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이현태
-
한ㆍ중ㆍ일 산업협력방안: 4차 산업혁명, 전자상거래,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 한ㆍ중ㆍ일 3국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사문제, 영토문제, 외교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EU와 같은 경제공동체 형성은 요원시되고 있음.- 특히 2010년 ‘센카쿠(댜오위다오)’ 열도 문제는 일ㆍ중 외교관..
김규판 외 작성일 2019.03.21 조회수 4,885
-
중국의 제조업 발전 현황과 한국의 대응방안
■ 뉴노멀 시대의 중국경제가 산업구조 고도화를 강력히 추진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제조업 발전 현황과 정책을 분석ㆍ전망하고 대응책을 모색할 필요- 한국은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하고 중국은 이를 이용하여 최종재를 생산ㆍ수출하는 상호 보완적 ..
이현태 외 작성일 2018.01.12 조회수 6,082
-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평가와 한국의 대응방안
■ 현대판 실크로드 구상인 중국의 일대일로는 2013년 하반기에 공표된 지 3년이 경과함. - ‘중국의 꿈(中國夢)’을 말하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톱다운 설계를 특징으로 하는 이 구상은 다양한 면면으로 구성되어 있음. ■ 중국은 2017년 5월..
이승신 외 작성일 2018.01.12 조회수 7,923
-
뉴노멀 시대 중소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
■ 전 세계적으로 저성장, 저소비, 저금리, 고실업률이 지속되고 있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 뉴노멀(New Normal)은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에 부상한 새로운 경제질서를 일컫는다. 벤처캐피털리스트 로저 맥너미가 2003년 처음 제시하였으며..
이승신 외 작성일 2017.01.15 조회수 7,565
-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태동과 한국의 대응방향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의 경제적 위상이 크게 높아졌으나,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선진국 주도의 국제금융기구에서 신흥국의 지분 조정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음.  ..
임호열 외 작성일 2017.01.12 조회수 4,243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