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이철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
▶ 본 연구는 EU가 내세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기조가 최근 공급망,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 등의 영역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함.- EU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
장영욱 외 작성일 2024.05.23 조회수 1,247
-
이민이 EU의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과 정책 시사점
▶ EU에서 이민에 대한 인식 악화가 브렉시트, 극우정당 지지세 등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이민자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이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음.- 이민이 유입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에 참고..
조동희 외 작성일 2021.05.31 조회수 5,745
유럽 -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 본 연구는 북ㆍ미 간 핵협상이 원활히 진행된다는 전제하에 경제회생을 위한 북한당국의 외자유치정책 방향과 과제에 대해서 자세히 서술하고 있음.▶ 체제전환국의 투자환경과 계량분석을 통해 얻은 북한당국에 대한 시사점은 아래와 같음.- 비..
정형곤 외 작성일 2020.05.06 조회수 10,607
-
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전망과 정책시사점
■ (배경) 영국의 탈퇴 결정으로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는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는데, EU가 세계경제와 국제무역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으로 인해 우리나라와 같은 제3국의 기업, 소비자, 정부 등의 장기적 의사결정에도 지장을 초래할..
조동희 외 작성일 2018.01.12 조회수 4,447
-
신통상정책에 나타난 EU의 FTA 추진전략과 시사점
■ 2015년 10월에 발표된 EU의 신통상정책은 새로운 세계무역환경에 맞추어 EU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통상정책의 방향을 담고 있음. - 글로벌 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 활용의 극대화, 고용 및 성장 간의 연계성, 해외서비스 시장진출 및..
김흥종 외 작성일 2017.01.15 조회수 5,009
-
저성장 시대의 고용확대 정책: 유럽 주요국 사례 및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의 경우, 실업률과 고용률의 괴리가 크다는 점과 취약계층이라 할 수 있는 청년층 및 여성의 고용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고용시장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문으로 지적- 국제적인 차원에서 실업률은 3.7%로 OECD 회원국 중 노르웨..
강유덕 외 작성일 2016.01.26 조회수 2,918
-
유럽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과 시사점
■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유럽의 경우에도 제조업부문의 산업 경쟁력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함. - 제조업이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끄는 국가경제의 버팀목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각국에서는 제조업..
강유덕 외 작성일 2014.12.30 조회수 3,079
-
유럽의 사례를 통해 본 복지와 성장의 조화 방안 연구
■ 유럽재정위기 이후 재정건전성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면서 점차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복지지출의 적정성 문제가 크게 부각됨.- 남유럽 국가들이 재정위기에 봉착한 데는 다양한 원인이 있으나, 경제수준과 경쟁력에 비해 복지지출 비중이..
강유덕 외 작성일 2014.01.29 조회수 3,463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EU 금융감독 및 규제변화
■ 2008~09년의 금융위기는 금융감독과 규제에 새로운 개혁의 전기를 제공하여 위기 이후 EU 공동체 차원에서 많은 개혁조치가 추진되었음.- 금융감독 방식에서 거시건전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시스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기관의 설립..
강유덕 외 작성일 2013.01.16 조회수 3,516
-
유럽 재정위기의 원인과 유로존의 개혁과제
■ 2010년 초 그리스의 구제금융 신청으로 시작된 유럽 재정위기는 지난 3년간 각국의 강도 높은 긴축과 유로존의 공동대응에도 불구하고 확대됨. - 유로존의 대응은 위기 초기 재정위기국(그리스)에 대한 유동성 공급에 국한되었으나, 위기가 확산..
강유덕 외 작성일 2013.01.15 조회수 4,664
-
한ㆍEU FTA 이후 대EU 통상정책의 방향과 전략
■ 이 연구는 한ㆍEU FTA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활용전략을 도출하고 한ㆍEU FTA 발효 이후 대EU 통상전략의 방향과 국내 대응과제를 점검하는 것이 목적임.- EU는 18조 3천억 달러의 GDP와 5억의 인구를 갖춘 최대의 시장이며, 한국의 제2무역..
강유덕 외 작성일 2012.01.30 조회수 3,344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