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이수영
-
한국의 대(對)동남아 소비재수출 활성화 방안: 한ㆍ중ㆍ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2010년대 후반부터 대내외 경제환경이 급변하면서 수출시장 및 수출품목 다변화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우리 정부는 이를 반영한 수출 시장ㆍ품목 다변화 정책을 추진 중에 있음. - 주력 수출품목의 성장세 정체, 중국의 사드(THAAD) 사태로 ..
최보영 외 작성일 2019.03.27 조회수 5,976
-
리쇼어링의 결정요인과 정책 효과성 연구
■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미국 및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조업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해외로 진출한 국내기업을 본국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리쇼어링 정책 등장 - 제조업이 튼튼해야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고..
이수영 외 작성일 2019.03.25 조회수 11,969
-
수출이 국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수출확대가 충분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함.- 노동집약적 산업 중심의 수출주도형 산업화 전략의 결과 한국은 빠른 경제성장과 성공적인 공업화를 이룰 수 있었음(1970년 이후 20년간 제조업 수출..
황운중 외 작성일 2018.01.11 조회수 3,593
-
디지털상거래가 무역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
1) 디지털상거래 시장이 팽창하고 있고, 디지털상거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정책 수립 논의가 선진국 위주로 진행■ 한국을 포함한 세계 디지털상거래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 2016년 세계 디지털상거래 시장이 약 28조 달러 규모로 성장(USITC 2..
이규엽 외 작성일 2018.01.11 조회수 3,991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