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국제사회의 재생에너지 사업자금조달 현황과 시사점 경제협력, 에너지산업

저자 문진영, 송지혜, 이서진 발간번호 15-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5.12.30

원문보기(다운로드:7,73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5년 9월 개최된 유엔 지속가능정상회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주요목표 중 하나로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설정하였으며, 국제사회는 2020년 신기후체제하에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개도국은 경제발전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의 활용을 크게 확대할 전망이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속적이고 활발한 투자와 재원확보를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우리나라는 민간기업과 개발금융기관, 국제기구, 공공기관 등과의 다양한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 효과적인 개도국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점협력국에서 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재원조달 지원방안에 초점을 둔다. 우리나라의 다수 중점협력국이 재생에너지 개발에 적합한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음에 주목하고 개도국의 재생에너지 사업에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제공된 국제사회의 지원사례를 유형별로 검토한 후, 우리나라의 추진 사례를 비교ㆍ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및 재원조달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지난 5년간 추세를 살펴보면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는 점차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는 에너지 투자의 주요 동인이 되는 현지 에너지 수요와 제도적 기반환경이 중국과 인도, 남아공, 브라질을 중심으로 하는 개도국에서 우호적으로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국가는 지난 5년 동안 재생에너지 원자재 R&D 및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통해 재생에너지 시장을 크게 확대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IRENA의 태양에너지 및 풍력, 지열에너지 잠재력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중점협력국 대부분이 두 개 이상의 재생에너지원에 대해 상당한 잠재력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점협력국 다수는 높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제도, 시장 성숙도, 인식도 등의 기반환경 부재로 충분한 개발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중점협력국은 현재 법규제, 시장, 인식도 등의 기반환경을 개선하는 과정에 있으며, 따라서 장기적인 시각에서 볼 때 이들 국가에 대해 재생에너지의 활용과 개발 및 투자가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기구 및 선진 공여국은 개도국의 재생에너지 사업 투자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고안하여 활용하고 있다. 첫 번째 유형으로, 사업의 초기 개발 시점에서 대상 국가의 법ㆍ규제 또는 시장현황 조사, 경제성 분석 등에 공공재원을 제공하여 경제적으로 타당한 사업을 발굴하는 방안이 있다. 본 연구는 사업 초기단계 지원사례로 UNEP의 초기자본지원기구(Seed Capital Assistance Facility)와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구의 재생에너지확대프로그램(Scaling-up Renewable Energy Program)을 검토하였다. 두 번째 유형으로는 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보조금 및 보증을 제공하여 금융조달을 지원한 독일의 국제에너지전환보조금프로그램(Global Energy Transfer Feed-in Tariff)과 소형재생에너지 자가발전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중미ㆍ파나마 재생에너지투자확대 프로젝트(Accelerating Renewable Energy Investments in Central America and Panama)를 검토하였다.
검토된 사례들은 모두 다양한 지원방안(유상 및 무상원조)과 도구(기술지원, 금융자문, 역량강화 등)를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재생에너지 사업은 아직까지 산발적ㆍ단발적인 프로젝트 지원에 그치고 있어,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 단위의 지원 단계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원국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는 EDCF의 재생에너지 지원 사업은 설비제공과 단발적인 연수로 이루어지는 독립형 발전시설 건립이 주를 이루며,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지원하는 개도국 지역 재생에너지 사업 타당성조사 또한 조사내용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본 사업 추진 시 기업들이 사업자금을 조달하는 데 애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금융조달의 주요 제약요인은 사업개발 단계에서의 금융전문성 결여, 중소 또는 중견 규모로 이루어진 재생에너지 기업의 사업실적 및 경험 미흡, 그리고 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경제ㆍ정책적 안정성 부재의 상호작용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상기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중점협력국에 대한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및 재원조달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기업의 사업실적, 재정 건전성, 인적구성 등 해외 사업역량 제고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EDCF의 설비지원 사업이나 한국에너지공단의 재생에너지 타당성조사 사업에 컨소시엄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중소기업의 해외 사업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기업은 우리 정부의 해외 네트워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개도국 정부 관계자와의 네트워크를 확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외 재생에너지 사업 또는 인프라 사업에 전문적인 금융 자문을 제공하는 전문 금융 자문기구 수립을 고려할 수 있다. 금융 자문기구를 통해 유망 재생에너지 기업의 금융 역량을 제고하고, 금융조달 방안 및 복합적인 금융구조 도출에도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자문기구를 통해 국내 기업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재생에너지 국제기금에도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활동에는 개도국 인프라 및 개발 지원, 투자 등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EDCF와 KOTRA, KITA, 중소기업진흥청 등 유관기관의 금융 및 투자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금융 자문기구가 유망 재생에너지 기업을 발굴하여 육성하고, GCF 등의 국제기금 활용방안과 복합적인 사업 금융구조에 대해 자문을 제공한다면,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기업이 성공적인 금융조달을 이루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시각에서 ODA를 활용한 우리나라 중점협력국의 재생에너지 기반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유망한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집중적으로 연구 및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를 토대로 제도 구축, 송ㆍ배전망 확충, 관련 공무원 및 전문가의 연수를 통한 역량 강화 등에 증여 및 양허성 차관 등 지원도구를 적절히 혼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사업의 확대뿐만 아니라 후속사업 및 기타 관련 사업에 우리나라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Summit 2015, the Member States unanimously adopted seventee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mong them, SDG 7 calls for substantial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use. In addition, under the UN Framework Convention for Climate Change, individual countries - developed and developing alike ? will work to further encourage and disseminat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in order to meet their commitment on greenhouse gas reduction. Especially for developing countries,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will become a key for sustainable growth for they now face a dual challenge of pursuing economic development while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
 Since participation from various stakeholder is imperative for sustained yet sizable investment, Korea must seek a proactive strategy in pursuing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In doing so, collaborating with various partners, especially the private sector, is extremely important. This study focuses on mobilizing private sector resource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Korea’s priority partner countries. While a number of Korea’s priority partners possess considerable potential i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the lack of institutions, market and awareness have hindered development. The study highlights the fact that renewable energy investment is shifting towards the global South and that the main cause of such transition is the favorable regulatory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significant demand.
In several emerging economies with the highest amount of renewable investment - namely, China, India, South Africa and Brazil - such transition was coupled with governments’ support for technology R&D and subsidies. On the other hand, Vietnam and Indonesia are in the process of actively developing a more conducive environment. That is, laws and regulations, market readiness and awareness regarding renewable energy are being developed. Therefore, we expect rapid progress in relevant investment, development and deployment in these countries in terms of renewable energy in the near future.
 In the following chapters, the study reviews some examples of international support for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renewable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makes comparisons with Korea’s experience in supporting renewables. Multilateral and bilateral internat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s are currently seeking various measures to stimulate investment in renewable energy. One example of the support is that for early stage development of a project. By providing public resource to investigate laws and regulations, market readiness,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economic viability of a certain country or region in the very early stage of development, a project developer spends less money on securing a feasible project with which they can appeal to private investors and reach financial closure. The study surveyed the UNEP Seed Capital Assistance Facility and the Scaling-up Renewable Energy Program under the Clean Investment Funds as successful prototypes.
Another line of support can be provided at stage of financial closure, by presenting guarantees or subsidies on renewable energy projects. The study conducts a review of Germany’s Global Energy Transfer Feed-in Tariff (GET FiT) as well as the Accelerating Renewable Energy Investments in Central America and Panama (ARECA) as successful cases of guarantee and subsidies support.
According to our review, all of the examples combined various support measures, such as grants and concessional loans, rather than relying on a same kind of source. The examples also included a wide array of support tools from technical assistance, financial consultation, and capacity building.
 On the other hand, Korea’s experience i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for renewable energy remains at a basic level, support being given in a rather random and sporadic manner. Therefore, there has not been an overarching program or project aimed at mobilizing private participation. Upon a formal request from the recipient country,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supports power generation project which mainly comprises of facility construction with some capacity building depending on the project. Korea Energy Agency (KEA) also provides financial support to private energy companies for feasibility studies in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in many cases, projects fail to achieve financial closure despite financial viability due to the lack of financial structure and track-record of companies, most of which are small-to-medium-sized. The lack of mid-to-long-term expectations of financial intermediaries and investors also create barriers for financial closure of projects.
 Reflecting on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s and Korean support in renewable energy, this study presents a set of suggestions for renewables investment catalyzed for Korea’s priority partner countries. The first is to enhance overseas profiles of energy companies. Such profiles will include companies’ track-record, financial soundness, as well as utilization of human capital. One concrete example in terms of developing overseas project profile will be to provide financial incentive for companies that partners with SMEs when applying for a project funded by the government, that is, EDCF and KEA. On the other hand, energy companies can take advantage of the networking opportunity provided by public organizations such as the KEA. KEA hosts a regular networking program where the Agency invites government officials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participate in networking sessions with Korean energy company representatives.
 Secondly, establishing a consultation facility specializing in overseas renewable energy financing - or infrastructure, in general - can be highly beneficial. Deploying its financial expertise, the facility can run programs to foster financial know-how for energy companies. The facility can also provide consultation on structuring finance models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and on reaching financial closure by blending various financial tools and funds. The facility can also host general information sessions and tailored advising events to inform companies about ways to access international funds. In doing so, the facility can utilize accumulated knowledge and network from the EDCF, KOTRA, KITA, Small & Medium Business Corporation, and so on. Consultation on accessing international funds and creating advanced finance structure, as well as fostering financial capability of pioneer energy companies, can bolster successful financial closure for companies and leverage private resource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third suggestion for catalyzing investment in renewable projects is to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by concentrat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related infrastructure and institu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n Chapter Two, additional study can be conducted regarding the elements for successful resource mobilization. Korea’s development assistance and cooperation can be guided towards a given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s. For instance, there can be additional support and attention given to specific areas such as institutional development, power grid connection, and/or capacity development for government officials. With increased capability and financial expertise, the private sector will be abl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renewable projects in the global South. It is needless to mention that the possibility of resource mobilization will increase even more with the enabling environment and network in plac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범위


제2장 재생에너지 투자 특징 및 잠재력 평가

1.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 동향 및 특징
2. 중점협력국 재생에너지 투자 잠재력 평가


제3장 개도국 재생에너지 사업 재원조달 지원유형

1. 사업 개발 초기단계 지원
가. Seed Capital Assistance Facility
나. Scaling-up Renewable Energy Program
2. 금융조달 단계의 보조금 및 보증 제공
가. GET FiT 프로그램
나. ARECA 프로젝트


제4장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재생에너지 지원 현황 및 제약요인

1. 지원 현황
가. 한국수출입은행 EDCF
나. 한국에너지공단
2. 대개도국 재생에너지 재원조달의 제약요인
가. 기업의 사업실적 및 현지 경험 미흡
나. 사업개발 단계에서의 금융전문성 부재
다. 인식도 및 경제·정책적 안정성 부족


제5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CIF SREP 민간전용(set aside) 지원사업
부록 2. 우리나라의 개도국 재생에너지 지원 현황(2011~2013년)
부록 3. 지역 및 국가별 재생에너지 지원사례(2011~2013년)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1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