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김효상
-
환율과 기초여건 간 괴리에 대한 연구: 시장심리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기존 정형화된 환율 예측모형과 더불어 외환시장의 시장심리지수가 환율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Meese and Rogoff(1983)의 연구 이래 환율은 일반적으로 기초여건(거시변수)들을 사용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
김효상 외 작성일 2022.08.24 조회수 10,230
-
신용공급 변동이 경제성장 및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 본 연구는 신용공급이 경제성장 및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 신용공급은 경제에 한정된 자원을 재분배하면서 경제성장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일부 산업에 과도하게 축적될 경우 경제를 외생적인 충격에 취..
김효상 외 작성일 2021.07.26 조회수 7,917
-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 본 연구는 원화 약세 시 평가절상 압박에 대한 실증적 근거와 대응논리를 제공하는 한편, 원화 강세 시 우리나라 기업의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경상수지 및 환율의 결정요인과 외환시장 개입 정..
한민수 외 작성일 2021.07.06 조회수 3,844
-
개방경제에서 인구구조 변화가 경상수지 및 대외자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
▶ 우리나라는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경상수지 흑자의 대부분이 상품수지 흑자에서 기인- 상품수지는 저축과 투자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인구구조 측면에서 경제활동인구 비중이 높은 시기에 상대적으로 ..
김효상 외 작성일 2020.05.25 조회수 5,558
-
개방경제에서의 금융혁신 파급 효과와 블록체인기술 발전의 시사점
■ 최근 암호화자산(Crypto-asset) 가격의 급격한 변동으로 기반기술인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중의 핀테크(FinTech)에 대한 노출빈도 또한 높아지는 추세- 2017년 비트코인(Bitcoin)의 연간수익률은 1,278%, 암호화자산 평균 ..
안성배 외 작성일 2019.06.20 조회수 8,015
-
글로벌 부동산 버블 위험 진단 및 영향 분석
■ 최근 글로벌 부동산 가격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가파르게 상승하였으며, 특히 신흥국이 더 큰 폭의 상승세를 시현- 2017년 3분기 글로벌 주택가격지수(41개국)는 119.7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최고치(2007년 4/4분기 103.8)의 ..
정영식 외 작성일 2019.03.25 조회수 3,057
-
환율변화가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자유화와 개방화로 국제금융시장의 영향이 확대되었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의 적극적인 통화정책으로 환율의 변동폭 확대와 변동주기의 단기화가 초래되어 환율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고 있어서 정교한 정책..
윤덕룡 외 작성일 2018.02.07 조회수 4,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