위한 한국의 금융지원은 물론 베트남 정부의 협조도 이끌어내야 한다. 둘째, 기진출 기업의 경험을 신규진출 기업이 활용하고 이러한 기진출 기업의 지원을 보상하는 ‘신규·기진출 기업 간 상생을 위한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베트남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역량강화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베트남 현지의 제도 및 비즈니스 환경 분석을 위한 역량 지원이 시급하다. 넷째, 일본기업처럼 진출기업간 생산설비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원은 기업들의 진출 초기 고정투자비용 부담과 정보부족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현지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요구할 수 있도록 베트남 정부와 협의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베트남에 대한 투자 쏠림보다는 동남아 전체를 우리의 생산기지로 여기고 ‘동남아 경영’의 핵심기지로 베트남을 활용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베트남+1’의 형태로 베트남과 인근 국가를 연계해 외생적인 충격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Mega FTA 대응전략 연구: TBT 협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WTO TBT(무역기술장벽) 협정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기체결 FTA TBT 협정 및 TPP TBT 협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술규제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우리나라 기체결 FTA TBT 협정의 주요 핵심조항을..
유새별 발간일 2016.09.12
다자간협상, 무역장벽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보고서의 구성 및 범위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한국의 기체결 FTA TBT 협정문 분석1. WTO TBT 협정문의 구조 및 특징
2. 한국의 기체결 FTA TBT 협정문의 구조 및 특징
3. WTO TBT 협정과 한국의 기체결 FTA TBT 협정 비교 분석
가. 국제표준
나. 기술규정
다. 적합성 평가절차
라. 투명성
제3장 TPP TBT 협정문 주요내용 및 비교 분석1. TPP TBT 협정과 한국의 기체결 FTA TBT 협정 비교
가. 국제표준
나. 기술규정
다. 적합성 평가
라. 투명성
2. TPP TBT 협정 조항의 국내 기술규제와의 조화
가. 우리나라의 기술규제정책 및 제도 현황
나. TPP TBT 협정과 국내 관련 법률조항 및 제도 현황 비교
3. 소결
제4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1. 요약 및 결론
2. 정책적 시사점
가. 대내적 정책방향
나. 대외적 정책방향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연구는 WTO TBT(무역기술장벽) 협정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기체결 FTA TBT 협정 및 TPP TBT 협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술규제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우리나라 기체결 FTA TBT 협정의 주요 핵심조항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TPP와 RCEP과 같은 Mega FTA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을 기술정책 및 제도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향후 TPP 가입 시에 우리 측 입장과 대응전략을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나라가 그동안 체결한 15건의 FTA 협정을 살펴보면, 그중 11개국과 체결한 FTA 협정에서 TBT 협정을 별도의 장으로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TO 협정을 토대로 우리나라 기체결 FTA TBT 협정 중 기술규정, 표준, 적합성 평가절차 및 투명성 등 주요조항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표준의 경우 대부분 체결국과 체결한 TBT 협정에서 WTO 협정과 TBT 위원회의 결정 및 권고사항을 준수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한편 EU, 캐나다, 중국과 체결한 협정에서는 WTO보다 높은 수준(WTO+)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기술규정의 경우 최혜국대우(MFN) 및 내국민대우, 동등성 수용, 불필요한 장벽제거 및 투명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그중 MFN 및 내국민대우 조항의 경우 WTO 협정 이상의 의무를 포함하고 있었으나, 동등성 수용 관련 조항은 대부분 WTO 협정과 유사하거나 낮은(WTO-) 수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셋째로 적합성 평가절차의 경우 내국민대우, 결과의 상호인정, 투명성으로 분류하여 협정 조항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미국과 체결한 TBT 협정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여기에는 적합성 평가절차뿐 아니라 평가기관에 대한 내국민대우와 상호인정협정(MRA) 체결에 대한 조항도 구체적으로 적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투명성 조항은 기술규정과 적합성 평가절차의 투명성을 동시에 다루었다. WTO 협정과 달리 우리나라 기체결 TBT 협정의 경우 투명성 조항을 별도로 신설하여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 평가절차의 투명성에 대해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규정 및 적합성 평가절차의 투명성을 준비 및 개발 - 통보 - 채택 - 공포 - 발효 및 시행의 절차 순서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새로운 기술규정 및 적합성 평가절차의 통보 시기, 통보 대상, 통보 범위, 공표 위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투명성 조항 역시 미국, EU와 체결한 TBT 협정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TBT 협정 특징을 토대로 우리나라가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TPP TBT 협정 조항의 특징을 후속 장에서 살펴보았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TPP 협정도 WTO 협정이나 우리나라 기체결 TBT 협정과 유사한 수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적합성 평가, 투명성, 유예기간, 협력, 부속서 등 일부 조항에서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규범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TPP 협정은 그간 체결되었던 모든 FTA 또는 RTA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규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중 적합성 평가에는 평가절차에 대한 내국민대우 또는 MRA 수용가능성뿐만 아니라 적합성 평가의 내국민대우와 요구조건 완화 등이 규정되어 있다. 더불어 투명성 조항에는 TBT 조치의 제·개정 시 회원국이 준수해야 할 의무사항이 구체적으로 수준 높게 명시되어 있다.
TPP 협정은 대부분 WTO 협정에 근거하여 조항을 규정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의 TPP 가입 시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특정 품목에 대한 일부 규정과 WTO+ 및 TBT+ 조항의 경우에는 국내 제도의 개선 또는 일부 국내 법률의 제·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TPP TBT 협정 중 우리나라가 직면하게 될 특별한 쟁점사항은 없으나, ① 시험인증산업 ② 의료기기 및 의약품 등 일부 산업 경쟁력 제고 가능성 ③ 국내거소요건 폐지(요구조건 수준 개정) 등에 대한 의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기술규제정책 및 제도 현황에 입각하여 우리나라의 대내적, 대외적 정책방향과 향후 Mega FTA에서의 협상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대내적 정책방향으로는 ① 국내 기술규제정책 검토 및 활성화 ② 타국 규제개혁 현황 모니터링 ③ 중소/영세기업 이해관계의 의견 적극 수렴 ④ TBT 관련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도입 및 실시 ⑤ WTO TBT 위원회 측 국제회의에 적극 참여 등이 있다. 그다음 대외적 정책방향으로는 ① 시장개방 확대를 위한 규제조치 완화정책 도입 ② 일부 품목의 단일협정 추진 ③ 제도 개선을 통한 신규범 도입, 채택 및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
뉴노멀 시대 중소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
한국과 대만의 중소기업은 매우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양국 모두 국내시장이 협소하고, 자국 내 중소기업의 입지가 좁은 편이다. 따라서 양국 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활로는 해외시장 진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
이승신 외 발간일 2016.08.30
경제발전, 기업경영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가. 연구방법
나. 연구의 구성
제2장 대만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분석: 한국과의 비교1. 해외진출 현황
가. 대만 중소기업의 수출 동향
나. 한국 중소기업과 대만 중소기업 비교
2. 한국과 대만 중소기업의 GVC 참여
가. 중소기업의 GVC 참여와 고도화
나. 부가가치교역 자료에 기반한 한·대만기업의 GVC 참여도 비교
다. 산업 수준에서 살펴본 양국의 GVC 참여방식 차이: 휴대전화 산업의 사례
제3장 한·대만 중소기업의 GVC 참여 사례분석1. 대만 중소기업 사례
가. 다리광뎬주식유한회사
나. 루홍주식유한회사
다. 선싱공업유한회사
2. 한국 중소기업 사례
가. 동운아나텍
나. 코스맥스
다. 디에이치라이팅
제4장 대만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1. 중소기업 현황
2.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체계
가. 중소기업 지원정책 수립·시행
나. 비재정적 지원 체계
다. 재정적 지원체계
3. 중소기업 해외진출 이니셔티브
가. 중소기업(SME) 클러스터의 조성: 중소기업간 협력적 발전
나. 중점산업의 선별과 육성: 중소기업 신흥시장 개척의 원동력
4. 우수 지원수단 및 기업 성공 사례
가. 우수 지원수단 사례
나. 해외진출 지원정책을 통한 기업 성공 사례
5. 대만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평가
가. 한국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나. 양국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비교 및 평가
제5장 결론1. 요약 및 평가
가. 한·대만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비교
나. 한·대만 중소기업의 GVC 참여 상황에 대한 평가
다. 대만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평가
라.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2. 중소기업 해외진출 확대 지원방안
가. 우리나라 중소기업 해외진출의 당면 과제
나. 중소기업 해외진출 확대 지원방안
다. 중소기업의 GVC 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정책연구브리핑한국과 대만의 중소기업은 매우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양국 모두 국내시장이 협소하고, 자국 내 중소기업의 입지가 좁은 편이다. 따라서 양국 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활로는 해외시장 진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 생산활동이 국제적으로 다양화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를 통한 해외진출은 매우 중요하다.
수출 데이터로 본 양국 중소기업의 직접수출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축소되고 있다.
그러나 생산과정이 복잡해진 지금 직접수출비중 축소가 중소기업의 해외 경쟁력 저하를 의미한다고 볼 수는 없다. 본 보고서에서는 많은 중소기업이 대기업 가치사슬을 통해 간접수출을 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포함한 한국과 대만 중소기업의 전체 수출비중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만 중소기업의 간접수출비중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한국 중소기업의 간접수출비중은 큰변화가 없었다. 이는 대만 중소기업의 전체 수출비중은 증가하지만 한국 중소기업의 전체 수출비중은 하락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결과는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GVC 참여 상황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2000
년대 대만의 급속한 대기업화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수출용 중간재를 공급하는 구조를 강화하면서 중소기업의 간접수출비중을 늘렸다. 반면 한국은 대기업 위주의 수출구조 및 수직계열화 구조가 계속 유지되면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GVC 관계가 심화되지 못했기에, 2000년대 총수출 증가가 중소기업 수출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휴대폰 산업의 한 · 대만 GVC 참여상황 분석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뚜렷이 나타난다. 한국과 대만은 휴대폰 산업의 GVC 참여 형태가 다르다. 한국은 대기업이 가치사슬을 대부분 내부화시켰고 최종 브랜드 생산에 직접 임하고 있지만, 대만은 다수의 중소기업이 중저가 위주의 표준화된 부품분야에서 주로 다국적기업과 가치사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구조하에서 한국 중소기업은 대만 중소기업에 비해서 GVC에 직접 연결되어 세계시장 참여도를 높이거나 고부가가치 영역을 개척하기가 쉽지 않았다.
GVC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대만과 한국 중소기업의 사례를 종합해보면 몇가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다국적기업에 부품을 납품하거나 OEM, ODM으로 해외 주문을 수주하는 등 다양한 GVC 진입 방법이 있으나, 이런 글로벌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자체의 기술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를 위해서는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연구 인력을 꾸준히 보강하는 노력이 필수적이었다. 둘째, 능동적 수요 대응이다. GVC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대만기업들은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해외 바이어의 니즈에 선도적으로 대응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적극적인 해외투자 전략이다. 시장 개척 및 현지화, 저비용 생산요소 획득 등의 목표를 위해 이들 기업들은 중국, 동남아 등에 적극적으로 생산 공장이나 판매망을 구축하였다. 특히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 때에도 적극적인 해외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확충하여 이후 호황기에 늘어난 수요량을 공급하면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갔다. 대만 중소기업 GVC 참여 성공 사례에서 볼 때 정부의 역할은 산업화 초기 FDI 등을
통해 다국적기업을 적극 유치함으로써 대만기업과의 기업 생태계를 형성시킨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많은 대만 중소기업인들이 이런 다국적기업에서 일하면서 기술과 경험을 익혔고, 이때 형성된 국제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다국적기업들과 OEM, ODM 관계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었다. 또한 경제부 기술처 등은 중소기업이 첨단 생산관리시스템을 개발 ? 구축하는 것을 적극 지원하였고, 정부가 주도한 기초과학 연구 성과를 공유시켜서 기업이 R&D와 후속 응용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하였다. 한국 중소기업 사례의 성공요인에서도 지속적인 R&D 투자, 시장수요 예측 및 신속대응, 글로벌 네트워킹 등 공통적인 특징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와 대만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의 내용은 중소기업 역량 강화,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 운영, 해외 네트워크 형성 및 활용 지원, 수출 인큐베이터 운영, 해외마케팅 확대 등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하지만 양국이 시행하고 있는 지원정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만의 경우 우리와 달리 중소기업의 자생력 배양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첫째, 중소기업 인큐베이션 센터의 운영이다. 한국의 경우 세계 주요 교역거점에 수출인큐베이터를 설치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대만은 국내 인큐베이션 센터를 운영하여 중소기업을 육성함과 동시에 매년 중점 육성산업을 선정하여 강도 높은 컨설팅, 멘토링, 재정지원부터 대기업 공급망에의 참여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해외 수주와 국제협력을 강화하도록 해외 인큐베이션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지원하고 있다.
둘째, 대만은 중소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지원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 수출 확대 프로그램인 MVP(the Project to Promote Most-Valued Products in Emerging Markets)는 시행한 지 이미 17년째로 신흥시장 진출정책을 우리보다 일찍 시행하였다. 셋째, 대만은 선별된 창업기업들에 대해 해외기업 매칭을 시행하여 보다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매칭하여 상생협력을 통한 해외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데 비해, 대만은 직접적으로 중소기업과 해외기업을 매칭하는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중소기업 산업 클러스터 형성에 있어서 한국은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하여 대기업과 지역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유도하고 있는 반면, 대만은 지역 내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해 공동기술 개발, 브랜딩 및 글로벌 마케팅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본 보고서는 대만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의 특징, GVC 진입 성공 사례분석 결과 및 우리나라 중소기업 해외진출이 당면한 과제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중소기업 해외진출 및 GVC 참여 확대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소기업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으로 중소기업 지원 관할 부서의 통합 및 접근성 제고, 선별적 지원의 필요성, 그리고 신흥시장 정보제공 및 지원 서비스 확대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신흥시장을 타깃으로 한 대만의 수출 확대 프로그램을 벤치마칭할 것을 제안했다. 중소기업의 GVC 참여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중소기업 클러스터 조성, FDI 유치를 통한 중소기업의 해외 생산 네트워크 참여 확대 유도, 비즈니스 매칭과 글로벌 마케팅을 통한 GVC 참여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중소기업 클러스터의 조성은 수평적이고 협력적인 생산 분업체제 구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GVC 편입이 용이해지는 기업생태계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대만의 중소기업 클러스터는 관련 산업의 중소기업들이 모여서 공동 기술 및 브랜드 개발, 해외 수주 및 마케팅 등 자체적인 생산능력을 배양하는 생태계 조성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간의 산업 클러스터 형성으로 중소기업은 R&D 비용 절감, 동종 업계 기업간 경쟁을 통한 발전, 시장 변화 상황에 대한 빠른 인지, 부품 및 해외수주 물량의 분담 등의 협력관계 형성효과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가 촉진하고 있는 대 · 중소기업 상생협력의 효과는 업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기에 중소기업 위주로 발전한 업종 또는 2, 3차 협력사가 많은 업종에 대해서는 대만의 중소기업 클러스터 운영 사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대만기업의 GVC 참여 사례에서 본 바와 같이 대만의 중소기업이 다국적기업에 부품을 납품하고 OEM 및 ODM 방식으로 GVC에 편입할 수 있었던 은 대만정부가 산업화 초기에 전략적인 FDI 유치를 통해 대만기업과 다국적기업 간의 기업생태계를 형성시켰던 데 주로 기인하고 있다. 이미 산업화가 이루어진 대부분의 산업 영역에서 과거 대만과 같은 창업 성과를 거둘 수는 없겠으나, 정부 주도의 FDI 정책으로 다국적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생태계 형성을 통한 GVC 편입은 매우 유용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비즈니스 매칭’은 중소기업과 해당기업의 생산 제품이 필요한 외국기업의 연계를 직접적으로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만은 일본과 중소기업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비즈니스 매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선 대만은 양국 중소기업의 교류를 담당하는 서비스 창구로 ‘대만 · 일본 중소기업 협력 및 교류 촉진 플랫폼’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양국 중소기업간 R&D를 촉진하기 위해 자금을 지원하는 벤처캐피털도 설립하여 성과를 내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 매칭에 대한 후속조치 및 상담 서비스 제공, 제3국 시장트렌드 정보 및 R&D 보조금 제공 등 대만과 일본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협력강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대만과 일본은 전통적으로 전자 및 기계 산업 분야에서 분업이 이루어지고 있었기에 이러한 비즈니스 매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을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도 산업 분업이 밀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를 선별하여 직접적인 매칭 및 사후 관리를 시도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2015 ANNUAL REPORT
2015년은 국제유가의 하락,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TPP 협상 타결 등 세계경제를 둘러싼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키는 다양한 변수에 노출된 해였습니다. 이러한 세계경제 환경의 급변 속에서도 한국은 OECD와 G20의 일원으로서 세계경제의 중추적 역할..
KIEP 발간일 2016.08.16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2015년은 국제유가의 하락,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TPP 협상 타결 등 세계경제를 둘러싼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키는 다양한 변수에 노출된 해였습니다. 이러한 세계경제 환경의 급변 속에서도 한국은 OECD와 G20의 일원으로서 세계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고, OECD 개발협력위원회(DAC)의 원조공여국으로서 그 역할도 확대해 왔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세계경제환경의 급변이라는 외부적인 도전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선제적 연구와 함께 정부 현안과제에 즉각적으로 대응해 왔습니다. 예를 들면, 신흥지역을 포함한 세계경제 주요 이슈 분석 및 협력방안, 양자 및 다자통상이슈 분석, ODA 등 경제협력 역량 강화,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통일대비 역량 강화를 통한 실질적 통일 준비 등 중점 현안과제를 선정하여 선제적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국제사회의 경제 변화를 빠르게 분석하고 글로벌 차원의 경제정책 및 중장기 전략 제시를 위해 꾸준히 노력한 결과, 2016년 펜실베이니아 대학 TTCSP의 평가에서 전 세계 33위의 싱크탱크로, 4년 연속 국내 1위의 정책연구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기관으로서 위상을 다져나가고 있습니다.
본 연차보고서는 KIEP가 지난 한 해 광범위한 분야에서 전문적이고 심층적인 연구활동을 통해 얻은 성과를 정리한 것입니다. 본 보고서에는 △연구원 소개 △한눈에 보는 KIEP △2015 우수연구 △2015 연구성과 △2015년도 결산 등 지난 1년간 수행한 주요 연구성과와 활동을 분야별로 정리하였고, 2016년도 연구계획도 담았습니다.
저희 임직원은 앞으로도 국제화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 국가 위상을 제고하는 정책연구기관, 정책 수요층과 국민에게 신뢰 받는 연구기관을 목표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KIEP의 성장과 발전을 응원해주신 사회 각계각층 여러분의 깊은 관심과 격려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2015 연차보고서
2015년은 국제유가의 하락,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TPP 협상 타결 등 세계경제를 둘러싼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키는 다양한 변수에 노출된 해였습니다. 이러한 세계경제 환경의 급변 속에서도 한국은 OECD와 G20의 일원으로서 세계경제의 중추적 역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6.08.16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연구원 소개
한눈에 보는 KIEP
2015 우수연구2015 연구성과
2016 연구계획
부록
국문요약2015년은 국제유가의 하락,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TPP 협상 타결 등 세계경제를 둘러싼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키는 다양한 변수에 노출된 해였습니다. 이러한 세계경제 환경의 급변 속에서도 한국은 OECD와 G20의 일원으로서 세계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고, OECD 개발협력위원회(DAC)의 원조공여국으로서 그 역할도 확대해 왔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세계경제환경의 급변이라는 외부적인 도전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선제적 연구와 함께 정부 현안과제에 즉각적으로 대응해 왔습니다. 예를 들면, 신흥지역을 포함한 세계경제 주요 이슈 분석 및 협력방안, 양자 및 다자통상이슈 분석, ODA 등 경제협력 역량 강화,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통일대비 역량 강화를 통한 실질적 통일 준비 등 중점 현안과제를 선정하여 선제적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국제사회의 경제 변화를 빠르게 분석하고 글로벌 차원의 경제정책 및 중장기 전략 제시를 위해 꾸준히 노력한 결과, 2016년 펜실베이니아 대학 TTCSP의 평가에서 전 세계 33위의 싱크탱크로, 4년 연속 국내 1위의 정책연구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기관으로서 위상을 다져나가고 있습니다.
본 연차보고서는 KIEP가 지난 한 해 광범위한 분야에서 전문적이고 심층적인 연구활동을 통해 얻은 성과를 정리한 것입니다. 본 보고서에는 △연구원 소개 △한눈에 보는 KIEP △2015 우수연구 △2015 연구성과 △2015년도 결산 등 지난 1년간 수행한 주요 연구성과와 활동을 분야별로 정리하였고, 2016년도 연구계획도 담았습니다.
저희 임직원은 앞으로도 국제화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 국가 위상을 제고하는 정책연구기관, 정책 수요층과 국민에게 신뢰 받는 연구기관을 목표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KIEP의 성장과 발전을 응원해주신 사회 각계각층 여러분의 깊은 관심과 격려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The Impact of Chinese Economic Structural Changes on Korea's Exports to China
본 연구는 중국경제의 구조변화를 검토하고, 이러한 변화가 대중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국의 역할이 달라지는 것에 주목하여 중국의 수입수요를 대외수요와 대내수요로 구분하여 대중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신꽃비 외 발간일 2016.08.10
경제관계, 무역구조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Chinese Economy3-1. The Compositional Change in China’s GDP
3-2. China’s Import Intensity-Adjusted Demand
3-3. The Evolution of Korea?China Trade
4. Empirical Analysis: VAR Approach4-1. Model Specification
4-2. Empirical Results
4-3. Export by Type of Goods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mces국문요약본 연구는 중국경제의 구조변화를 검토하고, 이러한 변화가 대중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국의 역할이 달라지는 것에 주목하여 중국의 수입수요를 대외수요와 대내수요로 구분하여 대중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또한 중국 GDP 구성요소의 변화가 대중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알아보았다. 벡터자기회귀모형(VAR) 결과에 의하면 2008년 이전에는 중국의 대외수요가 대중 수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2008년 이후에는 중국의 대내수요가 더 중요해졌다. 대내수요를 구성요소별로 분석해본 결과, 2008년 이후 투자가 대중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소비의 중요성 또한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
A Predictive System for International Trade Growth
본 연구에서는 비관측 요소모형(unobserved component model)을 이용하여 국제 무역을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통상적인 예측 회귀모형과 달리 Pator and Stambaugh(2009)의 예측 시스템을 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천소라 발간일 2016.08.10
경제전망,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1. Introduction
2. Overview of the Conventional Productive Regression
3. Model Specification3-1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Predictive Regression
3-2 Why Does the Predictive System Produce Better Forecasting Performance?4. Estimation Procedure
4-1 A State-Space Representation
4-2 Forecasting Evaluation
5. Empirical Application5-1 Data
5-2 The Predictability of the Export Growth Rate
5-3 The Predictability of the Import Growth Rate
6.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References
국문요약본 연구에서는 비관측 요소모형(unobserved component model)을 이용하여 국제 무역을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통상적인 예측 회귀모형과 달리 Pator and Stambaugh(2009)의 예측 시스템을 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 시스템과 동일한 선형 예측 회귀모형을 도출하고, 예측 시스템이 보다 우수한 표본 외(out-of-sample)의 예측력을 가질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 이유는 예측변수가 추정모형에서 불완전한 경우 추정방정식이 예측변수의 과거자료로부터 도출되는 충분한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므로 추정모형의 잔차항에 추가적인 설명력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측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불완전한 예측변수의 동태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실증분석으로 한국의 수출입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예측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통상적인 회귀모형에 비해 Root Mean Squares Error(RMSE)로 평가한 표본 외 예측력이 더 뛰어났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교 대상 모형에 비해 예측 시스템은 수출증가율의 경우 18.9%, 수입 증가율의 경우 7.95% 예측정확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FDI :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본 보고서는 노동시장 유연성이 초기 외국인직접투자 의사결정과 외투기업의 고용 및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OECD에서 발표하는 고용보호지수와 “Measuring Globalization”에 보고된 외투기업의 고용, 사업체 수, 생산 데이터를 이용하..
최혜린 발간일 2016.07.29
노동시장, 외국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본 보고서는 노동시장 유연성이 초기 외국인직접투자 의사결정과 외투기업의 고용 및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OECD에서 발표하는 고용보호지수와 “Measuring Globalization”에 보고된 외투기업의 고용, 사업체 수, 생산 데이터를 이용하여 나라별 패널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용보호 정도가 높을수록 외국인직접투자와 외투기업의 고용과 생산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OECD의 고용보호지수 대신에 노동조합비율과 퇴직연금을 사용해 노동시장 경직성을 측정한 분석에서도 노동시장 경직성과 외투기업의 진입, 고용 및 생산의 관계는 여전히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전의 대부분의 연구가 노동시장 규제가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국한된 데 반해, 본 연구는 노동시장 환경이 외투기업의 진입과 관련된 초기결정뿐만 아니라 진입 이후의 고용 및 생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된다. 따라서 외투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세금혜택, 현금지원, 시장규제 완화뿐만 아니라 고용애로를 해소해 주는 정책대안이 요구된다.
-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U.S. Monetary Policy Surprises
본 연구는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국제금융시장에서 주변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과 57개국간 경기변동 동조화 경향을 통해 살펴보았다.미국 정책의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2002~2007년), 주식시장 통합은 미국과..
김경훈 발간일 2016.07.29
금융위기, 금융통합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2. Related Literature
3. Econometric Methodology
3-1. Data and Variables
3-2. Empirical Model Specification
3-3. Estimated Coefficients and Interpretation
4. Empirical Results
5. RobustnessTests
6. Conclusions
Reference국문요약본 연구는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국제금융시장에서 주변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과 57개국간 경기변동 동조화 경향을 통해 살펴보았다.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2002~2007년), 주식시장 통합은 미국과의 경기변동 탈동조화에 기여하는 데 반하여, 채권시장 통합은 미국과의 경기변동 동조화에 기여하였다. 이는 주식시장에서는 자산효과(Wealth Effect)가 재무제표효과(Balance Sheet Effect)보다 강하게 나타나면서 경기변동 탈동조화에 기여하고, 채권시장에서는 재무제표효과가 자산효과보다 강하게 나타나면서 동조화에 기여하였다.
반면,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간(2008~2012년)에는 반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주식시장 통합은 미국과의 경기변동 동조화에 기여하고, 채권시장 통합은 경기변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주식시장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시기와는 반대로 재무제표효과가 자산효과보다 강하게 나타나면서 경기변동 동조화에 기여하였다.
이것은 국제투자자들이 금융중심지에서의 높아진 불확실성으로 인해, 자국의 주식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타국에서도 투자를 동시에 줄이게 되면서 양국 실물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경기변동 동조화에 기여하게 된 것이다.
반면, 채권시장에서는 정책 불확실성이 높은 기간일수록 안전자산 선호 즉, 미국 채권의 금리가 떨어지고, 미국 채권에 투자한 글로벌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금융시장 충격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이것이 일종의 완충역할을 하여 미국과 경기변동 동조화 경향이 약해지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했던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주변국으로의 파급효과에 초점을 맞췄다는 측면에서 기존연구에의 기여가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