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홍콩의 경제·사회 변화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 2019년 반송환법 시위 이후 홍콩의 정치사회는 비교적 빠르게 중국화 되어 가고 있음.
- 홍콩의 자치(自治) 및 입법·사법·행정에 대한 중국 본토의 개입이 현저하게 증가
- 홍콩의 대학 경쟁력에는 아직 큰 변화가 없으나 교육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고, 홍콩의 언론 환경 변화에 대해서는 시민들 사이에 인식의 차이가 나타남.
-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계기로 시민사회 단체의 대규모 결집과 해산이 발생했고, 인구 유출이 늘어 2020년에는 사스 사태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인구가 감소했으나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일국양제(一国两制)에 대한 홍콩 시민의 긍정·부정 인식에 급등락이 있었고, 자신의 정체성을 ‘중국인’ 또는 ‘홍콩인’으로 여기는 인식도 비슷한 패턴을 나타냄.

▶ 경제 영역에서는 일부 변화가 감지되지만, 홍콩의 여러 경제적 기능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
- 반송환법 시위 이후 홍콩의 금융시장에서 중국 본토의 영향력 확대가 가속화됨.
- 중국 본토에 대한 홍콩의 자금조달 역할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당분간 지속될 전망
- 홍콩의 재수출 상품 조달 국가에서 중국 본토의 비중은 여전히 절대적이나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미국의 비중은 급증함.
- 웨강아오 대만구(GBA)를 통한 중국 본토와 홍콩의 일체화가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음.

▶ 향후 홍콩의 중국화(홍콩-본토 일체화)라는 큰 흐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나, 미중 전략경쟁의 향방과 중국의 경제 상황, 홍콩 내부의 여론 향방 등에 따라서 속도 조정이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우리는 한중 간 지역경제 협력 차원에서 홍콩과 협력 강화를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음.
- 홍콩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거나 향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산업을 중심으로 홍콩과의 협력 강화가 요구됨.
- 다만, 홍콩의 경제적 기능 중에서 국제금융 허브 기능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바, 무리한 ‘홍콩 대체론’보다는 홍콩과의 금융 협력을 통해 우리의 금융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임.
- 중국 본토와 홍콩의 통합 과정을 한반도 통일 과정에 타산지석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