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204/287

  • Korea’s FTA Policy: Focusing on Bilateral FTAs with Chile and Japan
    Korea’s FTA Policy: Focusing on Bilateral FTAs with Chile and Japan

    우리 정부는 GATT 시절부터 다자주의의 우월성(supremacy)을 지지하고, 지역주의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안정적인 수출시장의 확보, 확대·심화되는 지역주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입 확대, 통..

    정인교 발간일 2002.09.05

    무역정책,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Background of Korea's FTA Policy

    III. Current Progress of Korea's FTAs
    1. Korea-Chile FTA
    2. Korea-Japan FTA
    3. FTAs with Other Nations

    IV. A Korea-Chile FTA: Korea's First FTA?

    V. Expected Effects of a Korea-Japan FTA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우리 정부는 GATT 시절부터 다자주의의 우월성(supremacy)을 지지하고, 지역주의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안정적인 수출시장의 확보, 확대·심화되는 지역주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입 확대, 통상제도의 개선 등을 위해 자유무역협정(FTA)의 체결을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생략)
  • A Dynamic Analysis of the Korea-Japan Free Trade Area: Simulations with the G-Cu..
    A Dynamic Analysis of the Korea-Japan Free Trade Area: Simulations with the G-Cu..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경제적으로 긴밀한 유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양국은 경제협력의 강화 필요성을 절감하고, 양자간 FTA 체결의 경제적 효과를..

    이종화 외 발간일 2002.08.15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Korea-Japan Economic Relations
    1. Trad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2. Korea-Japan Investment Relationship

    III. Existing Studies on the Korea-Japan FTA

    IV. A Dynamic Framework for Evaluating a Free Trade Area Between Korea and
    Japan

    V. Dynamic Assessment of a Korea Japan Free Trade Area
    1. Instant Bilateral Liberalization
    2. Phased Liberalization
    3. Liberalization Excluding Agriculture

    VI.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Appendix: A stylized 2 country G-Cubed model

    References
    국문요약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경제적으로 긴밀한 유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양국은 경제협력의 강화 필요성을 절감하고, 양자간 FTA 체결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생략)
  • Trade Integration and Business Cycle Co-movements: the Case of Korea with Other ..
    Trade Integration and Business Cycle Co-movements: the Case of Korea with Other ..

    1990년대 들어 한국은 역내 교역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역내 교역 증대가 한국과 교역 상대국과의 경기변동을 동조화 시키는 경향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론적으로 보면 교역 증대는 경기변동의 동조화..

    왕윤종 외 발간일 2002.08.10

    무역구조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ade Patterns and Business Cycle Co-Movements

    III. Data and Statistical Findings

    IV. Methodology and Results

    V. Policy Coordination and Business Cycle Co-Movements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1990년대 들어 한국은 역내 교역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역내 교역 증대가 한국과 교역 상대국과의 경기변동을 동조화 시키는 경향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론적으로 보면 교역 증대는 경기변동의 동조화를 가져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생략)
  • Korea’s FDI Outflows: Choice of Locations and Effect on Trade
    Korea’s FDI Outflows: Choice of Locations and Effect on Trade

    중력방정식을 수정한 한국 해외투자 입지선택 모형에 따르면, 시장규모 및 실질 GDP 성장률이 FDI 스톡 입지에 양의 효과를, 1인당 GDP 및 거리는 음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부의 1인당 GDP 계수는 한국의 해외 생산활동이 고소득..

    이창수 발간일 2002.07.05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Determinants of FDI Outflows

    IV. FDI's Effect on Trade: Empirical Test

    V. Summary and Concluding Remarks

    Appendix. FDI Outflows in 1991-1994 and 1997-1999

    References
    국문요약
    중력방정식을 수정한 한국 해외투자 입지선택 모형에 따르면, 시장규모 및 실질 GDP 성장률이 FDI 스톡 입지에 양의 효과를, 1인당 GDP 및 거리는 음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부의 1인당 GDP 계수는 한국의 해외 생산활동이 고소득 소비자나 동 관련제품과 별 관계가 없었음을 시사한다. (생략)
  • Hanging Together: Exchange Rate Dynamics between Japan and Korea
    Hanging Together: Exchange Rate Dynamics between Japan and Korea

    일본은 한국에게 제 1 수입상대국이자 제 2 수출상대국이다. 따라서 한국경제는 일본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일본경제의 한국에 대한 영향력은 시기와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 한국은 경제..

    강삼모 외 발간일 2002.06.25

    경제협력, 금융위기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Economic Interdependence between Japan and Korea
    1. Co-movement of the Business Cycles
    2. Co-movement of Exchange Rates

    III. Empirical Tests
    1. Some Basic Statistical Relations
    2. Stationarity Test and VAR Impulse Response Analysis
    3. Variance Decomposition

    IV. Conclusions

    Appendix

    References
    국문요약
    일본은 한국에게 제 1 수입상대국이자 제 2 수출상대국이다. 따라서 한국경제는 일본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일본경제의 한국에 대한 영향력은 시기와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 한국은 경제의 체질을 높이기 위해서 구조조정의 노력을 행하여왔고 환율제도도 관리변동환율제에서 자유변동환율제에 보다 가깝게 전환하였다. 만약 모든 가격의 변화가 시장에 의해서 자유롭게 결정된다면 변동환율제를 택하고 있는 국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일부 가격변수가 경직적인 경우가 많아 변동환율제를 택하더라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국내경제가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생략)
  • Interdependent Specialization and International Growth Effect of Geographical Ag..
    Interdependent Specialization and International Growth Effect of Geographical Ag..

    본 논문은 경제성장과 산업입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경제지리모형은 경제활동의 집중은 국가간의 소득불균형을 초래하고 승자와 패자로 나누어진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산업간 관계의 설정에 민감하다...

    박순찬 발간일 2002.05.30

    경제발전,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A dynamic geography model

    III. Intermediate Analysis

    IV.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1. Growth rate in the steady state
    2. Growth effect and specialization
    3. Income inequality

    V. Stability Analysis

    VI. Growth and Income in the Steady States

    VII. Economic Integration

    VII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본 논문은 경제성장과 산업입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경제지리모형은 경제활동의 집중은 국가간의 소득불균형을 초래하고 승자와 패자로 나누어진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산업간 관계의 설정에 민감하다. (생략)
  • Who Gains Benefits from Tax Incentives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Who Gains Benefits from Tax Incentives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한국의 외국인투자에 대한 조세인센티브 제도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감면대상, 감면수준, 감면기간 등 모든 면에서 과거보다 확대되었다. 새롭게 도입된 조세지원제도를 통해서 외국인투자자들은 국내 투자와 영업활동에서 세금을 감면받을 수 있..

    이성봉 발간일 2002.04.15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ax Incentives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A. Legal Sources of Tax Incentives for FDI in Korea
    B. Contents of Tax Incentives for FDI in Korea

    III. Who Gains Benefits from Tax Incentives for FDI in Korea?
    A. Greenfield or M&A Investments?
    B. Tax Treaty Beneficiary or Not?
    C. Investment through Permanent Establishment or Not?
    D. Double Taxation Relief on Dividends: Exemption or Foreign Tax Credit?
    E. Tax Sparing System Beneficiary or Not?

    IV. Conclusions
    A. Tax Strategies for Foreign Investors
    B.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References
    국문요약
    한국의 외국인투자에 대한 조세인센티브 제도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감면대상, 감면수준, 감면기간 등 모든 면에서 과거보다 확대되었다. 새롭게 도입된 조세지원제도를 통해서 외국인투자자들은 국내 투자와 영업활동에서 세금을 감면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외국인투자자들이 받을 수 있는 조세감면의 혜택은 투자자별로 상당 수준 차이가 날 수 있다. (생략)
  • New Evidence on High Interest Rate Policy During the Korean Crisis
    New Evidence on High Interest Rate Policy During the Korean Crisis

    본 논문은 한국 외환금융위기 중 IMF의 권고에 의해 실시된 고이자율정책이 환율안정에 효과적으로 기여했는지를 비선형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분석한다. 추정된 모형에서의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고이자율정책이 처음에는 아주 짧은 기간..

    김세직 외 발간일 2002.03.25

    금융위기, 금융정책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Empirical Methodology
    1. SNP Estimation of the Conditional Density
    2. Impulse Response Analysis of Nonlinear Models

    III. Data

    IV. Main Empirical Results

    V. Evaluation of the IMF's High Interest Rate Policy

    VI. Conclusion

    Reference
    국문요약
    본 논문은 한국 외환금융위기 중 IMF의 권고에 의해 실시된 고이자율정책이 환율안정에 효과적으로 기여했는지를 비선형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분석한다. 추정된 모형에서의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고이자율정책이 처음에는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약간의 평가절하를 가져오지만, 그 이후로 오랜기간에 걸쳐 상당한 수준의 평가절상을 가져옴을 밝히고 있다. 이에 반해 저이자율정책은 오랜기간에 걸친 평가절상을 가져오는데 별로 효과가 없음을 보이고 있다. (생략)
  • A Framework for Exchange Rate Policy in Korea
    A Framework for Exchange Rate Policy in Korea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에 적합한 통화정책 및 환율정책의 틀을 개발하는데 있다. 한국은 1997년말 외환위기 이후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동 환율제도와 통화정책이 과연 경제안정과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는데 최적인지는 불분명..

    Michael Dooley 외 발간일 2002.03.15

    금융정책, 환율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Policy Challenges
    1. The Current Account, Net Debt and Capital Flows
    2. Volatility
    3. Exports
    4. The Optimal Stock of Gross Reserves
    5. A Safety Valve, Concerted Intervention

    III Inflation Targeting
    1. Overview
    2. Credibility and Inflation Targeting

    IV Alternative Intermediate Regimes

    V. The Currency Board Arrangement
    1. Overview
    2. Traditional Challenges
    3. The Gains from Currency Unions and Boards
    4. A Currency Board for Korea?

    VI. Recent Experience in Korea and other Emerging Markets
    1. Intervention and Policy Objectives

    VI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에 적합한 통화정책 및 환율정책의 틀을 개발하는데 있다. 한국은 1997년말 외환위기 이후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동 환율제도와 통화정책이 과연 경제안정과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는데 최적인지는 불분명하다. (생략)
  • 중소기업의 환위험 관리 지침서
    중소기업의 환위험 관리 지침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완전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중소기업들이 직면하게 되는 환위험 역시 증가하게 되었다. 중소기업의 특성상 체계적으로 환위험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최고경영자 차원..

    KIEP 발간일 2002.02.28

    환율
    원문보기
    목차
    1. 서론

    2. 환위험 관리 체계
    2.1. 환위험의 개념
    2.2. 환위험의 측정

    3. 환위험 관리 수단
    3.1. 내부적 관리전략
    3.2. 외부적 환위험 관리수단
    3.3 경영관리전략

    4.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환위험 관리 당면과제
    4.1. 인식의 전환
    4.2. 환위험 관리능력의 향상
    4.3. 환위험 관리전략의 선택과 집행

    5. 환위험 관리의 모의사례

    <부록>
    국문요약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완전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중소기업들이 직면하게 되는 환위험 역시 증가하게 되었다. 중소기업의 특성상 체계적으로 환위험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최고경영자 차원에서 환위험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조직 내외의 자원을 적절히 활용하여 또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