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202/287

  • Liberalization Measures in the Process of Korea’s Corporate Restructuring
    Liberalization Measures in the Process of Korea’s Corporate Restructuring

    본 연구는 1997년 금융위기 이후에 한국에서 실행되고있는 자유화조치를 재검토 하며 그 조치들이 기업구조조정과 최종적으로 한국 경제회복에 어떠한 경로로 기여했는지에 대해 분석 하고자 한다.50년만의 최악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기업부..

    손찬현 외 발간일 2002.11.30

    경제개방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Financial Crisis in Korea
    1. Overview of the Financial Crisis
    2. Liberalization before the Financial crisis
    3. Old Development Paradigm in the Financial Crisis
    4. Economic Grounds for Liberalization

    III. Investment Liberalization
    1. Cross-Border M&As
    2. Privatization
    3. Assessment

    IV.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1.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2. Foreign Exchange Market Liberalization
    3. Assessment

    V. Trade Liberalization
    1. IMF-initiated Trade Liberalization
    2. Government-initiated Reinforcement Reforms
    3. Assessment

    VI. Accomplishment and Unfinished Agenda

    References
    국문요약
    본 연구는 1997년 금융위기 이후에 한국에서 실행되고있는 자유화조치를 재검토 하며 그 조치들이 기업구조조정과 최종적으로 한국 경제회복에 어떠한 경로로 기여했는지에 대해 분석 하고자 한다.

    50년만의 최악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기업부문의 구조조정노력은 크게 기업부채조정, 기업지배구조개선, 그리고 자유화등의 3분야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 가운데 자유화 조치는 한국의 과거 개발정책등에서 비롯된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문제를 교정하고 또한 치명적으로 현금이 부족한 한국경제에 외부로부터 유동성을 끌어오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보다 성공적인 기업구조조정을 위한 기업환경을 만들고자 하였다. (생략)
  • Implementing the Bogor Goals of APEC
    Implementing the Bogor Goals of APEC

    본 연구는 보고르 선언의 실천을 위한 현실적 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1년 APEC 상하이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상하이 합의(Shanghai Accord)는 현재 APEC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이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각국의 인식을 그대로 반영하는..

    한홍렬 발간일 2002.11.30

    경제협력,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Ⅰ. Introduction

    Ⅱ. Open Regionalism and the Shanghai Accord
    1. An Interpretation of the Open Regionalism
    2. An Assessment of the Shanghai Accord

    Ⅲ.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APEC
    1. Modelling APEC
    2. An Analysis of APEC subgroups' attitude toward APEC and TILF

    Ⅳ. Achieving Bogor Objectives.
    1. Basic Directions
    2. Clarifying the Bogor Goals and Implementation Mechanism
    국문요약
    본 연구는 보고르 선언의 실천을 위한 현실적 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1년 APEC 상하이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상하이 합의(Shanghai Accord)는 현재 APEC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이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각국의 인식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분야별 조기자유화의 실패 이후, APEC은 무역투자자유화 및 원활화 분야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으며, 이는 결국 APEC의 추진력에 심각한 문제를 노정시키고 있다. 2001년 상하이 합의는 이러한 문제점을 각국이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이며, 여하한 형태로든 보고르 선언의 실천방안을 모색해야만 APEC의 추진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생략)
  • 우리나라와 미국 주식시장 동조화 현상에 대한 원인분석과 전망
    우리나라와 미국 주식시장 동조화 현상에 대한 원인분석과 전망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주가간 동조화 현상에 대해 그 현황, 동태적 파급 과정, 발생 경로, 원인 등을 분석하였다. 먼저 동조화 현상은 1980년대에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1990년대 중반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 말부터 심화되었다. ..

    이충언 발간일 2002.11.30

    자본시장
    원문보기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내용 및 구조

    Ⅱ. 동조화에 대한 이론 및 기존연구
    1. 주가 수익률의 동조화
    2. 변동성의 동조화
    3. 동조화에 대한 국내연구

    Ⅲ.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간의 동조화 현황
    1. 동조화의 추세 및 시기별 변화
    2. 동조화 정도의 국가별 비교

    Ⅳ. 동조화의 존재성 및 동태적 파급 과정
    1. 동조화의 존재성 검정: 그랜저 인과성 검정
    2. 동조화의 파급 과정: 충격반응함수 및 분산분해
    3. 동조화의 지속성
    4. 산업별 동조화 비교

    Ⅴ. 동조화의 발생 경로 및 원인
    1. 외국인 주식 투자의 역사 및 현황
    2. 투자가별 미국 주가 변화에 대한 반응
    3. 외국인 순매수와 거시변수
    4. 동조화 현상의 원인

    Ⅵ. 변동성의 동조화
    1. 한국 및 미국 주가 수익률의 변동성 추이
    2. EGARCH 모형을 이용한 변동성 동조화 검정

    Ⅶ. 요약 및 결론

    < 부록 > 자료의 출처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주가간 동조화 현상에 대해 그 현황, 동태적 파급 과정, 발생 경로, 원인 등을 분석하였다. 먼저 동조화 현상은 1980년대에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1990년대 중반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 말부터 심화되었다. 이 현상은 주가수익률 뿐 아니라 수익률의 변동성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미국주가에서 한국주가로의 동조화만이 존재하고 그 반대방향으로의 동조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생략)
  • Can East Asia Emulate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
    Can East Asia Emulate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

    동아시아 국가는 1997년 외환·금융위기를 경험한 이후 ASEAN+3 포럼을 통해 위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호 금융지원을 약속하는 스왑협정을 체결하는 등 역내 금융안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동성 지원장치의 구..

    왕윤종 외 발간일 2002.11.30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Overview of the Chiang Mai Initiative (CMI)

    III. Creation of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ystem

    IV. Barriers to Financial Cooperation and Integration

    V. Future Prospects

    References
    국문요약
    동아시아 국가는 1997년 외환·금융위기를 경험한 이후 ASEAN+3 포럼을 통해 위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호 금융지원을 약속하는 스왑협정을 체결하는 등 역내 금융안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동성 지원장치의 구축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금융협력은 유럽에 비하면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과연 동아시아에서 금융통합은 어떻게 진행될 것이며, 유럽과 같은 단일통화의 채택과 같은 고도화된 통합체로 발전 가능한 것인가? 대체로 세 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생략)
  • Narrowing the Digital Gap in the APEC Region
    Narrowing the Digital Gap in the APEC Region

    국가간 디지털 격차는 세계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소론은 APEC 차원에서 이 이슈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5~2000년간의 개별 경제 들의 정보화 실적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APEC 역내의 정보화 격차는 향상되어 왔거나, 최소..

    홍유수 발간일 2002.11.30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Trends and Determinants of Digitization

    III. An Interactive Model of the Digital Gap

    IV. Implications for APEC

    V. Concluding Remarks
    국문요약
    국가간 디지털 격차는 세계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소론은 APEC 차원에서 이 이슈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5~2000년간의 개별 경제 들의 정보화 실적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APEC 역내의 정보화 격차는 향상되어 왔거나, 최소한 더 악화되지는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세계 47개 경제의 회귀분석을 통해, 소득, 교육, 네트워크정책, FDI, R&D 등이 정보화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생략)
  • Has Trade Intensity in ASEAN+3 really Increased?
    Has Trade Intensity in ASEAN+3 really Increased?

    본 연구는 아세안+3 국가간 교역밀도가 증가해 왔다는 통상적인 주장에 대해서 중력모형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 정의한 교역밀도지수를 통하여 아세안+3 국가사이에 무역을 통한 결합도가 1980년 이후 1999년까지 증..

    김흥종 발간일 2002.11.30

    무역구조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Growing Bilateral Trade Intensity of ASEAN+3
    1. Bilateral Trade Intensity
    2. The Data
    3. Results

    III. A Gravity Interpretation of the Trade Intensity in ASEAN+3
    1. The Gravity Model
    2. The Data
    3. Empirical Analysis

    IV.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본 연구는 아세안+3 국가간 교역밀도가 증가해 왔다는 통상적인 주장에 대해서 중력모형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 정의한 교역밀도지수를 통하여 아세안+3 국가사이에 무역을 통한 결합도가 1980년 이후 1999년까지 증가해 왔음을 보였다. 그러나 중력모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중력잔차의 년도별 추이를 살펴 본 결과, 중력인자가 설명할 수 있는 영역을 넘어서는 교역의 긴밀도의 증가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더욱이 중력모형의 주요 교란요인으로 작용하는 중계무역항들을 제외할 경우, 중력인자가 한중일 3국간의 교역을 거의 다 설명할 수 있었고, 한중일과 아세안간의 교역에서 나타나는 시계열상의 변동도 거의 사라짐을 보였다. (생략)
  • Reverse Sequencing: Monetary Integration ahead of Trade Integration in East Asia..
    Reverse Sequencing: Monetary Integration ahead of Trade Integration in East Asia..

    지역주의는 두 가지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나는 자유무역협정의 형태로 역내 국가간 무역자유화를 통해 실물경제의 통합을 이루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통화협력을 통해 금융분야의 통합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경제통합은 지리..

    왕윤종 외 발간일 2002.11.30

    자유무역, 통화정책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Europe's Experience: Trade Integration ahead of Monetary Integration

    III. Is There Any Difference in East Asia?

    IV. Does East Asia Satisfy Optimum Currency Area Criteria?

    V. Introducing a Monetary Union ahead of FTA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지역주의는 두 가지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나는 자유무역협정의 형태로 역내 국가간 무역자유화를 통해 실물경제의 통합을 이루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통화협력을 통해 금융분야의 통합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경제통합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국가들이 한편으로 무역자유화와 환율안정을 통해 동시에 무역증진과 경제성장을 도모하려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 두 가지 경제통합의 과정은 상호작용을 통해 통합의 과정을 강화한다고 볼 수 있다. (생략)
  • Korea’s Road to a Sound and Advanced Economy
    Korea’s Road to a Sound and Advanced Economy

    본 회의의 목적은 한국이 건전하고 선전화된 경제로 이르는 길을 위한 정책사항을 확인하는데 있다. 본 보고서는 지난 5년 동안 도입되었던 광범위한 개혁을 고려하면서, 한국이 앞으로 당면한 도전과제와 구축되기를 바라는 새로운 힘이 다른 경제..

    공동 발간일 2002.11.30

    경제개발,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OPENING sessionxx

    Opening Remarks
    Kwang Dong Kim

    Keynote Speech
    Donald J. Johnston

    sessionxx Ⅰ.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and Market Surveillance

    Presentation
    ● Restoring Confidence in Market Institutions in OECD Countries - The Role of
    Governance and Supervisory Reforms
    William Witherell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orporate Governance in Korea
    Byong Won Bahk

    Comment
    ● Kwang-Doo Kim
    ● Sung-Hee Jwa
    ● Phil-Sang Lee

    sessionxx Ⅱ. Enhancing IT towards a Knowledge-based Society

    Presentati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economy
    Graham Vickery

    ● IT policies in Korea to establish a KBE: outcomes and future directions
    Dong-Pyo Hong

    Comment
    ● Jun-Hyong Rho
    ● Myeong-ho Lee
    ● Chinhyun Kim
    ● Yoo Soo Hong

    sessionxx Ⅲ. Preparing for an Ageing Society

    Presentation
    ● Korea and the Ageing Society: an OECD Perspective
    Peter Scherer
    ● An Examination of Elderly Welfare Policies in Korea
    Jae-Kwan Byeon

    Comment
    ● Tae-Sup Kim
    ● Mee-hye Kim
    ● Rae-young Park
    ● Young-seob Shin
    ● Peter Gey

    CLOSING sessionxx

    Closing Remarks
    William Witherell
    Kyung Tae Lee

    Conference Program
    국문요약
    본 회의의 목적은 한국이 건전하고 선전화된 경제로 이르는 길을 위한 정책사항을 확인하는데 있다. 본 보고서는 지난 5년 동안 도입되었던 광범위한 개혁을 고려하면서, 한국이 앞으로 당면한 도전과제와 구축되기를 바라는 새로운 힘이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게 역시 도전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물론 한국을 위한 몇가지 예외적 문제들도 여전히 있다. 그러나 대부분 오늘날 한국에 도전과제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들에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어떤 분야에서 한국은 선두주자에 속한다.
  • Bailout and Conglomeration
    Bailout and Conglomeration

    본 논문은 한국 외환금융위기 중 IMF의 권고에 의해 실시된 고이자율정책이 환율안정에 효과적으로 기여했는지를 비선형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분석한다. (생략)

    김세직 발간일 2002.11.20

    금융정책, 환율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Basic Model

    III. Liquidation as a Screening Device

    IV. Conglomerates and Optimal Bailout

    V. Conglomeration Choice and Macroeconomic Implications

    VI. Extensions and Discussions

    VI. Conclusion

    Appendix

    References
    국문요약
    본 논문은 한국 외환금융위기 중 IMF의 권고에 의해 실시된 고이자율정책이 환율안정에 효과적으로 기여했는지를 비선형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분석한다. (생략)
  • Korea’s Trade Policy Regime in the Development Process
    Korea’s Trade Policy Regime in the Development Process

    한국경제는 1960년대의 경제발전 초기단계에 대내적으로는 노동집약적 산업을 육성하고 대외적으로는 수입대체정책을 추진하는 발전전략을 취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래 경제자유화가 정책기조로 채택되면서 한국의 발전전략은 대내적으로는 숙련..

    최낙균 발간일 2002.11.15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ade Performance in the Development Process

    III. Transition in Korea's Trade Policy Regime

    IV. The Multilateral Trading Regime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V. New Challenges and Policy Responses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한국경제는 1960년대의 경제발전 초기단계에 대내적으로는 노동집약적 산업을 육성하고 대외적으로는 수입대체정책을 추진하는 발전전략을 취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래 경제자유화가 정책기조로 채택되면서 한국의 발전전략은 대내적으로는 숙련노동 및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발전을 모색하고, 대외적으로는 개방된 통상국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특히, 경제구조를 고도화하기 위해 과감한 무역 및 금융자유화정책이 추진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에 발생한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도 자유화 및 규제완화정책이 가속화되었다. (생략)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